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군(齊郡)은 중국의 옛 군으로, 제후왕국으로서는 제국(齊國)이라 한다. 진나라가 시황 26년(기원전 221년) 제나라를 멸하고 서울 임치 주변을 관할하는 임치군(臨菑郡)을 둔 것을 시작으로 하며, 이때부터 이 군의 치소는 임치였다. 전한에서 한신을 제왕으로 봉하면서 제나라의 수도 임치 주변의 군이므로 제나라의 내사지가 됐고, 이 내사지가 제나라 폐지 후 제군이 됐다.
전한
고제 5년(기원전 202년) 한신이 제나라에서 초나라로 옮겨 봉해지고 제나라가 폐해지면서, 제나라의 서울 지역은 임치군(臨淄郡)이 됐다. 고제 6년(기원전 201년) 고제의 서장자 유비가 제왕으로 봉해지면서 제나라의 내사지가 됐다. 제문왕 유칙이 기원전 165년에 후사 없이 죽어 제나라가 폐지돼 제나라의 내사지는 다시 임치군이 됐다. 기원전 164년 제나라를 분할 부활하면서 임치군을 둘로 나눠 동부는 치천국으로 분리됐고 서부만이 제나라가 됐으며 옛 제나라의 지군들은 모두 독립 왕국이 됐다. 기원전 127년 제여왕 유차창이 죄를 짓고 자결해 제나라를 폐지하고 제군을 설치하면서 임치군이 아닌 제군이라는 군 명칭이 이후에도 계속된다. 원수 6년(기원전 117년) 제회왕 유굉이 봉해지면서 다시 제나라가 됐고 제회왕이 8년(기원전 110년)에 죽으면서 제군이 됐다.[1][2]
청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154,826호, 인구 554,444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3]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2현(6현 6후국)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239년(위 명제경초 3년), 관구검이 요동군의 공손연을 격파한 이후 동답현, 문현, 북풍현의 주민들이 본군으로 강제 이주되면서 신답, 신문, 남풍의 3개 현이 신설되기도 했다. 서진이 세워진 이후, 광현이 동관군으로 이속되었고, 반양, 익도, 신문, 남풍, 신답의 5개 현이 폐지되었다. 280년(서진 무제태강 원년)이후의 제국은 5현 14,000호를 거느렸다. 영가의 난무렵에는 군벌 왕미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가, 그가 석륵에게 정복당하면서 후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9]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치현
臨淄縣
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
청주자사의 치소가 있었다. 그러나 청주 일대를 점령한 후조가 본현에 있던 자사부를 311년(진 회제영가 5년), 왕미의 부관이자 청주자사를 자칭했던 조억(曹嶷)이 세운 광고성(廣固城)으로 옮겼다.[9][10]
서안현
西安縣
쯔보시 린쯔구 북고양촌(北高陽村)
현 경내에 극리정(棘裏亭)이 있었다.
동안평현
東安平縣
쯔보시 린쯔구 황성진(皇城鎭)
위나라때 제남군에서 본군으로 내속되었다.[11] 여수(汝水)가 현내에서 동북쪽으로 흐른다.
410년(진 안제의희 6년), 유유가 남연을 멸망시키면서 제군은 남조의 땅이 되었다. 그러나 명제시기 북위의 침공으로 회수 이북지방을 상실하면서 제군은 북조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유송대 제군은 7현 7,346호 14,889명을 거느렸다.[11]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민정
비고
임치현
臨淄縣
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
령(令)
남연을 정복한 남조는 오호 십육국시대때 청주의 치소가 있었던 광고성에 남청주(南青州), 동양성(東陽城)에 북청주(北青州)를 두었으나, 이 2개 주를 합한 뒤 임치에 자사부를 두었다. 그러나 455년(유송 효무제효건 2년) 자사부의 치소가 역성(歷城)으로 옮겨지면서 청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송 명제시기 회수 이북의 여러 군현을 점령하면서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 북위때 제군은 9현 30,848호 82,100명을 거느렸다. 태수의 치소는 본래 임치현에 두었으나, 북제시기인 556년(북제 문선제천보 7년) 익도현의 치소가 광고성이 있던 지금의 칭저우시로 옮겨졌다.[13][12]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치현
臨淄縣
쯔보시 린쯔구 제도진(齊都鎭) 동쪽 임치고성
현내에 공손씨 일가의 무덤(公孫接冢), 안영의 무덤(晏嬰冢), 제 장공의 무덤(齊莊公冢), 영구(營丘), 제대(臺5), 요산사(堯山祠)가 있었다. 556년 폐지되었다.
창국현
昌國縣
웨이팡시 린추현
현내에 기신총(紀信冢)이 있었다.
익도현
益都縣
웨이팡시 서우광시 익성촌(益城村) → 웨이팡시 칭저우시
현내에 조실(釣室)이 있었다. 556년 치소가 서우광시에서 청주자사부가 있던 동양성 일대(現 칭저우시)로 옮겨졌다.
반양현
般陽縣
웨이팡시 린추현 동도화촌(東桃花村) 서남 일대
현내에 주허성(朱虛城), 대현산(大峴山), 증산(甑山), 거평산(鉅平山), 태산사(太山祠)이 있었다.
현내에 우산(牛山), 중부총(仲父冢), 흑산(黑山), 석연산(石硯山), 제환공의 묘(齊桓公冢), 4호총(四豪冢)이 있었다.
수
《수서》 지리지에 같은 이름의 군이 언급되긴 하나, 지리지속 제군은 북제 때 치소가 동양성일대로 옮겨진 제군과 다르다. 이 제군은 469년(북위 헌문제황흥 3년), 제남군일대였던 역성(曆城)에서 설치된 제주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본래의 제군은 수나라가 군현제를 폐지하고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청주에 통폐합되었다. 수나라 때의 제군은 제주 (북위)문서를 참조할 것.[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