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계성 고분군
창녕 계성 고분군(昌寧 桂城 古墳群)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에 있는 무덤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호 계성고분군으로 지정되어, 2018년 12월 20일 창녕 계성고분군으로 변경[2]되었다가, 2019년 2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547호로 승격되었다.[3] 개요
사적 지정 사유「창녕 계성 고분군」은 영축산에서 서쪽으로 뻗어내린 구릉 사면부에 조성된 대규모 고분군이다. 고분군의 서북쪽으로는 계성천이 흐르고 있으며 능선 여러 갈래에 261기의 봉분이 분포하고 있는데 정상부에는 지름 30m가 넘는 대형무덤이 5기가 있다.[3] 1917년 처음으로 고분군의 분포도가 작성된 이후, 1967년 5호분, 1968년 1호분․4호분, 2013년~2015년 2호분․3호분, 2017년 156호분, 2018년 2-3~5호분 등 5차례에 걸쳐 발굴조사하였다.[3] 그 결과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5]에 석곽 상부는 나무로 덮개를 만든 특징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뚜껑굽다리접시(유개고배, 有蓋高杯)와 긴목항아리(장경호, 長頸壺), 원통모양그릇받침(통형기대, 筒形器臺) 등 창녕양식 토기류[6], 금동관편, 금제 귀걸이, 은제 허리띠 등의 장신구류, 말띠드리개(행엽, 杏葉) 및 발걸이(등자, 鐙子), 말안장 꾸미개(안교, 鞍橋) 등의 마구류, 무구류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3] 「창녕 계성 고분군」은 5세기~7세기에 걸쳐 조성되었는데, 5세기에 축조된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인 대형 고총 고분과 6~7세기에 축조된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석실)이 모두 확인되었다. 이러한 축조 양식의 변화는 고분군의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이동하며 나타나며, 창녕 지역에서의 가야의 성립, 발전과 쇠퇴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3] 참고 문헌각주
참고 자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