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파르니

탐라파르니(산스크리트어로 "구리 잎이 있는"[1] 또는 "붉은 잎의"[2])는 스리랑카, 인도의 티루넬벨리, 그리고 타밀나두주의 티루넬벨리를 흐르는 탐미라바라니강을 포함한 여러 다른 장소의 옛 이름이다.

스리랑카의 이름으로서

기원전 3세기 인도 황제 아소카암각 비문에는 그의 해외 사절단과 관련하여 탐라파르니(탐바판니로)라는 단어가 언급되어 있다.[3] 한 비문에는 그의 담마 비자야(담마를 통한 승리)가 초다(촐라 왕조)와 파다(판디아 왕조)의 국경 왕국과 탐바판니까지 퍼졌다고 명시되어 있다.[4] 이는 스리랑카의 불교 연대기에 따르면 전설적인 왕 비자야의 통치 기간 동안 탐마판니라는 항구 도시가 세워졌다고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스리랑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도시는 비자야의 후계자 판두바스데바 통치 기간 동안 "탐메나"로 불렸고, 아소카의 선교사 아들 마헨드라 통치 기간 동안 "탐마판니"로 불렸다. 이 연대기에 따르면, 이 장소는 마헨드라의 피부에 먼지가 달라붙어 구리색으로 보였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고 한다. 이 이름은 이후 스리랑카 전체 섬에 적용되었다.[3]

한 이론에 따르면, 스리랑카의 고대 그리스 이름인 "타프로바네"는 "탐라파르니"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2] 이 이름은 스리랑카의 "구리색" 해안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으며, 팔리어 "탐바판니"를 통해 그리스어에 유입되었을 수 있다.[5] 아소카의 할아버지인 찬드라굽타에게 파견된 그리스 대사 메가스테네스는 타프로바네를 본토와 강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인도보다 금과 큰 진주가 더 많이 생산된다"고 묘사했다. 이는 스리랑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3] 고대 그리스(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 "지오그래피아", 기원후 150년)가 그린 세계 지도에는 인도 아대륙 남쪽에 위치한 거대한 섬이 그리스어로 "타프로바네"로 언급되어 있으며, 현대 역사가들은 이를 스리랑카섬으로 식별한다.[6]

강의 이름으로서

"탐라파르니"라는 이름은 스리랑카의 이름으로 사용된 후 비교적 나중에 티루넬벨리와 그곳을 흐르는 강에 적용되었다.[3] 역사가 R. 샴파칼락슈미는 산스크리트어 "탐라파르니"와 프라크리트어 "탐바판니"가 타밀어 단어 "탄 포루나이"를 번역한 것이라고 이론화한다.[7] 이 이론에 따르면, 탐미라바라니강은 원래 "탄 포루나이"(문자적으로 "시원한 토디")로 알려져 있었다.[8] 이 강 이름은 고대 타밀 시집인 에투토카이에 나타난다.[9]

각주

  1. Wendy Doniger (2010). 《The Hindus: An Alternative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665쪽. ISBN 978-0-19-959334-7. 
  2. Edward Grey, 편집. (2010). 《Travels of Pietro Della Valle in India: From the Old English Translation of 1664》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0쪽. ISBN 978-1-108-01493-9. 
  3. Jyotirmay Sen. “Asoka's mission to Ceylon and some connected problems”. The Indian Historical Quarterly. 2019년 7월 17일에 확인함. 
  4. Shailendra Kumar Verma (1996). 《Art And Iconography Of The Buddha Images》. Eastern Book Linkers. 164쪽. ISBN 978-81-86339-16-9. 
  5. Jamsheed K. Choksy (2007). 〈Iranians and Indians on the shores of Serendib (Sri Lanka)〉. John Hinnells; Alan Williams. 《Parsis in India and the Diaspora》. Routledge. 181쪽. ISBN 978-1-134-06752-7. 
  6. W. J. Van Der Meulen, Suvarnadvipa and the Chryse Chersonesos, Indonesia, Vol. 18, 1974, page 6.
  7. Leelananda Prematilleka; Sudharshan Seneviatne, 편집. (1990). 《Perspectives in archaeology: Leelananda Prematilleke Festschrift, 1990》. Department of Archaeology, University of Peradeniya. 90쪽. Tambapanni and Tamra- parni are in fact the Prakrit and Sanskrit rendering of Tamil "Tān Porunai" (Champakalakshmi 1967—68). 
  8. 《Journal of Tamil Studies》. 《International Institute of Tamil Studies》. Tamil Philoligy. 1973. 61쪽. 2019년 5월 27일에 확인함. The river in Tinnevelly called by the Sanskrit authors Tambrapurny, like the Ceylon island, is called to this day by the Tamuls Poruni or the toddy river ; which appears decisive of the point. 
  9. John R. Marr (1985). 《The Eight Anthologies: A Study in Early Tamil Literature》. Institute of Asian Studies.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