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러이 페렌츠

1850년에 요제프 크리후버가 그린 오스트리아 제국의 정치인 줄러이 페렌츠의 초상화
1850년에 요제프 크리후버가 그린 오스트리아 제국의 정치인 줄러이 페렌츠 초상화
1815년의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장
1815년의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장
본명 마로슈네메티 및 너더슈카의 줄러이 페렌츠 백작(헝가리어: Count Ferenc Gyulay de Marosnémethi et Nádaska)
로마자 표기 헝가리어 발음: [fɛrɛnts ɟulɒji]
별명 마로슈네메티 및 너더슈카의 줄러이 페렌츠 백작(헝가리어: Count Ferenc Gyulay de Marosnémethi et Nádaska)
출생일 1799년 9월 1일
출생지 오스트리아 제국의 기 오스트리아 제국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헝가리 중부 부다페스트 페슈트
사망일 1868년 8월 31일 (68세)
사망지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 오스트리아-헝가리
국적 오스트리아 제국의 기 오스트리아 제국
헝가리 왕국의 기 헝가리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성별 남성
작위 장성급 장교
경력 오스트리아 제국의 국방장관
부모 줄러이 이그나츠, 마리아 프렐린 폰 에델스하임
종교 헝가리의 로마 가톨릭교회
오스트리아의 로마 가톨릭교회
충성 오스트리아 제국의 기 오스트리아 제국
복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복무기간 1816년 ~ 1859년
근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최종계급 장성급 장교
지휘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주요 참전
서훈 성알렉산드르네프스키 훈장
로마노프가의 스배트고스타니슬라프 훈장
러시아 제국 백수리 훈장
스뱌트고안나 훈장
황금양모 기사단
웹사이트 One Hundred Years of Conflict Between the Nations of Europe: The Causes and Issues of the Great War
묘소 오스트리아의 기 오스트리아
1911년에 루돌프 하슬러가 그린 줄러이 페렌츠 초상화

마로슈네메티 및 너더슈카의 줄러이 페렌츠 백작(헝가리어: Count Ferenc Gyulay de Marosnémethi et Nádaska, 헝가리어 발음: [fɛrɛnts ɟulɒji], 1799년 9월 1일 ~ 1868년 8월 31일) 1799년에 태어난 헝가리 출신 귀족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에 1816년 임관하여 1859년에 장성급 장교에 이르렀으며, 1848년 이탈리아 혁명 당시 삼각주 지을 방어했고, 1849년 오스트리아의 육군장관 겸 헝가리 혁명 진압에 참여한 뒤 1857년부터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총독을 역임하며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전쟁 중 티치노 도강 및 팔레스트로 전투와 마젠타 전투에서 지휘했으나 패배해 사임 및 철수당하고, 이후 1866년 만토바 수비에 실패한 채 퇴역했으며 1868년 69세를 나이로 빈에서 별세했다.

생애

줄러이 페렌츠 1799년 9월 1일 아버지 줄러이 이그나츠와 어머니 마리아 프렐린 폰 헝가리 페슈트에서 태어났으며, 1816년 17세로 임관 후 1820년 기병 병과로 이동했고, 1838년까지 단계적으로 장성급 장교로 진급하여 1846년에는 트리에스트 지역의 군정 책임자를 맡았다. 1848년 이탈리아 혁명에서 폴라와 트리에스트 지역을 혁명군으로부터 지켜냈으며, 1849년 프란츠 요제프 1세에 의해 전쟁장관 겸 혁명 진압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라오프 전투와 코마롬 전투에 참여한 뒤 북이탈리아 군 총사령관 및 롬바르디아‑베네토 총독으로 1857년에 임명됐다. 그는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을 지휘하며 4월 티치노 도강과 몬테벨로 전투와 팔레스트로 전투를 이끌다 마젠타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임했고 소환했으며, 이후 만토바를 방어했으나 1866년 실패한 뒤 퇴역했다. 1868년 8월 31일에 빈에서 자연사로 6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같이 보기

출처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