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르프로마진 (chlorpromazine , CPZ , 상표명: Thorazine, Largactil 등)은 항정신병제제 약물이다.[ 2] 조현병 등의 정신증 을 치료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2] 다른 용도로는 양극성 장애 ,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 구역질 및 구토 , 수술 전 불안, 또 다른 조치로 개선되지 않는 딸꾹질 의 치료가 포함된다.[ 2] 구강으로나 근육 주사 , 수액 을 통해 복용할 수 있다.[ 2]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운동 문제 , 졸음 , 구갈(목마름), 기립성 저혈압 , 몸무게 증가가 포함된다.[ 2]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잠재적으로 영구적인 운동 질환, 지발성 안면 마비 ,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 , 백혈구 감소 가 포함될 수 있다.[ 2] 치매 로 인하여 정신병이 있는 노인들의 경우 사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2] 임신 중에 사용해도 안전한지는 분명하지 않다.[ 2] 클로르프로마진은 전형적인 항정신병약계에 속한다.[ 2] 동작 구조는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도파민 길항제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짐작된다.[ 2] 항세로토닌성 , 항히스타민 의 속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2]
클로르프로마진은 1950년에 발견되었으며 최초의 항정신병약이었다.[ 3] [ 4] 의료제도 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 에 등재되어 있다.[ 5] 이 약물의 도입은 정신과학사 에서 상당한 진보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6] [ 7] 제네릭 의약품 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2] 개발도상국 의 도매가는 하루 당 US$0.02 ~ US$0.12 사이이다.[ 8] 미국내 도매가는 2019년 기준으로 하루에 약 US$7.80에 달한다.[ 9]
약리학
약물동력학
클로르프로마진의 3가지 일반 대사물질
연구
클로르프로마진은 파울러 자유아메바 에 감염된 동물들에게 잠정적인 효력이 있으며[ 10] 항진균, 항균 활동의 인 비트로 를 보여준다.[ 11]
같이 보기
각주
↑ 가 나 다 라 “PRODUCT INFORMATION LARGACTIL” . 《TGA eBusiness Services》. Sanofi Aventis Pty Ltd. 28 August 2012. 30 March 2017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3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Chlorpromazine Hydrochloride” .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8 December 2015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1 December 2015에 확인함 .
↑ López-Muñoz, Francisco; Alamo, Cecilio; Cuenca, Eduardo; Shen, Winston W.; Clervoy, Patrick; Rubio, Gabriel (2005). “History of the discovery and clinical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Annals of Clinical Psychiatry》 17 (3): 113–35. doi :10.1080/10401230591002002 . PMID 16433053 .
↑ Ban, TA (August 2007). “Fifty years chlorpromazine: a historical perspective.” .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3 (4): 495–500. PMC 2655089 . PMID 19300578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López-Muñoz, F; Alamo, C; Cuenca, E; Shen, WW; Clervoy, P; Rubio, G (2005). “History of the discovery and clinical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Annals of Clinical Psychiatry》 17 (3): 113–35. doi :10.1080/10401230591002002 . PMID 16433053 .
↑ Shorter, Edward (2005). 《A historical dictionary of psychiatry》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쪽. ISBN 9780198039235 . 14 February 2017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Chlorpromazine HCL” .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9 March 2017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1 December 2015에 확인함 .
↑ “NADAC as of 2019-02-13” . 《Centers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영어). 2019년 2월 1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Kim, JH; Jung, SY; Lee, YJ; Song, KJ; Kwon, D; Kim, K; Park, S; Im, KI; Shin, HJ (November 2008). “Effect of therapeutic chemical agents in vitro and on experimental meningoencephalitis due to Naegleria fowleri” (PDF) .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52 (11): 4010–4016. doi :10.1128/AAC.00197-08 . PMC 2573150 . PMID 18765686 . 8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 (PDF ) 에서 보존된 문서.
↑ Afeltra, J.; Verweij, P. E. (2003년 7월 1일). “Antifungal Activity of Nonantifungal Drug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 (Springer Nature) 22 (7): 397–407. doi :10.1007/s10096-003-0947-x . ISSN 0934-9723 .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