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투라팍툼

성악에서 콘트라팍툼(contrafactum, 또는 콘트라팍트, 복수형 콘트라팍타)은 "음악의 실질적인 변화 없이 하나의 가사를 다른 가사로 대체하는 것"이다.[1] 이러한 "서정적 각색"의 가장 오래된 알려진 예는 9세기의 그레고리오 성가로 거슬러 올라간다.[2]

분류

다른 가사를 전체적으로 대체하는 콘트라팍타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다른 언어로 된 상당히 다른 가사

원래 의도를 보존하는 직접적인 번역은 "대체"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음 노래들의 다른 언어로 다시 만들어진 가사는 상당히 다른 의미를 가진다.

  • "고엽" (프랑스어 "Les Feuilles mortes", 직역하면 "죽은 잎") – 프랑스어는 자크 프레베르 (1945), 영어는 조니 머서 (1947), 음악은 조제프 코스마 (1945)[3]
  • "Comme d'habitude", 음악은 클로드 프랑수아와 자크 르보, 원본 프랑스어 가사는 클로드 프랑수아와 질 티보, 영어 가사는 폴 앵카가 "마이 웨이"로 다시 썼다. 앵카가 이 노래의 영어 판권을 획득하기 전, 데이비드 보위는 같은 멜로디에 "Even a Fool Learns to Love"라는 다른 가사를 썼다.
  • "For He's a Jolly Good Fellow" (영어 1800년대 중반), 프랑스어 "Marlbrough s'en va-t-en guerre" ("말버러는 전쟁에 나섰다", 1700년대)에서 유래.
  • "빌헬뮈스"(또는 "헷 빌헬뮈스")는 일부가 네덜란드 왕국의 국가를 형성하는데, 같은 운명을 겪는다. 이것은 1576-77년의 거지 송북(Beggars Songbook)에서 콩데 공(Prince of Condé)과 위그노(Huguenots)가 1568년 초 샤르트르 시를 포위한 것에 대한 프랑스 노래의 멜로디로 지정된 "샤르트르의 멜로디"를 기반으로 한다. "Autre chanson de la ville de Chartres assiegee par le Prince de Condé, sur un chant nouveau"라는 제목의 이 노래가 "헷 빌헬뮈스"의 기반을 형성했다.[4]

음악에 맞춰진 시

세속적이거나 신성한 가사를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 멜로디에 새로운 시를 붙이는 것으로, 종종 찬송가에서 발생하며, 때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둘 이상의 새로운 가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자체 재작업

작사가가 자신의 노래(또는 다른 사람의 노래)를 같은 음악에 새로운 가사로 다시 만들 수 있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같은 작가가 다른 가사로 다시 쓴 다른 노래들은 다음과 같다.

패러디

특히 풍자적 목적을 위한 가사의 의도적인 패러디는 다음 음악 활동의 핵심이었다.

콘트라팍타와 패러디 작가들은 이전 노래의 시적 운율, 운율 체계, 그리고 음악적 운율을 모방하려고 노력했다. 그들은 모델의 가사와 아이디어와 긴밀한 연결을 설정하고 그것들을 유머러스하거나 진지한 새로운 목적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더 나아갔다.[10]

유머러스한 콘트라팍타는 특히 풍자적이지 않더라도 "패러디"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같이 보기

각주

  1. Deane L. Root (편집.). 〈Contrafactum (from medieval Lat. contrafacere: 'to imitate', 'counterfeit', 'forge')〉. 《Grove Music Online. Oxford Music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구독 필요)
  2. Rootes, Larry (Spring 2001). 《Hymnody: A Development of the Middle Ages》. 《Sacred Music》 128 (Richmond). ProQuest 1202734.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3. Schachter, Michael (2013). 《'Autumn Leaves': Intricacies of Style in Keith Jarrett's Approach to the Jazz Standard》. 《Indiana Theory Review》 31. 115–167쪽. JSTOR 10.2979/inditheorevi.31.1-2.0115. Project MUSE 669644.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4. Florimond van Duyse, "Het oude Nederlandsche lied. Tweede deel", Martinus Nijhoff / De Nederlandsche Boekhandel, The Hague/Antwerp, 1905[확인 필요]
  5. “Tunes by name”. Cyberhymnal.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4일에 확인함. 
  6. Rorke, Margaret Ann (1984). 《Sacred Contrafacta of Monteverdi Madrigals and Cardinal Borromeo's Milan》. 《Music & Letters》 65. 168–175쪽. doi:10.1093/ml/65.2.168. JSTOR 736980. 
  7. “John Wiley & Sons: 200 Years of Publishing – Birth of the New American Literature: 1807–1826”. 2018년 4월 27일에 확인함. 
  8. 《Defence of Fort M'Henry》. 《The Analectic Magazine》 4. November 1814. 433–434쪽. hdl:2027/umn.31951000925404p. 
  9. Clague, Mark, and Jamie Vander Broek. "Banner moments: the national anthem in American life"
  10. Lohman, Laura (2020년 11월 22일). 'More Truth than Poetry': Parody and Intertextuality in Early American Political Song》. 《MUSICultures》 47. 34–62쪽. ProQuest 2481240065.  |id=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 (도움말)
  11. As American as tarte aux pommes! Celebrating the Fourth with some American Music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