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안디아넬라

추안디아넬라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초기
520–516백만년 전
추안디아넬라의 화석
추안디아넬라의 화석
복원도
복원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미분류): 분류 미상
속: 추안디아넬라속
Hou & Bergström, 1991
모식종
Chuandianella ovata
(Li, 1975)

추안디아넬라(학명Chuandianella ovata 추안디아넬라 오바타[*])는 캄브리아기 초기에 나타났던 이매갑각을 가진 멸종절지동물이다. 1속 1종만이 존재하며, 모식종의 화석은 발굴 당시 중국 윈난성의 청쟝 생물군에 보존되어 있었다.[2]

분류

이 동물은 1975년에 패충류와 유사하다 보아, 모노노텔라속(학명Mononotella)으로 분류시킨 적이 있었다. (학명Mononotella ovata 모노노텔라 오바타[*]) 하지만 1991년 고생물학자인 허우 시안광(Hou Xian Guang)과 얀 베르그스트룀(Jan Bergström)은 이 동물을 더 온전한 화석표본의 추가 발견에서 왑티아와의 유사점이 돋보여 추안디아넬라라는 새로운 속으로 재분류시켰다. 2004년에는 천 준위안(Chen Jun Yuan)이라는 고생물학자가 이 동물을 왑티아속으로 잠정적으로 이동시킨 적이 있다. 그러나 추안디아넬라는 복부마디 5개를 가진 왑티아와는 달리 복부마디가 8개이다. 다리는 이분지이며 왑티아와 반대로 다리의 구분이 쉽지 않다.[3] 당시 다른 논문 저자들은 왑티아와 추안디아넬라를 충분히 구별할 만한 차이점들이 있다고 여겼다.[4][5] 2022년에 이에 대한 재연구논문이 기재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추안디아넬라가 히메노카리나목으로 분류되는 것을 부정하며 그 이유를 샅샅이 밝혔다. 추안디아넬라가 히메노카리나목의 공통 특징인 큰턱과 작은턱이 없으며 히메노카리나목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 ‘상위 줄기군 절지동물’로 대신 봐야 한다는 것이다.[6]

특징

추안디아넬라의 모습을 위아래로 표현한 그림

추안디아넬라의 표본에서 전체 몸길이는 최대 30mm에 달하며, 그 중 이매갑각의 길이는 몸길이의 절반 수준인 14.5mm에 달한다. 이 갑각은 안쪽에 접합선이 있다.[6] 이매갑각은 인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7] 머리에는 눈자루 한 쌍이 있다. 몸통은 최소 18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부속기 한 쌍은 안쪽으로 마주보는 센털이 나 있는 지절 10개로 구성된 길다란 더듬이이다. 두 번째 부속기는 일분지이며 짧고 지절은 6개이다. 뒤이어 서로 비슷하게 생긴 이분지 10쌍이 늘어서 있다. 이분지에는 적어도 지절 27마디인 안쪽다리가 있는데, 다리 축에서 날카롭게 수직선으로 돌출한 날 모양의 내돌기가 나 있으며, 깃털 구조를 보인다. 바깥다리는 짧으며 노 모양이다. 몸통의 끝에는 길쭉한 꼬리지느러미 한 쌍이 나 있다.[6]

생태

해류에서 흘러나오는조그만 먹이 입자들을 깃털같은 안다리 내돌기로 잡아채 고 짧은 두 번째 다리로 먹이를 다듬던 여과섭식자였으며 활발히 헤엄을 쳤을 것으로 보인다.[6] 추안디아넬라의 화석표본에서 100개 이상의 알이 발견되었는데, 각각의 알들의 크기가 0.5mm를 넘고 이매갑각의 안쪽면에 달라붙어 있어, 이를 포식자들로부터 알을 보호하기 위한 양육 보호의 한 형태인 것으로 사료된다.[8]

같이 보기

각주

  1. Chuandianella ovata. 《Paleobiology Database》.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Chuandianella. 《Paleobiology Database》. 2012년 2월 16일에 확인함. 
  3. Rod S. Taylor (2002). “A new bivalved arthropod from the Early Cambrian Sirius Passet fauna, North Greenland”. 《Palaeontology》 45 (Part 1): 97–123. doi:10.1111/1475-4983.00229. 
  4. Waptia fieldensis. 《Royal Ontario Museum》. 2011. 2013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14일에 확인함. 
  5. Hu-Qin Liu & De-Gan Shu (2004). “澄江化石库中川滇虫属化石的新信息” (PDF). 《Journal of Northwest University (Natural Science Edition)》 (중국어) 34 (4): 453–456. 
  6. Zhai, Dayou; Williams, Mark; Siveter, David J.; Siveter, Derek J.; Harvey, Thomas H. P.; Sansom, Robert S.; Mai, Huijuan; Zhou, Runqing; Hou, Xianguang (2022년 2월 22일). “Chuandianella ovata: An early Cambrian stem euarthropod with feather-like appendages”. 《Palaeontologia Electronica》 (영어) 25 (1): 1–22. doi:10.26879/1172. ISSN 1094-8074. S2CID 247123967. 
  7. Liu, Cong; Fu, Dongjing; Zhang, Xingliang (2021). Álvaro, Javier, 편집. “Phosphatic carapace of the waptiid arthropod Chuandianella ovata and biomineralization of ecdysozoans”. 《Palaeontology》 (영어) 64 (6): 755–763. doi:10.1111/pala.12570. ISSN 0031-0239. S2CID 238645514. 
  8. Ou, Qiang; Vannier, Jean; Yang, Xianfeng; Chen, Ailin; Mai, Huijuan; Shu, Degan; Han, Jian; Fu, Dongjing; Wang, Rong; Mayer, Georg (2020년 5월). “Evolutionary trade-off in reproduction of Cambrian arthropods”. 《Science Advances》 (영어) 6 (18): eaaz3376. Bibcode:2020SciA....6.3376O. doi:10.1126/sciadv.aaz3376. ISSN 2375-2548. PMC 7190318. PMID 32426476.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