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의 농업![]() 카자흐스탄의 농업은 카자흐스탄 경제에서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카자흐스탄 GDP에서 농업은 10% 미만을 차지하며 노동자의 20%만이 농업에 종사하지만, 반면 전체 토지의 70% 이상은 작물 및 가축 사육에 사용되고 있다. 농지의 70% 이상은 영구 목초지이다. 농사카자흐스탄의 주력 작물은 밀로, 수출도 이루어진다. 카자흐스탄은 밀 생산 세계 6위이다.[1] 기타 재배 작물로는 보리, 면, 사탕수수, 해바라기, 아마, 쌀이 있다. 2011년 카자흐스탄의 곡물 수확량은 2690만 톤을 넘어섰으며, 이는 2년 전 기록인 2100만 톤을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 한편 이듬해인 2012년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그 해 가뭄으로 곡물 수확량이 1400만 톤으로 감소했다고 발표했다.[2][3] 1995년부터 2015년까지 카자흐스탄의 농업 생산량은 41% 증가했다. 2015년 농업 상품의 수출액은 3억 7900만 달러에 달했다.[4] 카자흐스탄 농업 투자는 2015년 4억 4600만 달러에서 2016년 6억 8700만 달러로 50% 증가했다.[5] 2015년 3월,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최근 5년 동안 카자흐스탄의 농업 생산량이 약 2배 늘었으며, 수출 또한 1.6배 증가해 30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6] 카자흐스탄의 토지는 소련 (카자흐 SSR) 시기 처녀지 개간 운동으로 인해 양분이 거의 고갈된 상태로, 현재까지 농작물 재배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곡물 생산카자흐스탄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밀 및 밀가루 수출국으로, 세계 10위권 내에 들어간다. 주요 재배 작물은 제분밀(milling wheat)로, 품질이 높고 단백질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카자흐스탄 농업에서는 생산된 곡물을 수출하는 경향이 생겨났다.[7] 2011년, 카자흐스탄은 기록적인 풍작으로 농작물 2700만 톤을 수확해, 이듬해까지 1500만 톤을 수출했다.[7] 2014년 카자흐스탄의 밀 생산량은 전 해인 2013년의 1390만 톤에서 1450만 톤으로 증가했다.[8] 2015년 7월, 카자흐스탄 재정부는 키르기스스탄의 유라시아 경제 연합 가입에 맞춰 2020년까지 키르기스스탄으로의 곡물 수출량을 50 ~ 60% 증가시키겠다고 발표하였다.[9] 가축카자흐스탄에서 사육되는 가축으로는 많은 순으로 소, 닭, 양, 돼지, 말, 염소가 있으며, 고기 생산량은 소, 돼지, 양, 닭 순으로 많다. 기타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양털, 우유, 달걀이 있다. 카자흐스탄에는 늑대가 약 9만 마리 분포하며, 이는 세계 최대이다. 국가 정책애그리비즈니스 - 20202013년 2월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애그리비즈니스 - 2020" 농업-산업 신단지 건설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10] "애그리비즈니스 - 2020" 계획의 목표는 경제적 회복, 상품의 감당성 증가, 농업-산업 단지 서비스의 경제성 증대, 국가 농민 지원 시스템의 발전, 농업-산업 단지 국가 관리 체계의 효율성 증대이다.[10] "애그리비즈니스 - 2020" 계획과 같은 맥락으로,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4년 4월 농업 관련 기업들을 "건강하게" 만들기 위한 보조금 지급 관련 경제부양책을 발표했다.[11] 이를 위해 2014년 전반기에 2차 은행(second-tier bank)에 7억 7천만 달러를 지원하기도 했다.[11] 전문가들은 중앙에서의 보조금 지급만으로는 카자흐스탄 농업 발전에 제한적인 영향만을 끼친다면서, 교육 증진 및 지방 자치 활성화와 같이 기관의 적극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12] 협동조합 투자2016년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농부들에게 장비, 저장고, 교통수단, 수의 서비스, 사료 및 농화학 상품 공급 지원, 대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협동조합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13] 이 계획을 통해 협동조합 157개가 농부 15,000명에게 도움을 주었고, 우유 집하장 100개 이상을 건설했다.[13] 2015년 7월 23일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농업 협동조합을 위해 "농업 협동조합법" 안에서 새로운 세금 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14] 이 계획을 통해 카자흐스탄 농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고 있다. 장주기 생산 추세2013년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곡물 시장 안정화" 기본 계획을 발표했으며,[8] 내용은 "애그리비즈니스 - 2020" 계획과 맞물려 2013년 ~ 2020년 동안 곡물 생산, 소비, 수출량 목표 설정한다는 것이다.[8]
투자2014년 카자흐스탄의 농업 투자량은 444만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전 년보다 17% 증가한 수치였다. 카자흐스탄의 농업 관련 대기업 및 중기업의 수익성은 17.7%였는데, 전 해의 4.5%에 비해 매우 크게 증가했다.[15]2015년 농업에 대한 투자는 450만 달러에 도달했다.[16] 파트너십2015년 5월 23일,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와 카자흐스탄 농업부는 FAO 파트너십 개시 및 연락 사무소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협정을 체결했다. FAO 파트너십을 통해 카자흐스탄 정부와 식량 농업 기구가 함께 카자흐스탄 및 주변 지역 국가들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17]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