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그마케리그마(Kerygma, κῆρυγμα, kêrugma)는 '설교'(눅 4:18-19, 롬 10:14, 마태 3:1)라는 말의 신약성경에서 사용한 그리스어다. 이와 관련한 헬라어 동사 'κηρύσσω'(kērússō)는 문자적으로 '전달자로서 선포하다'라는 의미다. 성서학자들 사이에서는 이 용어가 초대 교회의 핵심 메시지, 즉 예수에 대한 가르침의 본질을 가리키는 말로 자리잡았다. 용법케리그마적(Kerygmatic)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예수의 전 사역을 관통하는 메시지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이는 “이론적 이성에 대한 논증이 아니라, 하나의 ‘자기 자신에게 들리는 선포’로서의 메시지”를 의미한다.[1] 이는 이해를 목적으로 교훈적으로 사용되는 성경 해석 방식과는 구별되며, 케리그마의 개념에서 십자가 처형의 의미는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2] 20세기 중반, 복음서의 문학적 장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 C. H. 다드와 루돌프 불트만과 같은 학자들은 복음서가 고대 세계에서 독특한 장르라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이 장르를 ‘케리그마’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는 설교가 문학 형태로 발전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불트만의 이론에 여러 문제점이 있음이 지적되었지만, 성서학 및 신학 담론에서 케리그마라는 용어는 점차 기독교 사도적 선포의 축약된 본질을 의미하는 말로 자리잡게 되었다. 도드는 『사도행전』에서 베드로의 설교들을 분석하여 고대 기독교의 케리그마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3][4]
4세기에 이르러, 이 케리그마는 니케아 신경(Nicene Creed)의 형태로 공식화되었다.[3][4] 같이 보기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