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나제팜(Clonazepam, 상품명으로 '리보트릴' 등이 사용된다)은 스위스 로슈(Roche)사가 개발한 항경련제로. 발작, 공황 장애, 정좌불능증이라고 불리는 운동장애에 처방하는 벤조디아제핀계통의 향정신성의약품이다.[1] 클로나제팜은 1시간 이내로 효과가 발휘되며, 6시간에서 12시간까지 효력이 발휘된다.[3]
다른 벤조디아제핀계통과 같이, 클로나제팜도 오랜 기간 이용할시, 벤조디아제핀에 대한 내성 및, 의존 그리고 갑자기 끊게 되면 금단증상을 일으킨다.[1] 4주이상 클로나제팜을 복용한 사람들중 1/3이 금단증상을 보이기도 하였다.[4] 또한 우울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자살위험성을 증대시킨다.[1] 또한 임산부가 클로나제팜을 복용시 태아에게도 악영항을 끼칠수 있다[1] 클로나제팜은 GABAA 수용기를 둘러싸며, GABA 신경전달물질의 효과를 더 증대시킨다.[4]
클로나제팜은 1964년 특허를 받았으며, 1975년에 미국에 시판되게 된다.[5] 현재 클로나제팜은 제네릭으로 풀려있으며,[1]개발도상국에서의 도매가는 미국 달러로 환산시 한알당 0.01 달러에서 0.07달러 사이이다.[6] 반면 미국에선 한 알당 0.4 달러에 거래된다.[1] 대한민국의 경우, 국내 업체에서 이를 유통하는데, 환인제약과 한국 로슈이다. 종근당에서 수입하는 한국 로슈의 0.5mg 클로나제팜의 경우 의료보험 적용 대상이며, 한 알당 30원(약 0.03달러)이다.[7] 보통 세계 여러나라에서 리보트릴을 레크리에이션 마약으로 사용한다.[8][9]
클로나제팜은 카르바마제핀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키며,[12][13] 마찬가지로 카르바마제핀도 클로나제팜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아졸계 항진균제, 예를 들어 케토콜나졸은 클로나제팜의 신진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4] 클로나제팜은 또한 페니토인(diphenylhydantoin)의 농도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12][14][15][16] 거꾸로 페니토인은 클로나제팜의 혈장내 농도를 50% 빠르게 제거해버리고, 31%이상 반감기를 줄여버릴수 있다.[17]
또한 클로나제팜은 프리미돈의 농도와[15] 페노바르비탈의 농도를 증가시킨다.[18]
클로나제팜을 항우울제와 항간질제, 예를 들어, 페노바르비탈, 페니토닌 그리고 카르바마제핀, 진정제인 항히스타민제, 아편제, 항정신병제, 졸피뎀 같은 비벤조디아제핀계통 수면제, 그리고 알코올과 같이 먹게 되면 더한 진정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4]
합성
리보트릴 상자와 병(0.5mg)
각주
↑ 가나다라마바사“Clonazepam”.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8월 15일에 확인함.
↑Rossetti AO; Reichhart MD; Schaller MD; Despland PA; Bogousslavsky J (July 2004). “Propofol treatment of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a study of 31 episodes”. 《Epilepsia》 45 (7): 757–63. doi:10.1111/j.0013-9580.2004.01904.x. PMID15230698.
↑Ståhl Y, Persson A, Petters I, Rane A, Theorell K, Walson P (April 1983). “Kinetics of clonazepam in relation to electroencephalographic and clinical effects”. 《Epilepsia》 24 (2): 225–31. doi:10.1111/j.1528-1157.1983.tb04883.x. PMID6403345.
↑ 가나Lander CM; Eadie MJ; Tyrer JH (1975). “Interactions between anticonvulsants”. 《Proc Aust Assoc Neurol》 12: 111–6. PMID2912.
↑ 가나Windorfer A Jr; Sauer W (1977). “Drug interactions during anticonvulsant therapy in childhood: diphenylhydantoin, primidone, phenobarbitone, clonazepam, nitrazepam, carbamazepin and dipropylacetate”. 《Neuropadiatrie》 8 (1): 29–41. doi:10.1055/s-0028-1091502. PMID321985.
↑Windorfer A; Weinmann HM; Stünkel S (March 1977). “[Laboratory controls in long-term treatment with anticonvulsive drugs (author's transl)]”. 《Monatsschr Kinderheilkd》 125 (3): 122–8. PMID323695.
↑Khoo KC; Mendels J; Rothbart M; Garland WA; Colburn WA; Min BH; Lucek R; Carbone JJ; Boxenbaum HG; Kaplan SA (September 1980). “Influence of phenytoin and phenobarbital on the disposition of a single oral dose of clonazepam”. 《Clin Pharmacol Ther》 28 (3): 368–75. doi:10.1038/clpt.1980.175. PMID7408397.
↑Bendarzewska-Nawrocka B; Pietruszewska E; Stepień L; Bidziński J; Bacia T (1980). “[Relationship between blood serum luminal and diphenylhydantoin level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and other clinical data in drug-resistant epilepsy]”. 《Neurol Neurochir Pol》 14 (1): 39–45. PMID7374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