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태어난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의 화석이 문헌으로 보고된 적이 있다.[5] 연구에 의하면 켄트로사우루스아과 공룡은 완전히 자라기 전에는 짝짓기 신호에 사용되는 기관을 발달시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6] 스코트 샘슨은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서 짝짓기 신호에 쓰이는 기관이 천천히 성숙하는 것과 나이와 관련된 특징들에 기반해 계층을 이루는 사회구조를 가지는 동물에서 사춘기가 길어지는 것의 공통점에 주목한다.[6] 이런 동물들에서 젊은 수컷들은 보통 실제로 짝짓기를 하기 수 년 전에 성적으로 성숙해 있지만 짝짓기 신호에 사용되는 기관이 완전히 발달된 후에야 짝짓기를 한다.[7] 대조적으로, 암컷은 긴 사춘기를 겪지 않는다.[7]
↑Csotonyi, J.T.; White, S. (2014). Paleoart of Julius Csotonyi: Dinosaurs, Sabre-Tooths and Beyond. Titan Books. 102–103쪽. ISBN978-1-7811-6912-4.
↑ 가나다라Fiorillo, A. R.; Tykoski, R. S. (2012). “A new Maastrichtian species of the centrosaurine ceratopsid Pachyrhinosaurus from the North Slope of Alaska”. 《Acta Palaeontologica Polonica》 57 (3): 561. doi:10.4202/app.2011.0033.
↑Ryan, M. J.; Evans, D. C.; Shepherd, K. M.; Sues, H. (2012). “A new ceratopsid from the Foremost Formation (middle Campanian) of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49 (10): 1251. doi:10.1139/e2012-056.
↑"Abstract," Tanke and Brett-Surman (2001). Page 207.
↑ 가나"Retarded Growth of Mating Signals," Sampson (2001); page 270.
↑ 가나"Sociological Correlates in Extant Vertebrates," Sampson (2001); page 265.
참고 문헌
Sampson, S. D. (1995b). "Two new horned dinosaurs from the Upper Cretaceous Two Medicine Formation of Montana;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Centrosaurinae (Ornithischia: Ceratopsidae)."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15(4): 743-760.
Sampson, S. D., 2001, Speculations on the socioecology of Ceratopsid dinosaurs (Orinthischia: Neoceratopsia): In: Mesozoic Vertebrate Life, edited by Tanke, D. H., and Carpenter, K., Indiana University Press, pp. 263–276.
Tanke, D.H. and Brett-Surman, M.K. 2001. Evidence of Hatchling and Nestling-Size Hadrosaurs (Reptilia:Ornithischia) from Dinosaur Provincial Park (Dinosaur Park Formation: Campanian), Alberta, Canada. pp. 206–218. In: Mesozoic Vertebrate Life—New Research Inspired by the Paleontology of Philip J. Currie. Edited by D.H. Tanke and K. Carpenter.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xviii + 577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