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기본적으로는 성급(省級), 시급(市級), 현급(縣級), 향급(鄕級)이라고 하는 4계층의 행정구조로 피라미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현대 중국에서는 성급과 현급의 사이에 지급(地級)이 신설되어 있다. 더불어 촌급은 하부 행정단위가 아닌 자치 조직이지만, 참고를 위해 아래의 표에 덧붙였다.
개요
중국은 지방 행정을 4계층의 수직 구조로 나누어 통치하고 있다. 최상층을 제1급 행정구역이라고 부르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광대한 영역을 22개의 성, 5개의 자치구, 4개의 직할시에 수평 분할하고 있다. 특별행정구는 엄밀하게는 제1급 행정구역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는 그것과 동등하게 다루고 있다.
제2계층의 지급의 행정 단위는 지급시, 자치주, 지구 등이 있다. 현재, 중국은 성과 현·현급시의 중간에 위치하는 지급시로 재편되고 있다. 지급시는 시라고 칭하지만, 도시지역과 주변의 농촌부를 포함한 비교적 큰 행정 단위이다. 자치주나 지구는 영어에서는 prefecture 로 번역되어 지급시는 prefecture-level city 로 번역된다.
제3계층의 행정 단위가 현과 현급시이다. 중국의 현은 영어에서는 county로 번역된다. 일본과 비교했을 경우, 현에서 군에 가까운 규모이다. 또 영어에서는 county-level city로 번역되는 현급시가 일본의 시에 가까운 존재이다.
제4계층에 해당되는 것이 향급의 행정 단위로, 향(鄕)이나 진(鎮) 등으로 불린다. 영어에서는 향은 township, 진은 town으로 번역된다.
1999년 12월 20일의 마카오 주권이 반환될 때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은 22성, 5자치구, 4직할시, 2특별행정구로 나눌 수 있어 합계 34의 일급행정구가 존재한다. 이 표에서 거론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중국일급행정구(즉 "성급 행정구")는 공식 규정에 의해 든 것이다. 배열의 순서는 중국의 국가 규격으로 정해져 있지만, 여기에서는 로마자 순서로 했다.
중국의 지방행정은 중앙정부 - 성급 - 현급 - 향진급이 기본관리구역이다. 여기서 성급산하에 있는 현급숫자가 많기에 중간에 성에서 위탁관리하는 기구를 두게되는데, 이것이 지급이다. 즉 현급은 지급 산하가 아니고, 성급 산하에 있되 지급에 대다수 현급을 위탁관리하고 있다. 지급에 위탁관리되지 아니하고 성급에서 직접관리하는 현급구역을 성직할 현급이라고 한다. 신장의 경우 자치주에 지구를 위탁관리하는 경우도 있다.
직할시는 성급산하의 지급시가 중앙정부산하로 들어가서 중앙정부의 직접관리를 받는 구역이다. 관리구역 체계상은 지급구역이다. 특별행정구도 직할시와 같이 기본 관리체계는 지급구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