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핍스

제너 박사가 1796년 5월 14일 8세 소년 제임스 핍스에게 첫 백신 접종을 하고 있다. 어니스트 보드(20세기 초)의 그림.

제임스 핍스(James Phipps, 1788년 – 1853년)는 에드워드 제너에게 실험적인 우두 백신을 처음 접종받은 사람이었다.[1] 제너는 우두라는 비교적 가벼운 감염병에 걸린 낙농업자들이 천연두에 면역력을 가진다는 지역적 믿음을 알고 있었고, 1796년 5월 17일 8세의 제임스 핍스를 대상으로 자신의 이론을 성공적으로 시험했다.[2]

어린 시절과 천연두 예방접종

핍스는 글로스터셔주버클리 교구에서 제너의 정원사로 일하던 가난한 무토지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4살 때 버클리 세인트 메리 교구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3]

에드워드 제너가 제임스 핍스에게 접종하는 모습. 가스통 멜링그(1894년경)의 석판화.

1796년 5월 14일, 그는 제너에게 선택되었다. 제너는 "우두 접종을 위해 약 8세의 건강한 소년"을 데려왔다.[4] 제너는 사라 넬메스(미발표 원고에서 제너는 그녀를 루시 넬메스라고 언급한다[5])라는 우유 짜는 여인의 손에 있는 우두 수포에서 액체를 채취하여 소년의 팔에 두 개의 작은 절개를 통해 핍스에게 접종했다.

제너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7일째 되는 날 그는 겨드랑이에 불편함을 호소했고, 9일째 되는 날 약간 오한이 들고 식욕을 잃었으며 가벼운 두통이 있었다. 이날 내내 그는 눈에 띄게 몸이 안 좋았고, 밤을 약간의 불안함 속에서 보냈지만, 다음 날 그는 완벽하게 나았다."[6] 약 6주 후 제너는 소년에게 천연두를 접종했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었고, 이제 그가 천연두에 대한 완전한 보호를 받았다고 결론 내렸다.[7][8] 핍스는 그 후 20번 이상 천연두를 접종받았지만 병에 걸리지 않았다.[9]

핍스는 천연두에 대해 우두 접종으로 백신을 맞은 첫 번째 인물로 종종 잘못 인용된다. 그 전에도 다른 사람들이 이 시술을 받았다. 1791년, 홀슈타인 공국(현재 독일)의 출신 페터 플레트는 세 명의 아이들에게 접종을 했고,[10] 도싯주 예트민스터벤자민 제스티는 1774년 세 명의 가족 구성원에게 시술을 시행했다.[11] 그러나 제너는 1798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조사(Inquiry)'에 핍스의 접종에 대한 설명과 재료를 채취한 사라 넬메스의 손 그림을 포함했다. 백신이 팔 대 팔 전파를 통해 유지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련의 접종과 적절한 재료 선택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제너의 '조사'는 예방접종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기록이었다.[12]

말년

버클리에 있는 제임스 핍스의 오두막에 있는 명판.

핍스의 말년에 제너는 그와 그의 아내, 그리고 두 자녀에게 버클리에 있는 오두막의 무료 임대권을 주었으며, 이 오두막은 1968년부터 1982년까지 에드워드 제너 박물관으로 사용되었다.[7] 핍스는 1823년 2월 3일 제너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3]

1853년 핍스는 자신이 세례를 받았던 성모 마리아 교회, 버클리에 묻혔다. 제너도 이 교회에 묻혔다.

각주

  1. Reid, Robert (1974). 《Microbes and men》. London: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7쪽. ISBN 0-563-12469-5. 
  2. Bartolache, José Ignacio (1779). 《Instrucción que puede servir para que se cure a los enfermos de las viruelas epidemicas que ahora se padecen en México》 (스페인어) 1판. Impresa à instancia y expensas de dicha N. Ciudad. 
  3. “Children in History: James Phipps (1796)”. 2005년 4월 13일.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4. Reid, Robert (1974). 《Microbes and men》. London: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8쪽. ISBN 0-563-12469-5. 
  5. Baxby, D. (1985). 《The genesis of Edward Jenner's Inquiry of 1798: a comparison of the two unpublished manuscripts and the published version.》. 《Med Hist》 29. 193–199쪽. doi:10.1017/s0025727300044008. PMC 1139508. PMID 3884936. 
  6. Tan, SY (2004). 《Tan: Edward Jenner (1749–1823) conqueror of smallpox.》. 《Singapore Med J》 45. 507–508쪽. PMID 15510320. 
  7. Morgan, A. J.; Parker, S. (2007). 《Translational Mini-Review Series on Vaccines: The Edward Jenner Museum and the history of vaccination.》. 《Clin Exp Immunol》 147. 389–394쪽. doi:10.1111/j.1365-2249.2006.03304.x. PMC 1810486. PMID 17302886. 
  8. Willis, N. J. (1997). 《Edward Jenner and the eradication of smallpox.》. 《Scott Med J》 42. 118–121쪽. doi:10.1177/003693309704200407. PMID 9507590. S2CID 43179073. 
  9. Reid, Robert (1974). 《Microbes and men》. London: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19쪽. ISBN 0-563-12469-5. 
  10. P. C. Plett: Peter Plett und die übrigen Entdecker der Kuhpockenimpfung vor Edward Jenner. Sudhoffs Archiv, Zeitschrift für Wissenschaftsgeschichte, vol 90, issue 2, Franz Steiner Verlag, Stuttgart, 2006, pp. 219–232. ISSN 0039-4564
  11. Hammarsten, J. F.; 외. (1979). 《Who discovered smallpox vaccination? Edward Jenner or Benjamin Jesty?》. 《Trans Am Clin Climatol Assoc》 90. 44–55쪽. PMC 2279376. PMID 390826. 
  12. Baxby, Derrick (1999). 《Edward Jenner's Inquiry; a bicentenary analysis》. 《Vaccine》 17. 301–307쪽. doi:10.1016/s0264-410x(98)00207-2. PMID 9987167. 
  13. “James Phipps (1788-1853)”. 《Science Museum》. 2004년 7월 22일. 2017년 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