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루카리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서품되었다.[6] 1596년 루카리스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멜레티오스 피가스에 의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파견되어 로마와 키예프의 연합을 제안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연합에 반대하던 정교회를 이끌었다. 6년 동안 루카리스는 빌뉴스 (현재 리투아니아)에 정교회 학교의 교수를 지냈다.[4] 1601년, 루카리스는 29세의 나이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취임하였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좌에 오를 때까지 20년 동안 이 직책을 계속 맡았을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루카리스는 개신교 개혁 교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신학을 채택했다.
투르크의 억압과 예수회 선교사들로 인한 정교회 신앙인들의 개종로 인해, 정교회 신앙과 그리스어를 가르치는 학교가 부족했다. 로마 가톨릭 학교가 세워지고 정교회 옆에 가톨릭 교회가 지어졌으며, 정교회 사제들의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해야 했다. 그의 첫 번째 행동은 아토스산에 신학교인 아토니아다 학교를 설립하는 것이었다.
1627년, 그는 이스탄불에 최초의 그리스어 인쇄소를 설립하는 것을 승인받았다. 그러나 프랑스 정부는 언론이 반-가톨릭 논평을 발행하기 시작하자 오스만 당국에 공식 항의했고, 그 결과 오스만 당국은 1년 뒤 폐쇄 명령을 내렸다.[7]
↑Medlin, William K. 《Renaissance Influences and Religious Reforms in Russia》. 104쪽.
↑Papadopoulos, Chrysostom (1939). Kyrillos Loukaris, p. 15 (Athens).
↑Masters, Bruce (2006). 《"Christians in a Changing World" in the Cambridge History of Turkey, Volume 3, edited by Suraiya N. Faroqh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6–277쪽.
of Etna, Chrysostomos, 《The Myth of the Calvinist Patriarch》, Orthodox info – article from an Orthodox standpoint claiming Lucaris was not a Calvinist.
Michaelides, George P (1943), “The Greek Orthodox Position on the Confession of Cyril Lucaris”, 《Church History》 (J Stor) 12 (2): 118–129, doi:10.2307/3159981, JSTOR3159981, S2CID162495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