정침

정침
丁綝
이름
침(綝)
유춘(幼春)[1][2][3]
작호 신안향후(新安鄕侯)후한능양(陵陽侯)후한
신상정보
출생일 불명
출생지 영천군 정릉현(定陵縣)[1][2][3][4][5]
사망일 불명
국적 신나라현한후한
관직 영양(潁陽尉)신나라 → 편장군(偏將軍)현한하남태수후한
자녀 아들 정홍, 정성(丁盛)
군사 경력
주군 왕망경시제광무제

정침(丁綝, ? ~ ?)은 신나라 ~ 후한 초기의 군인으로, 유춘(幼春)이며 영천군 정릉현(定陵縣) 사람이다.

생애

씩씩하고 용맹스러웠으며, (武略)을 갖추고 있었다.[2][3] 왕망영양(潁陽尉)를 지냈다.[1]

유수는 영양을 공격하였으나 방비가 굳건해 무너뜨리지 못했는데, 정침의 설득을 받은 (宰)가 항복한 덕에 입성할 수 있었고, 유수는 이를 기뻐하여 정침을 편장군(偏將軍)에 임명하고 종군케 하였다. 정침은 병사들을 이끌고 강을 건너고, 각지에 격문을 뿌리는 한편 둔영을 공략하여, 하남·진류·영천 등 21개 정벌하였다.[1][a]

한편 이 과정에서, 부성(父城)을 지키던 같은 사람 영천군연(郡掾) 풍이가 유수의 병사들에게 사로잡혔다.[6][7][8][9] 정침은 자신과 함께 유수를 따르던 풍이의 종형 풍효(馮孝)·같은 군 사람 여안(呂晏)과 함께 풍이를 유수에게 추천하였다.[6] 이후 풍이는 유수의 진영에 투항하였고,[6][7][8][9] 이때부터 유수에게 중용되어 활약하게 되었다.[6][8]

건무 원년(25년),[1] 유수가 후한을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였고(광무제),[10][4][11] 이때 정침은 하남태수에 임명되었다.[1][2][3] 이 즈음에 광무제는 공신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대로 봉토를 하사하였는데, 모두가 풍요로운 땅을 골랐으나 정침은 고향 땅을 달라고 하였다. 누군가가 정침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b] 정침은 이렇게 대답하였다.[1][10][4][5]

예전에 손숙오는 자식에게 척박한 땅을 봉토로 받으라고 일렀습니다.[1][2][3] 저는 능력이 하찮고 공적이 미미하니, 향정(鄕亭)을 얻는 것만으로도 분에 넘칩니다.[1][2][3][10][4][5]

이 말을 들은 광무제는 정침을 정릉현 신안향후(新安鄕侯)에 봉하여[1][2][3][10][4][5] 식읍 5천 호를 내렸고, 훗날 능양(陵陽侯)로 옮겼다.[1][2][3][c]

아들 정홍은 관직이 위위에 이르렀다.[1][2]

각주

참조주

  1. 동관한기》에서는 정침이 유수를 따라 종군하여 강을 건넜다고 하였다.[2]
  2. 동관한기》에서는 광무제가 공신들을 책봉할 때 각자 원하는 땅을 말하라고 명하면서, 정침에게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2][3]
    여러 장군들은 모두 을 원하는데, 그대만이 을 달라는 것은 무슨 까닭이오?
    이에 대해 같은 책의 주석에는 《후한서권37의 내용을 언급하면서 해당 기록의 내용이 본서(동관한기)에서 언급한 내용과 서로 다르다고 하였다.[2]
  3. 자치통감권45에서는 아들 정홍의 일화에 정침의 생전 최종 작위로 언급되었다. 단, 예전에 죽었었다고만 하였을 뿐, 정확한 사망 시기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12][13][14] 한편 호삼성은 정침의 최종 봉읍이었던 능양현(陵陽縣)은 단양군에 속해 있었다고 주석을 달았다.[13][14]

내용주

  1. 범엽, 《후한서 권37 환영정홍열전.
  2. 진종 外, 《동관한기 사고전서본 권15. [범엽, 《후한서권17 풍잠가열전 이현(李賢注)[1]·구양순, 《예문유취권51·이방, 《태평어람권201에서 인용]
  3. 오수평(吳樹平) 교주(校注) (2008년 11월). 《동관한기교주(東觀漢記校注)》. 중국사학기본전적총간(中國史學基本典籍叢刊) (중국어) 1판. 북경: 중화서국. 646-647쪽. ISBN 978-7-101-06294-6. 
  4. 호삼성, 《자치통감 권40.
  5. 엄연(嚴衍), 《자치통감보(資治通鑑補)》 권40 32 세조 광무황제 上(上) 건무 2년(병술, 26),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25), 35/113.
  6. 범엽, 《후한서 권17 풍잠가열전.
  7. 사마광, 《자치통감 권39.
  8. 호삼성, 《자치통감 권39.
  9. 엄연(嚴衍), 《자치통감보(資治通鑑補)》 권39 31 회양왕 경시 원년(계미, 23),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24), 58/109.
  10. 사마광, 《자치통감 권40.
  11. 엄연(嚴衍), 《자치통감보(資治通鑑補)》 권40 32 세조 광무황제 上(上) 건무 원년(을유, 25),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25), 8/113.
  12. 사마광, 《자치통감 권45.
  13. 호삼성, 《자치통감 권45.
  14. 엄연(嚴衍), 《자치통감보(資治通鑑補)》 권45 37 현종 효명황제영평 10년(정묘, 67), 상주 사보루(思補樓) 교정인쇄본 《자치통감보》(28), 18/105.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