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로드 작전(Operation Crossroads)은 1946년 중반 미국이 비키니 환초에서 실시한 두 차례의 핵무기 실험이다. 이는 1945년 7월 16일 트리니티 이후 첫 번째 핵무기 실험이자,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이후 첫 핵폭발이었다. 실험의 목적은 핵무기가 군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크로스로드 실험은 마셜 제도에서 실시된 많은 핵실험 중 첫 번째였으며, 사전에 공개적으로 발표되고 대규모 기자단을 포함한 초대된 청중이 참관한 최초의 시험이었다. 이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핵무기를 개발했던 맨해튼 프로젝트가 아닌 윌리엄 H. P. 블랜디 중장이 이끄는 합동군/해군 특수부대 1에 의해 수행되었다. 95척의 목표 선박 함대가 비키니 라군에 집결되어 1945년 나가사키에 투하된 것과 같은 팻 맨 플루토늄 내파형 핵무기를 두 번 폭발시켰다. 각각의 폭발력은 TNT 23킬로톤(96 TJ)이었다.
첫 번째 실험은 에이블(Able)이었다. 폭탄은 1946년 영화 길다에서 리타 헤이워스의 캐릭터 이름을 따서 길다로 명명되었으며 1946년 7월 1일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 빅 스팅크스(데이브의 드림)에서 투하되었다. 목표 지점을 649m(2,130피트)만큼 빗나갔기 때문에 예상되는 선박 손상량보다 적다.
두 번째 실험은 베이커(Baker)였다. 이 폭탄은 헬렌 오브 비키니(Helen of bikini)로 알려졌으며 1946년 7월 25일 수중 90피트(27m)에서 폭발했다. 방사성 바다 물보라는 광범위한 오염을 일으켰다. 찰리(Charlie)라는 이름의 세 번째 심해 실험은 1947년에 계획되었지만 주로 미 해군이 베이커 실험 이후 대상 선박의 오염을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취소되었다. 결국, 자침이 아닌 폐기가 가능한 목표 선박은 9척뿐이었다. 찰리는 1955년 멕시코 해안(바하 캘리포니아)에서 수행된 심해 사격인 위그왐 작전으로 일정이 변경되었다.
비키니의 원주민은 LST-861을 타고 섬에서 대피했으며 대부분은 롱게리크 환초로 이동했다. 1950년대 일련의 대규모 열핵실험으로 인해 비키니는 방사능 오염으로 인해 자급 농업 및 어업에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비키니는 2017년 현재 무인 상태로 남아 있지만 스포츠 다이버들이 가끔 방문하기도 한다.
기획자들은 크로스로드 작전 실험 참가자를 방사선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려고 시도했지만 한 연구에 따르면 참가자의 기대 수명이 평균 3개월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표적 선박에 대한 베이커 테스트의 방사능 오염은 핵폭발로 인한 즉각적이고 집중된 방사능 낙진의 첫 번째 사례였다. 미국 원자력위원회의 최장수 의장이자 화학자 글렌 T. 시보그(Glenn T. Seaborg)는 베이커를 "세계 최초의 핵 재앙"이라고 불렀다.[1]
Campbell, Richard H. (2005), 《The Silverplate Bombers: A History and Registry of the Enola Gay and Other B-29s Configured to Carry Atomic Bombs》,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 Company, ISBN0-7864-2139-8, OCLC58554961
Christman, Albert B. (1998), 《Target Hiroshima: Deak Parsons and the Creation of the Atomic Bomb》,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ISBN1-55750-120-3, OCLC38257982
Coster-Mullen, John (2003), 《Atom Bombs: The Top Secret Inside Story of Little Boy and Fat Man》, Milwaukee: Self published
Daly, Thomas N. (1986), “Crossroads at Bikini”, 《Proceedings of the U.S. Naval Institute》 (Annapolis, Maryland) 112 (7, July 1986), 65–74쪽, ISSN0041-798X
Groves, Leslie (1962), 《Now It Can Be Told: The Story of the Manhattan Project》, New York: Harper, ISBN0-306-70738-1, OCLC537684
Hansen, Chuck (1995), 《Volume VII: The Development of US Nuclear Weapons》,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Sunnyvale, California: Chukelea Publications, ISBN978-0-9791915-1-0, OCLC231585284
Navy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02), 《Operation Crossroads: Fact Sheet》, Washington, DC: Navy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12년 10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1월 1일에 확인함
Newson, Henry W. (1945), 《Memorandum to Norris Bradbury, December 17, 1945, Possible Difficulties in Naval Tests》, Los Alamos, New Mexico: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DOE/CIC 120851
Peterson, Howard C. (1946), 《Memorandum to General J. Lawton Collins, February 12, 1946》, Washington, DC: Records of the Office of the Secretary of War, RG 107 (Atomic Energy Folder), National Archives
Waters, Odale D. Jr. (1986), “Crossroads: A Tin Can Perspective”, 《Proceedings of the U.S. Naval Institute》 (Annapolis, Maryland) 112 (7, July 1986), 72–74쪽, ISSN0041-79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