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라졸(영어: tetrazole)은 4개의 질소원자와 1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5원자 고리를 가지고 있는 합성헤테로고리유기 화합물의 한 종류이다. 테트라졸이란 이름은 또한 화학식이 CH2N4인 모체 화합물을 지칭하며, 3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할 수 있다.
구조와 결합
이중 결합의 위치가 다른 테트라졸의 3가지 이성질체(1H-테트라졸, 2H-테트라졸, 5H-테트라졸)가 존재한다. 1H-테트라졸과 2H-테트라졸은 서로 호변이성질체 관계이며, 고체상에서의 평형은 1H-테트라졸 쪽에 존재한다.[3][4][5] 기체상에서는 2H-테트라졸 쪽이 우세하다.[4][6][7] 1H-테트라졸과 2H-테트라졸 6개의 π전자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5H-이성질체는 비방향족 화합물이다.
5H-테트라졸(오른쪽)과 비교한 1H-테트라졸(왼쪽) 및 2H-테트라졸(가운데)의 호변이성질화
테트라졸인 여러 가지 제약제들이 있다. 테트라졸은 유사한 pKa를 갖고 생리학적 pH에서 탈양성자화되기 때문에 카복실기에 대한 생체등배전자체(bioisostere)로 작용할 수 있다. 로사르탄 및 칸데사르탄과 같은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는 보통 테트라졸이다. 잘 알려진 테트라졸은 다이메틸 티아졸릴 다이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MTT)이다. 이 테트라졸은 일반적으로 그 과정에서 세포를 죽일지라도, 살아있는 세포 배양의 호흡 활성을 정량화하기 위한 MTT 분석에 사용된다. 일부 테트라졸은 DNA 분석에서 사용할 수 있다.[11] 연구에 따르면 VT-1161 및 VT-1129는 사람의 효소가 아닌 균류의 효소 기능을 방해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강력한 항진균제이다.[12][13]
다른 테트라졸은 테트라졸 자체 및 5-아미노테트라졸과 같은 폭발성 또는 연소 특성으로 사용되며 이는 때때로 자동차에어백의 가스발생장치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테트라졸 기반의 에너지 물질은 물, 질소 가스와 같은 고온의 무독성 반응 생성물을 생성하고,[16] 높은 연소율과 상대적인 안정성을 가지며,[17] 모두 바람직한 특성들이다. 테트라졸의 비편재화 에너지는 209 kJ/mol이다.
1H-테트라졸 및 5-(벤질싸이오)-1H-테트라졸(BTT)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합성에서 커플링 반응의 산성 활성화제로 널리 사용된다.[18]
관련 헤테로 고리 화합물
트라이아졸 – 3개의 질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유사체
펜타졸 – 5개의 질소 원자를 가지고 있는 유사체(엄밀히 말하면 헤테로고리가 아닌 무기 호모고리)
↑Satchell, Jacqueline F.; Smith, Brian J. (2002). “Calculation of aqueous dissociation constants of 1,2,4-triazole and tetrazole: A comparison of solvation models”. 《Phys. Chem. Chem. Phys.》 4 (18): 4314–4318. Bibcode:2002PCCP....4.4314S. doi:10.1039/b203118c.
↑Mihina, Joseph S.; Herbst, Robert M. (1950). “The Reaction of Nitriles with Hydrazoic Acid: Synthesis of Monosubstituted Tetrazoles”. 《J. Org. Chem.》 15 (5): 1082–1092. doi:10.1021/jo01151a027.
↑Niko Fischer, Konstantin Karaghiosoff, Thomas M. Klapötke and Jörg Stierstorfer (April 2010). “New Energetic Materials featuring Tetrazoles and Nitramines –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Zeitschrift für Anorganische und Allgemeine Chemie》 636 (5): 735–749. doi:10.1002/zaac.200900521. CS1 관리 - 여러 이름 (링크)
↑Tore Brinck, Thomas M. Klapötke and Jörg Stierstorfer (2014). 〈Energetic Tetrazole N-oxides〉. 《Energetic Tetrazole N -oxides》. 《Green Energetic Materials》. 133–178쪽. doi:10.1002/9781118676448.ch06. ISBN9781118676448.
↑Nicholas Piekiel; Michael R. Zachariah (2012). “Decomposition of Aminotetrazole Based Energetic Materials under High Heating Rate Conditions”. 《J. Phys. Chem. A》 116 (6): 1519–1526. Bibcode:2012JPCA..116.1519P. doi:10.1021/jp203957t. PMID22214278.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Xia Wei (2013년 5월 6일). “Coupling activators for the oligonucleotide synthesis via phosphoramidite approach”. 《Tetrahedron》 69 (18): 3615–3637. doi:10.1016/j.tet.2013.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