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구 갑 |
---|
|
 제헌~제4대 총선에서 서울특별시 내 종로구 갑 선거구의 경계 | |
의원 수 | 1인 |
---|
이후 선거구 | 종로구 |
---|
종로구 갑은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48년부터 1963년까지 존재했다. 당시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제헌
|
종로구 청운동, 신교동, 궁정동, 효자동, 누하동, 누상동, 옥인동, 통인동, 창성동, 필운동, 사직동, 체부동, 통의동, 내자동, 적선동, 내수동, 도렴동, 당주동, 서대문2가, 서대문1가, 세종로, 종로1가, 서린동, 청진동, 수송동, 중학동, 견훈동, 인사동, 견지동, 공평동, 종로2가, 관철동, 송현동, 사간동, 안국동, 소격동, 화동, 팔판동, 삼청동, 재동, 가회동
|
2대~3대
|
종로구 청운동, 신교동, 궁정동, 효자동, 누하동, 옥인동, 통인동, 창성동, 필운동, 사직동, 체부동, 통의동, 내자동, 적선동, 내수동, 도렴동, 당주동, 신문로1·2가, 세종로, 종로1가, 서린동, 청진동, 중학동, 수송동, 견지동, 인사동, 관훈동, 공평동, 종로2가, 관철동, 송현동, 사간동, 안국동, 소격동, 화동, 팔판동, 삼청동, 가회동, 재동
|
4대~5대
|
종로구 자하동, 청송동, 인왕동, 누각동, 백송동, 매동, 사직동, 종교동, 중앙동, 신문동, 광교동, 수진동, 종각동, 대사동, 전훈동, 별궁동, 태화동, 백록동
|
역대 국회의원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이윤영 |
조선민주당 |
20,497표 |
|
당선 |
|
|
박순천 |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 |
5,518표 |
|
|
|
|
서상천 |
대한독립청년단 |
4,456표 |
|
|
|
|
최진 |
민주주의자유독립당 |
1,510표 |
|
|
|
|
박용래 |
한국기독교연합회 |
1,463표 |
|
|
|
|
김대석 |
무소속 |
1,322표 |
|
|
|
|
김은배 |
무소속 |
1,085표 |
|
|
|
|
오삼주 |
무소속 |
676표 |
|
|
|
합계
|
36,527표 |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윤보선 |
민주당 |
31,924표 |
|
당선 |
|
|
박선규 |
무소속 |
4,052표 |
|
|
|
|
문작지 |
사회대중당 |
3,025표 |
|
|
|
합계
|
39,001표 |
|
1960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윤보선 의원이 제4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무소속 전진한 후보가 당선되었다.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