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영광군의회의원 선거결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해당 선거에서 영광군의회는 지역구의원 12명을 선출했다.
지역구 선거 결과
영광읍 선거구
|
유권자수: 14,715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김규현 |
무소속 |
2,074표 |
|
당선 |
|
|
장동식 |
무소속 |
1,756표 |
|
당선 |
|
|
이환식 |
무소속 |
1,609표 |
|
|
|
|
김윤환 |
무소속 |
1,295표 |
|
|
|
|
서명오 |
무소속 |
1,162표 |
|
|
|
|
엄인국 |
무소속 |
1,098표 |
|
|
|
|
이이범 |
무소속 |
1,016표 |
|
|
|
|
정용수 |
무소속 |
774표 |
|
|
|
합계
|
10,784표 |
|
백수읍 선거구
|
유권자수: 6,393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강종만 |
무소속 |
2,459표 |
|
당선 |
|
|
윤석진 |
무소속 |
2,152표 |
|
|
|
합계
|
4,611표 |
|
홍농읍 선거구
|
유권자수: 6,793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이장석 |
무소속 |
1,929표 |
|
당선 |
|
|
김상수 |
무소속 |
1,833표 |
|
|
|
|
이문재 |
무소속 |
1,255표 |
|
|
|
합계
|
5,017표 |
|
대마면 선거구
|
유권자수: 2,262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이종윤 |
무소속 |
768표 |
|
당선 |
|
|
신춘하 |
무소속 |
486표 |
|
|
|
|
이영희 |
무소속 |
395표 |
|
|
|
|
김준호 |
무소속 |
132표 |
|
|
|
합계
|
1,781표 |
|
묘량면 선거구
|
유권자수: 2,454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이용주 |
무소속 |
1,009표 |
|
당선 |
|
|
김영근 |
무소속 |
848표 |
|
|
|
합계
|
1,857표 |
|
불갑면 선거구
|
유권자수: 1,604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강필구 |
무소속 |
801표 |
|
당선 |
|
|
정일성 |
무소속 |
528표 |
|
|
|
합계
|
1,329표 |
|
군서면 선거구
|
유권자수: 2,970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박준익 |
무소속 |
1,028표 |
|
당선 |
|
|
서창호 |
무소속 |
626표 |
|
|
|
|
정권기 |
무소속 |
606표 |
|
|
|
합계
|
2,260표 |
|
군남면 선거구
|
유권자수: 3,885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서용진 |
무소속 |
1,271표 |
|
당선 |
|
|
이병균 |
무소속 |
1,017표 |
|
|
|
|
장재곤 |
무소속 |
636표 |
|
|
|
합계
|
2,924표 |
|
염산면 선거구
|
유권자수: 5,646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홍순남 |
무소속 |
1,514표 |
|
당선 |
|
|
김강헌 |
무소속 |
1,356표 |
|
|
|
|
박균문 |
무소속 |
1,137표 |
|
|
|
합계
|
4,007표 |
|
법성면 선거구
|
유권자수: 6,513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김영철 |
무소속 |
2,324표 |
|
당선 |
|
|
문일성 |
무소속 |
1,278표 |
|
|
|
|
박철복 |
무소속 |
1,031표 |
|
|
|
합계
|
4,633표 |
|
낙월면 선거구
|
유권자수: 646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김복만 |
무소속 |
146표 |
|
당선 |
|
|
강기욱 |
무소속 |
146표 |
|
|
|
|
전상관 |
무소속 |
127표 |
|
|
|
|
하형중 |
무소속 |
78표 |
|
|
|
|
최형용 |
무소속 |
14표 |
|
|
|
합계
|
511표 |
|
영광군 낙월면 선거구에 출마한 김복만 후보와 강기욱 후보가 나란히 146표를 얻었지만 공직선거법상 연장자 당선 규정에 따라 김복만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강기욱 후보는 낙선했다.[1]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