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불전결집제4차 불전결집은 카니슈카 대왕이 설일체유부의 협존자를 의장으로, 마명존자를 부의장으로 하여, 불교의 다양한 종파를 통합하여 불경을 편찬한 사업이다. 역사카니슈카 대왕은 개인 구제에 치우친 소승불교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그는 매일 스님 한 분을 모셔와 법을 청해 듣고, 스스로도 경론을 공부했다. 그런데 스님들 간의 가르치는 내용이 같지 않음을 깨닫고 협존자에게 그 연유를 물었다. 이를 통해 불교 교단 내에 여러 부파가 있고, 각 부파마다 교의를 달리 해석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왕은 협존자와 이에 대해 상의했다. “현재 너무 많은 부파와 교의가 있어 불교를 신앙하는 사람들도 어느 것이 옳은 것인지 잘 모르고 있습니다. 나는 부처님께서 몇 번이고 다시 태어나는 게 다른 사람들이 열반에 이르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각 종파 간의 상이점을 조화롭게 하고 싶은데, 어찌해야 하겠습니까?” 그러자 협존자가 이렇게 대답했다. “불교 부파 간의 각기 다른 견해를 통일해야 할 것입니다.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에 속한 고승 500여 명을 선출해 이 사안에 대해 논의를 해보시지요.” 왕은 캐시미르 지방의 계곡 쿤달라바나에 위치한 환림사(環林寺)에서 종교회의를 열고 의장에 협존자를, 부의장에 마명존자를 임명해 제4차 결집(結集)을 거행한다. 이들은 불서의 필사본을 수집해 토론하는 일 뿐만 아니라 당시 20여 개로 분열돼있던 각 종파 사이의 상이점을 찾아 조화롭게 하고, 표준 교설을 세우는 작업도 진행했다. 이때 집대성된 문헌이 총 30만 송(頌) 660만 언(言)에 달하는 대주석서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毗達磨大毘婆沙論)〉이다. 또 4차 결집부터 ‘경전’은 산스크리트어로 공식화되고, 문자화됐다. 따라서 이 무렵부터 중국에 전해진 경전 역시 산스크리트어 경전이다. 결집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