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의 지진 목록

1500년 이후 칠레에서 발생했던 규모 ≥ 8.5 M 의 가장 큰 규모의 지진 목록을 그린 지도. 빠르게 움직이는 나스카판 아래로 섭입하는 칠레 지역에서는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세기 규모 M ≥ 7.0 세기당 평균 발생간격
1501년~1600년 3
1601년~1700년 6
1701년~1800년 4
1801년~1900년 19
1901년~2000년 76 7.6
2001년~현재 15 7.5
총 합 123

칠레는 빠르게 움직이는 나스카판과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은 지각 활동을 보인다. 다음은 칠레에서 발생한 지진 목록이다. 초기 세기의 기록은 불완전한 것으로 보인다.

1500년 이후 전 세계 46개의 알려진 M ≥ 8.5 지진 중 3분의 1이 칠레에서 발생했으며, 옆 지도에 표시되어 있다. 1604년1868년 (아리카), 1730년과 1822년 (발파라이소), 1751년1835년 (콘셉시온), 그리고 1575년1837년 (발디비아)처럼 거의 같은 진앙을 가진 지진도 있다.

근대에 기록된 가장 강력한 지진 또한 칠레에서 발생한 1960년 발디비아 지진이다.

지진

지역 현지
날짜
지진 규모 MMI 깊이
(km)
진앙 사망자 수 비고 출처
칼데라 1420-08-31 9.4 MS[1][2] 남위 27° 00′ 00″ 서경 71° 00′ 00″ / 남위 27.000° 서경 71.000°  / -27.000; -71.000 칠레, 하와이, 일본에 파괴적인 쓰나미 발생
콘셉시온 1570-02-08 8.3 MS 남위 36° 48′ 00″ 서경 73° 00′ 00″ / 남위 36.800° 서경 73.000°  / -36.800; -73.000 파괴적인 쓰나미
1575-03-17 7.3 MS 남위 33° 24′ 00″ 서경 70° 36′ 00″ / 남위 33.400° 서경 70.600°  / -33.400; -70.600
발디비아 1575-12-16 8.5 MS 남위 39° 48′ 00″ 서경 73° 12′ 00″ / 남위 39.800° 서경 73.200°  / -39.800; -73.200 파괴적인 쓰나미
아리카 해역 1604-11-24 8.5 MS 30 남위 18° 30′ 00″ 서경 70° 24′ 00″ / 남위 18.500° 서경 70.400°  / -18.500; -70.400 파괴적인 쓰나미
아리카 해역 1615-09-16 7.5[3] MS 남위 18° 30′ 00″ 서경 70° 21′ 00″ / 남위 18.500° 서경 70.350°  / -18.500; -70.350 중간 규모의 쓰나미
산티아고 1647-05-13 8.5 MS 남위 35°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35.000° 서경 72.000°  / -35.000; -72.000
콘셉시온 1657-03-15 8.0 MS 남위 36° 49′ 48″ 서경 73° 01′ 48″ / 남위 36.830° 서경 73.030°  / -36.830; -73.030 40 파괴적인 쓰나미
1681-03-10 7.3 MS 남위 18° 30′ 00″ 서경 70° 21′ 00″ / 남위 18.500° 서경 70.350°  / -18.500; -70.350
1687-07-12 7.3 MS 남위 32° 45′ 00″ 서경 70° 43′ 48″ / 남위 32.750° 서경 70.730°  / -32.750; -70.730
발파라이소 1730-07-08 8.7 MS/9.1 MW[4] 남위 33° 03′ 00″ 서경 71° 37′ 48″ / 남위 33.050° 서경 71.630°  / -33.050; -71.630 5 파괴적인 쓰나미
발디비아 1737-12-24 7.7 MS 남위 39° 48′ 00″ 서경 73° 12′ 00″ / 남위 39.800° 서경 73.200°  / -39.800; -73.200 쓰나미
콘셉시온 1751-05-25 8.5 MS 남위 36° 49′ 48″ 서경 73° 01′ 48″ / 남위 36.830° 서경 73.030°  / -36.830; -73.03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796-03-30 7.7 MS 남위 27° 21′ 00″ 서경 70° 21′ 00″ / 남위 27.350° 서경 70.350°  / -27.350; -70.350
코피아포 1819-04-11 8.2–8.5 Mw 남위 27° 21′ 00″ 서경 70° 21′ 00″ / 남위 27.350° 서경 70.350°  / -27.350; -70.350 파괴적인 쓰나미
발파라이소 1822-11-19 8.5 MS 남위 33° 03′ 00″ 서경 71° 37′ 48″ / 남위 33.050° 서경 71.630°  / -33.050; -71.630 20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829-09-26 7.0 MS 남위 33° 03′ 00″ 서경 71° 37′ 48″ / 남위 33.050° 서경 71.630°  / -33.050; -71.630
1831-10-08 7.8 MS 남위 18° 30′ 00″ 서경 71° 00′ 00″ / 남위 18.500° 서경 71.000°  / -18.500; -71.000
1833-09-18 7.7 MS 60 남위 18° 30′ 00″ 서경 70° 24′ 00″ / 남위 18.500° 서경 70.400°  / -18.500; -70.400
콘셉시온 1835-02-20 8.5/8.2 MS/M? 남위 36° 49′ 48″ 서경 73° 01′ 48″ / 남위 36.830° 서경 73.030°  / -36.830; -73.030 500 파괴적인 쓰나미
발디비아 1837-11-07 8.8–9.5 남위 39° 48′ 00″ 서경 73° 12′ 00″ / 남위 39.800° 서경 73.200°  / -39.800; -73.20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847-10-08 7.3 MS 남위 31° 36′ 36″ 서경 71° 10′ 48″ / 남위 31.610° 서경 71.180°  / -31.610; -71.180
1849-12-17 7.5 MS 남위 29° 57′ 00″ 서경 71° 22′ 12″ / 남위 29.950° 서경 71.370°  / -29.950; -71.37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850-12-06 7.3 MS 남위 33° 48′ 36″ 서경 70° 13′ 12″ / 남위 33.810° 서경 70.220°  / -33.810; -70.220
1851-04-02 7.1 MS 남위 33° 19′ 12″ 서경 71° 25′ 12″ / 남위 33.320° 서경 71.420°  / -33.320; -71.420
1859-10-05 7.6 MS 남위 27° 21′ 00″ 서경 70° 21′ 00″ / 남위 27.350° 서경 70.350°  / -27.350; -70.350 중간 규모의 쓰나미
아리카 1868-08-13 9.0/8.5 M?/MS 남위 18° 30′ 00″ 서경 70° 21′ 00″ / 남위 18.500° 서경 70.350°  / -18.500; -70.350 25,000 파괴적인 쓰나미, 당시 이 지역은 페루의 일부였다.
1869-08-24 7.5 MS 남위 19° 36′ 00″ 서경 70° 13′ 48″ / 남위 19.600° 서경 70.230°  / -19.600; -70.23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871-10-05 7.3 MS 남위 20° 12′ 00″ 서경 70° 10′ 12″ / 남위 20.200° 서경 70.170°  / -20.200; -70.170 쓰나미
이키케 1877-05-09 8.8 MS/M? 남위 19° 36′ 00″ 서경 70° 13′ 48″ / 남위 19.600° 서경 70.230°  / -19.600; -70.230 2,385 파괴적인 쓰나미
1878-01-23 7.9 MS 40 남위 20° 00′ 00″ 서경 70° 18′ 00″ / 남위 20.000° 서경 70.300°  / -20.000; -70.300
1879-02-02 7.3 MS 남위 53° 00′ 00″ 서경 70° 40′ 12″ / 남위 53.000° 서경 70.670°  / -53.000; -70.670
1880-08-15 7.7 MS 남위 31° 37′ 12″ 서경 71° 10′ 48″ / 남위 31.620° 서경 71.180°  / -31.620; -71.180
발파라이소 1906-08-16 8.2 MW 25 남위 33°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33.000° 서경 72.000°  / -33.000; -72.000 3,882 중간 규모의 쓰나미
1909-06-08 7.6 MS 남위 26° 30′ 00″ 서경 70° 30′ 00″ / 남위 26.500° 서경 70.500°  / -26.500; -70.500
1910-10-04 7.3 MS 남위 22° 00′ 00″ 서경 69° 00′ 00″ / 남위 22.000° 서경 69.000°  / -22.000; -69.000
1911-09-15 7.3 MS 남위 20°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20.000° 서경 72.000°  / -20.000; -72.000
1914-01-29 8.2 MS 남위 35° 00′ 00″ 서경 73° 00′ 00″ / 남위 35.000° 서경 73.000°  / -35.000; -73.000
1917-02-14 7.0 MS 남위 30° 00′ 00″ 서경 73° 00′ 00″ / 남위 30.000° 서경 73.000°  / -30.000; -73.000
1918-05-20 7.9 MS 남위 28° 30′ 00″ 서경 71° 30′ 00″ / 남위 28.500° 서경 71.500°  / -28.500; -71.500
1918-12-04 8.2 MS 60 남위 26° 00′ 00″ 서경 71° 00′ 00″ / 남위 26.000° 서경 71.000°  / -26.000; -71.00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919-03-01 7.2 MS 40 남위 41° 00′ 00″ 서경 73° 30′ 00″ / 남위 41.000° 서경 73.500°  / -41.000; -73.500
1919-03-02 7.3 MS 40 남위 41° 00′ 00″ 서경 73° 30′ 00″ / 남위 41.000° 서경 73.500°  / -41.000; -73.500
1920-12-10 7.4 MS 남위 39° 00′ 00″ 서경 73° 00′ 00″ / 남위 39.000° 서경 73.000°  / -39.000; -73.000
1922-11-07 7.0 MS 남위 28°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28.000° 서경 72.000°  / -28.000; -72.000
바예나르 1922-11-10 8.5 MW 25 남위 28° 30′ 00″ 서경 70° 00′ 00″ / 남위 28.500° 서경 70.000°  / -28.500; -70.000 1,00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923-05-04 7.0 MS 60 남위 28° 45′ 00″ 서경 71° 45′ 00″ / 남위 28.750° 서경 71.750°  / -28.750; -71.750
1925-05-15 7.1 MS 50 남위 26° 00′ 00″ 서경 71° 30′ 00″ / 남위 26.000° 서경 71.500°  / -26.000; -71.500
1926-04-28 7.0 MS 180 남위 24° 00′ 00″ 서경 69° 00′ 00″ / 남위 24.000° 서경 69.000°  / -24.000; -69.000
1927-11-21 7.1 MS 남위 44° 30′ 00″ 서경 73° 00′ 00″ / 남위 44.500° 서경 73.000°  / -44.500; -73.00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928-11-20 7.1 MS 25 남위 22° 30′ 00″ 서경 70° 30′ 00″ / 남위 22.500° 서경 70.500°  / -22.500; -70.500
탈카 1928-12-01 8.3/7.6 MS/M? 남위 35°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35.000° 서경 72.000°  / -35.000; -72.000 225 쓰나미
1929-10-19 7.5 MS 100 남위 23° 00′ 00″ 서경 69° 00′ 00″ / 남위 23.000° 서경 69.000°  / -23.000; -69.000
1931-03-18 7.1 MS 남위 32° 30′ 00″ 서경 72° 00′ 00″ / 남위 32.500° 서경 72.000°  / -32.500; -72.000
1933-02-23 7.6 MS 40 남위 20° 00′ 00″ 서경 71° 00′ 00″ / 남위 20.000° 서경 71.000°  / -20.000; -71.000
1936-03-01 7.1 MS 120 남위 40° 00′ 00″ 서경 72° 30′ 00″ / 남위 40.000° 서경 72.500°  / -40.000; -72.500
1936-07-13 7.3 MS 60 남위 24° 30′ 00″ 서경 70° 00′ 00″ / 남위 24.500° 서경 70.000°  / -24.500; -70.000
치얀 1939-01-24 8.3 Mw 60 남위 36° 12′ 00″ 서경 72° 12′ 00″ / 남위 36.200° 서경 72.200°  / -36.200; -72.200 28,000
1939-04-18 7.4 MS 100 남위 27° 00′ 00″ 서경 70° 30′ 00″ / 남위 27.000° 서경 70.500°  / -27.000; -70.500
1940-10-11 7.0 MS 남위 41° 30′ 00″ 서경 74° 30′ 00″ / 남위 41.500° 서경 74.500°  / -41.500; -74.500
1942-07-08 7.0 MS 140 남위 24° 00′ 00″ 서경 70° 00′ 00″ / 남위 24.000° 서경 70.000°  / -24.000; -70.000
1943-03-14 7.2 MS 150 남위 20° 00′ 00″ 서경 69° 30′ 00″ / 남위 20.000° 서경 69.500°  / -20.000; -69.500
오바예 1943-04-06 8.2 MW 55 남위 30° 45′ 00″ 서경 72° 00′ 00″ / 남위 30.750° 서경 72.000°  / -30.750; -72.000 25 쓰나미
1943-12-01 7.0 MS 100 남위 21° 00′ 00″ 서경 69° 00′ 00″ / 남위 21.000° 서경 69.000°  / -21.000; -69.000
1945-07-13 7.1 MS 100 남위 33° 15′ 00″ 서경 70° 30′ 00″ / 남위 33.250° 서경 70.500°  / -33.250; -70.500
1946-08-02 7.9 MS 50 남위 26° 30′ 00″ 서경 70° 30′ 00″ / 남위 26.500° 서경 70.500°  / -26.500; -70.500
1949-04-19 7.3 MS 70 남위 38° 00′ 00″ 서경 73° 30′ 00″ / 남위 38.000° 서경 73.500°  / -38.000; -73.500
1949-04-25 7.3 MS 110 남위 19° 45′ 00″ 서경 69° 00′ 00″ / 남위 19.750° 서경 69.000°  / -19.750; -69.000
1949-05-29 7.0 MS 100 남위 22° 00′ 00″ 서경 69° 00′ 00″ / 남위 22.000° 서경 69.000°  / -22.000; -69.000
티에라델푸에고 1949-12-17 7.8 MS VIII 30 남위 54° 00′ 00″ 서경 71° 00′ 00″ / 남위 54.000° 서경 71.000°  / -54.000; -71.000/남위 54° 0′ 0″ 서경 68° 46′ 11″ / 남위 54.00000° 서경 68.76972°  / -54.00000; -68.76972[5] [5]
1949-12-17 7.8 MS 남위 54° 00′ 00″ 서경 71° 00′ 00″ / 남위 54.000° 서경 71.000°  / -54.000; -71.000
1950-01-29 7.0 MS 남위 53° 30′ 00″ 서경 71° 30′ 00″ / 남위 53.500° 서경 71.500°  / -53.500; -71.500
칼라마 1950-12-09 8.3 MS 100 남위 23° 30′ 00″ 서경 67° 30′ 00″ / 남위 23.500° 서경 67.500°  / -23.500; -67.500
1953-05-06 7.6 MS 60 남위 36° 30′ 00″ 서경 72° 36′ 00″ / 남위 36.500° 서경 72.600°  / -36.500; -72.600
1953-12-06 7.4 MS 128 남위 22° 06′ 00″ 서경 68° 42′ 00″ / 남위 22.100° 서경 68.700°  / -22.100; -68.700
1954-02-08 7.7 MS 남위 29° 00′ 00″ 서경 70° 30′ 00″ / 남위 29.000° 서경 70.500°  / -29.000; -70.500
1955-04-19 7.1 MS 남위 30° 00′ 00″ 서경 72° 00′ 00″ / 남위 30.000° 서경 72.000°  / -30.000; -72.000 쓰나미
1956-01-08 7.1 MS 11 남위 19° 00′ 00″ 서경 70° 00′ 00″ / 남위 19.000° 서경 70.000°  / -19.000; -70.000
1956-12-17 7.0 MS 남위 25° 30′ 00″ 서경 68° 30′ 00″ / 남위 25.500° 서경 68.500°  / -25.500; -68.500
1957-07-29 7.0 MS 남위 23° 30′ 00″ 서경 71° 30′ 00″ / 남위 23.500° 서경 71.500°  / -23.500; -71.500
1959-06-13 7.5 MS 83 남위 20° 25′ 12″ 서경 69° 00′ 00″ / 남위 20.420° 서경 69.000°  / -20.420; -69.000
콘셉시온 1960-05-21 7.9/7.3 M?/MS X 남위 37° 30′ 00″ 서경 73° 30′ 00″ / 남위 37.500° 서경 73.500°  / -37.500; -73.500 125
1960-05-22 7.3 MS 남위 37° 30′ 00″ 서경 73° 00′ 00″ / 남위 37.500° 서경 73.000°  / -37.500; -73.000
발디비아 1960-05-22 9.5 Mw XII 33 남위 39° 30′ 00″ 서경 74° 30′ 00″ / 남위 39.500° 서경 74.500°  / -39.500; -74.500 1,655 파괴적인 쓰나미, 기록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
1960-06-19 7.3 MS 남위 38° 00′ 00″ 서경 73° 30′ 00″ / 남위 38.000° 서경 73.500°  / -38.000; -73.500
1960-11-01 7.4 MS 55 남위 38° 30′ 00″ 서경 75° 06′ 00″ / 남위 38.500° 서경 75.100°  / -38.500; -75.100
1961-07-13 7.0 MS 40 남위 41° 42′ 00″ 서경 75° 12′ 00″ / 남위 41.700° 서경 75.200°  / -41.700; -75.200
1962-02-14 7.3 MS 45 남위 37° 48′ 00″ 서경 72° 30′ 00″ / 남위 37.800° 서경 72.500°  / -37.800; -72.500
1962-08-03 7.1 MS 107 남위 23° 18′ 00″ 서경 68° 06′ 00″ / 남위 23.300° 서경 68.100°  / -23.300; -68.100
탈탈 1965-02-23 7.0 MS 36 남위 25° 40′ 12″ 서경 70° 37′ 48″ / 남위 25.670° 서경 70.630°  / -25.670; -70.630 1
라 리과 1965-03-28 7.4 MS 68 남위 32° 25′ 05″ 서경 71° 06′ 00″ / 남위 32.418° 서경 71.100°  / -32.418; -71.100 400
1966-12-28 7.8 MS 23 남위 25° 30′ 36″ 서경 70° 44′ 24″ / 남위 25.510° 서경 70.740°  / -25.510; -70.740
1967-03-13 7.3 MS 33 남위 40° 07′ 12″ 서경 74° 40′ 48″ / 남위 40.120° 서경 74.680°  / -40.120; -74.680
1967-12-21 7.5 MS 33 남위 21° 48′ 00″ 서경 70° 00′ 00″ / 남위 21.800° 서경 70.000°  / -21.800; -70.000
1971-06-17 7.0 MS 76 남위 25° 24′ 07″ 서경 69° 03′ 29″ / 남위 25.402° 서경 69.058°  / -25.402; -69.058
이야펠 1971-07-08 7.5 MS 40 남위 32° 30′ 40″ 서경 71° 12′ 25″ / 남위 32.511° 서경 71.207°  / -32.511; -71.207 90 중간 규모의 쓰나미
1974-08-18 7.1 MS 36 남위 38° 27′ 11″ 서경 73° 25′ 52″ / 남위 38.453° 서경 73.431°  / -38.453; -73.431
1975-05-10 7.7 MS 6 남위 38° 10′ 59″ 서경 73° 13′ 55″ / 남위 38.183° 서경 73.232°  / -38.183; -73.232
1976-11-29 7.3 MS 82 남위 20° 31′ 12″ 서경 68° 55′ 08″ / 남위 20.520° 서경 68.919°  / -20.520; -68.919
1979-08-03 7.0 MS 49 남위 26° 31′ 05″ 서경 70° 39′ 50″ / 남위 26.518° 서경 70.664°  / -26.518; -70.664
1981-10-16 7.5 MS 33 남위 33° 08′ 02″ 서경 73° 04′ 26″ / 남위 33.134° 서경 73.074°  / -33.134; -73.074
1983-10-04 7.3 MS 14 남위 26° 32′ 06″ 서경 70° 33′ 47″ / 남위 26.535° 서경 70.563°  / -26.535; -70.563
알가로보 1985-03-03 8.0 Mw VIII 33 남위 33° 14′ 24″ 서경 71° 51′ 00″ / 남위 33.240° 서경 71.850°  / -33.240; -71.850 177 쓰나미
라펠 호수 1985-04-08 7.5 MS 37 남위 34° 07′ 52″ 서경 71° 37′ 05″ / 남위 34.131° 서경 71.618°  / -34.131; -71.618 1
이키케 1987-03-05 7.3 MS 62 남위 24° 23′ 17″ 서경 70° 09′ 40″ / 남위 24.388° 서경 70.161°  / -24.388; -70.161 쓰나미
1987-08-08 7.1 MS 42 남위 19° 00′ 00″ 서경 70° 00′ 00″ / 남위 19.000° 서경 70.000°  / -19.000; -70.000
안토파가스타 1995-07-30 8.0 MW 47 남위 23° 21′ 36″ 서경 70° 18′ 36″ / 남위 23.360° 서경 70.310°  / -23.360; -70.310 3 쓰나미
푸니타키 1997-10-15 7.1 MW VIII 56 남위 30° 46′ 23″ 서경 71° 18′ 54″ / 남위 30.773° 서경 71.315°  / -30.773; -71.315 8
칠레 북부 해안 근처 1998-01-30 7.1 M? VII 42 남위 23° 54′ 36″ 서경 70° 12′ 00″ / 남위 23.910° 서경 70.200°  / -23.910; -70.200 1 오래된 건물에 경미한 피해
타라파카 2005-06-13 7.8 MW VII 108/117.2 남위 19° 53′ 42″ 서경 69° 07′ 30″ / 남위 19.895° 서경 69.125°  / -19.895; -69.125/남위 19° 56′ 02″ 서경 69° 01′ 41″ / 남위 19.934° 서경 69.028°  / -19.934; -69.028 11 칠레 산티아고와 브라질 브라질리아까지 느껴졌다
아이센 피오르 2007-04-21 6.2 Mw VII 25 남위 45° 16′ 서경 72° 40′ / 남위 45.27° 서경 72.66°  / -45.27; -72.66 10
토코피야 2007-11-14 7.7 MW VIII 47.7/40 남위 22° 18′ 50″ 서경 70° 04′ 41″ / 남위 22.314° 서경 70.078°  / -22.314; -70.078 2 브라질 상파울루에서도 느껴졌다
마울레, 비오비오 2010-02-27 8.8 MW IX 30/35 남위 36° 17′ 24″ 서경 73° 14′ 20″ / 남위 36.290° 서경 73.239°  / -36.290; -73.239 525 파괴적인 쓰나미
피칠레무 2010-03-11 6.9 Mw VII 33.1 남위 34° 15′ 32″ 서경 71° 55′ 44″ / 남위 34.259° 서경 71.929°  / -34.259; -71.929 1 [6][7]
아라우카니아 2011-01-02 7.1 Mw VI 25.1 남위 38° 21′ 14″ 서경 73° 16′ 30″ / 남위 38.354° 서경 73.275°  / -38.354; -73.275 [8]
탈카 2012-03-25 7.1 Mw VIII 40.7 남위 35° 10′ 59″ 서경 71° 47′ 31″ / 남위 35.183° 서경 71.792°  / -35.183; -71.792 1 [9]
바예나르 2013-01-30 6.8 Mw VI 45.0 남위 28° 05′ 38″ 서경 70° 39′ 11″ / 남위 28.094° 서경 70.653°  / -28.094; -70.653 1 [10]
이키케 2014-03-16 7.0 Mw VI 20.6 남위 19° 58′ 52″ 서경 70° 42′ 07″ / 남위 19.981° 서경 70.702°  / -19.981; -70.702 쓰나미
이키케 2014-04-01 8.2 Mw VIII 25 남위 19° 36′ 36″ 서경 70° 46′ 08″ / 남위 19.610° 서경 70.769°  / -19.610; -70.769 7 쓰나미 [11]
이키케 2014-04-01 7.5 Mw VIII 26.8 남위 20° 05′ 06″ 서경 70° 23′ 20″ / 남위 20.085° 서경 70.389°  / -20.085; -70.389
이키케 2014-04-01 7.0 Mw VI 29.7 남위 19° 53′ 35″ 서경 70° 56′ 42″ / 남위 19.893° 서경 70.945°  / -19.893; -70.945
이키케 2014-04-02 7.7 Mw IX 22.4 남위 20° 34′ 16″ 서경 70° 29′ 35″ / 남위 20.571° 서경 70.493°  / -20.571; -70.493 쓰나미
이야펠, 코킴보주 2015-09-16 8.3 Mw IX 20 남위 31° 34′ 서경 71° 39′ / 남위 31.57° 서경 71.65°  / -31.57; -71.65 15 쓰나미
케욘 2016-12-25 7.6 Mw VIII 39 남위 43° 24′ 58″ 서경 73° 52′ 48″ / 남위 43.416° 서경 73.880°  / -43.416; -73.880 쓰나미 [12]
코킴보주 2019-01-20 6.7 Mw VIII 63 남위 30° 04′ 26″ 서경 71° 25′ 23″ / 남위 30.074° 서경 71.423°  / -30.074; -71.423 2
마울레주 2019-09-29 6.8 Mw VI 11 남위 35° 28′ 23″ 서경 73° 09′ 43″ / 남위 35.473° 서경 73.162°  / -35.473; -73.162 1
드레이크 해협 2025-05-02 7.4 Mww V 10 남위 56° 46′ 55″ 서경 68° 12′ 32″ / 남위 56.782° 서경 68.209°  / -56.782; -68.209 규모 7.4 지진

같이 보기

각주

  1. L. Guzmán: Encuentran registros de megaterremoto ocurrido hace seis siglos en el norte de Chile, El Mercurio, 2019-02-14.
  2. Manuel Abad, Tatiana Izquierdo, Miguel Cáceres, Enrique Bernárdez and Joaquín Rodríguez‐Vidal (2018). Coastal boulder deposit as evidence of an ocean‐wide prehistoric tsunami originated on the Atacama Desert coast (northern Chile). Sedimentology. Publication: december, 13th, 2018. https://doi.org/10.1111/sed.12570
  3. Kovach, Robert L. (2004). 《Early earthquakes of the Americas》 1. publ., repr.판. Cambridge [u.a.]: Cambridge Univ. Press. 139쪽. ISBN 978-0-521-82489-7. 2014년 9월 7일에 확인함. 
  4.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NCEI/WDS Global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doi:10.7289/V5TD9V7K. 2024년 3월 20일에 확인함. 
  5. Argentina's seismic prevention institute. Listado de Terremotos Históricos 보관됨 2012-03-16 - 웨이백 머신
  6. “Informe de Sismo”. Sismologia.cl. 2010년 3월 15일. 2012년 4월 12일에 확인함. 
  7. “Hombre fallece en Talca de un paro cardíaco en medio de fuertes réplicas | NACIONAL”. latercera.com. 2010년 7월 31일. 2012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2일에 확인함. 
  8. “Magnitude 7.1 – ARAUCANIA, CHILE”. 미국 지질조사국. 2011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2일에 확인함. 
  9. “Magnitud 7.1 MAULE, CHILE”. 미국 지질조사국. 2012년 3월 25일. 2012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25일에 확인함. 
  10. “M 6.8 – 54 km N of Vallenar, Chile”. 미국 지질조사국. 2013년 1월 30일. 2022년 4월 20일에 확인함. 
  11. “Chile earthquake: 2 dead, 3 seriously injured”.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4년 4월 2일. 
  12. “M7.6 – 39 km SSW of Puerto Quellon, Chile”. 미국 지질조사국. 2016년 12월 25일. 2016년 12월 26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추가 읽기

  • Gil, Magdalena (2024), 〈Forjadores de la nación: rethinking the role of earthquakes in Chilean history〉, de Carvalho Cabral, D.; Vital, A. V.; Gascón, M., 《More-Than-Human Histories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Decentring the Human in Environmental History》, University of London Press, JSTOR jj.17681896.10 
  • Ruiz, S.; Madariaga, R. (2018), “Historical and recent large megathrust earthquakes in Chile”, 《Tectonophysics》 733: 37–56, doi:10.1016/j.tecto.2018.01.015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