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레네의 헤게시아스![]() 키레네의 헤게시아스(그리스어: Ἡγησίας; fl. 기원전 290년대[1])는 키레네 학파의 철학자이다. 그는 에우다이모니아 (행복)이란 얻을 수 없는 것이며, 인생의 목표는 고통과 슬픔을 피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와 가난, 자유, 굴종 같은 전통적 가치들은 모두 하찮은 것들이며 고통보다 나은 그 이상의 쾌락을 만들어내지 못한다고 보았다. 키케로는 헤게시아스가 ἀποκαρτερῶν (아사를 통한 죽음)이라는 책을 썼는데, 이 책이 많은 사람들을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납득시켜서, 헤게시아스가 알렉산드리아에서 강습을 하는 것을 금지당했다고 전한다. 일부에선 헤게시아스가 불교의 교리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2] 생애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는 헤게시아스가 아리스티포스 (기원전 435년경 – 기원전 360년경)의 제자인, 키레네의 안티파테르의 제자인, 에피티메데스의 제자인, 파라이바테스의 제자라고 서술하였다. 그는 안니케리스와 동기이기는 했지만, 안니케리스가 우애, 우정 등 우호성을 강조한 키레네 학파의 학풍과는 차이가 있었고 키레네 학파의 최대의 허무주의적 학풍을 발전시켰다.[3] 철학헤게시아스는 삶의 목표를 쾌락으로 본다는 면에서 아리스티포스를 따랐지만, 그가 인간의 삶에 대하여 가졌던 관점은 좀 더 비관적이었다. 그는 행복이란 얻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인생의 목표가 될 수 없다고 하였으며, 따라서 현명한 사람의 유일한 인생 목표는 고통과 슬픔에서 해방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모든 사람들은 스스로 만족할 수 있기에, 모든 외부의 대상들은 쾌락의 진정한 원천이 되지 못한다고 보았다.
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