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조 : 간고등어, 간코치, 만년 2인자 클럽 신규 회원, 2단계 클럽 창시자, 왕년 에이스, 탈락의 교과서
쇼리 : 날다람쥐, 단신클럽 회장, 커플전의 사나이
마르코 : 들짐승
박재민 : 만년 2인자, 1.5인자, 상품 사냥꾼, 꽈당 박재민 선생
김동준 : 영원한 2인자
진온 : 1단계 클럽 회장
권태호 : 인간 병기
민호 : 에이스
상추 : 괴물
데니 안 : 주장
김병만 : 신
코너
시청자 서비스 게임
드림팀이 메인 경기를 하기 전 몸풀기로 하는 게임. 종목은 매 회마다 달라진다.
1위의 지목으로 패자 결정전이 치러진다. 1위를 한 드림팀 멤버에게 구애 작전을 펼쳐야 열외 받을 수 있다.
최종 대결(결승전)에서 지는 팀(또는 출연자)이 시청자에게 주는 간식 비용을 모두 지불한다.
50회부터 171회까지 진행했던 코너.
시청자 서비스 게임 간식 목록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50회 군만두 1000개
51회 도넛 240개(12개들이 20상자)
52회 피자 480조각(60판)
59회 호두과자 4000개
60회 찐빵 1000개
64회 귤 1000개
65회 안흥찐빵 300개
69회 귤 12상자
70회 잉어빵 1000개
72회 바나나 1000개
76회 쌀음료 1300개
78회 피자 1000조각
79회 치킨 1500조각
81회 알로에주스 1500캔
82회 도넛 1200개
83회 찐만두 1000개
85회 매실 음료 1500개
89회 보리 탄산음료 1500개
91회 알로에 주스 1500개
93회 복숭아 아이스티 1000개
94회 바나나와 이온음료 1200개
95회 신선한 빵 1500개
98회 쌀음료 1000개
99회 유자 주스 1000개
100회 맛있는 빵 1000개
104회 두유 1000개
105회 피자 1500조각(100판)
107회 두유 1000개
108회 치킨 2000조각
109회 어른용 홍삼 음료/아이용 홍삼 주스 1000병
111회 호빵 1000개
112회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1000개
113회 찹쌀떡과 두텁떡 1000개
114회 붕어빵 파이 1500개
115회 삼각김밥 1000개
118회 따뜻한 커피와 어린이 관객을 위한 상큼한 과일주스
119회 해조류 비빔국수
121회 감자 스낵 1000개
122회 떡 1000개
123회 일본식 주먹밥 1000개
125회 오렌지 주스 1000개
127회 청포도 주스 1000개
131회 보리음료 1000개
135회 브리또+레모네이드 음료수 1000개
137회 1등-돼지고기 세트, 2등-예쁜 가방, 3등-축구공
138회 알로에 음료수(시청자 서비스 게임을 하지 않고, 가족 특집을 맞아 준비)
140회 과자(시청자 서비스 게임 하지 않음.)
143회 음료수 1000병
144회 아이스크림 1000개
145회 퓨전 도시락 600개
146회 알로에 음료 1000개
148회 두유 1000병
149회 비타민 음료 1000개
150회 무화과 양갱 1000개
152, 155, 157회 비타민 음료수 1000병
158회 바나나 1000개
160회 두텁떡 1000개
162회 견과류 1000개
163회 칼국수 300인분
167회 죽 1000인분(시청자 서비스 게임 하지 않음.)
169회 육포 1800봉지
171회 초코바 1000개
173회 견과류 500봉지(패자부활전 탈락자가 구매)
176회 견과류 1000봉지(즉석 개그 배틀에서 꼴찌를 한 출연자가 구매)
177회 천안 호두과자 1000봉지(게임 없음)
233회 과일 주스 1000병
시청자 도전 <나도 드림팀이다>
시청자들이 드림팀 멤버와 제작진 대표로 구성된 후원자들 앞에서 장기자랑을 해서, 후원자가 후원하고픈 사람 선택하여 드림팀+시청자 2인 1조가 된다. 5가지 장애물 중 시청자들은 2, 3단계에 도전해서 1등은 벽걸이 세탁기, 인기상은 등안마기를 받는다. 1등 시청자를 후원한 드림팀 멤버는 간식 값을 지불한다. 150회에서는 벌칙 멤버 지목권도 가지고, 벌칙 멤버가 간식값을 지불했다.
148회부터 152회까지 진행했던 코너.
커플 선정 댄스 배틀 & 커플 게임
매주 걸그룹 멤버들이 1:1 댄스 배틀을 해서 더 많은 선택을 받는 멤버가 승리한다. 승리한 멤버는 드림팀 멤버 중에서 커플이 되고 싶은 사람을 선택한다. 커플이 되면 커플 게임을 해서 최종 꼴찌 팀이 간식값 지불한다.
155회부터 163회까지 진행했던 코너.
드림 명품 투어
매주 오프닝 장소에서 낙오자 선정 게임을 하여 꼴찌를 한 멤버가 본경기가 열리는 장소까지 걸어오는 벌칙을 수행한다. 그리고, 드림팀에 팀장을 뽑아서 선수 출전권과 작전권을 부여하고 드림팀 패배 시 그 다음에 팀장이 교체된다.
171회, 175회에서 진행했던 코너.
릴레이 종합 장애물 경기
본경기에 들어가기 전에 와일드 카드(추가 도전 기회 횟수)를 정하기 위해 릴레이 종합 장애물 경기를 한다. 탈락 횟수가 더 적은 팀이 승리하게 된다.(단, 탈락 횟수가 같을 경우에는 완주 기록이 빠른 팀이 승리한다.)
승리한 팀은 3번의 추가 도전 기회(총 10번), 패배한 팀은 2번의 추가 도전 기회(총 9번)를 가진다.
169회까지 진행했던 코너
와일드 카드전
후반전 경기를 하고, 마지막으로 와일드카드 1장씩 부여하여 에이스전을 펼친다.
172회, 176회에서 진행했던 코너
간보기 체험권 획득 게임
게임을 해서 이긴 팀은 신설된 장애물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기회 획득하고, 진 팀은 전원 입수 벌칙이 주어진다.
1기 종영 후, 대부분의 출연자들이 허리 부상 등으로 공익이나 면제판정을 받은 것이 알려지며 논란이 됐다. 이들은 방송에선 외나무다리, 그물망, 이동식 장애물들을 제한시간까지 걸고 통과하는 공식적으로 평균 이상의 운동신경이 검증된 자들이었기 때문이다. 이런 앞뒤가 안 맞는 행적 덕분에 '출발 공익팀' 혹은 '출발 면제팀'이라는 오명을 얻었다.
연예인만 편애하고 상대팀을 깔보는 이창명의 편파진행이 연이어 문제되고 있는 와중에 제작진은 한술 더 떠서 아예 대놓고 재촬영을 시도해서 더 큰 비난을 받았다. 덕분에 '출발 조작팀'이라는 별명이 생겨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이었다. 상대팀이 압승을 했는데도 출연자들의 이미지 문제 때문에 재촬영을 한 적도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