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한민국인재연합회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인재연합회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4일 (수) 06:54 (KST) 보호 요청@메이: 정치적인 내용의 문서 훼손이 심하다고 생각됩니다. 장기인증된 사용자 外 편집 불가 토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정말 대단하네요! 필독토론 2020년 2월 4일 (화) 08:54 (KST) @메이: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계속 이 문서에 대한 문서 훼손이 심각하고 계속 되돌리기 했는데도 계속 테러행위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치적인 목적인 것 같은데, 장기인증된 사용자 外 편집 불가로 조정이 급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처리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KoreaTalentYes (토론) 2020년 3월 22일 (일) 18:06 (KST) 계속 허위정보가 작성된다면 위에 분 말씀처럼 보호하는 것이 맞다는 것이 제 견해입니다.셧다운96 (토론) 2020년 9월 10일 (목) 15:09 (KST) 편집분쟁에 따른 임시보호편집분쟁이 확인되므로, 본 문서를 현재 판 기준으로 1주일간 임시보호합니다. 이는 현재 판이 옳음을 의미하지 않으며, 단지 보호시점에 따라 판 보호가 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단체에 대한 사실여부나 어떤 것을 등재하게 되는지는 편집자간 토론으로 정해지므로, 본 문서에서 토론을 진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주 안에 토론에 불참하다 문서 보호해제 이후 편집을 하는 행위는 문서훼손에 해당할 수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9월 29일 (화) 15:48 (KST)
토론을 하실 때에는 확인할 수 있는 근거를 갖고 해 주시기 바랍니다. 비록 기사로 확인될 수 없는 사건도 분명히 있겠지만, 가장 큰 맥락에서는 언론보도, 그리고 실제 서류상 확인되는 정보 등에 기반하여 주장이 있어야 합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통해서 주장의 내용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주장은 확인이 불가능하며, 다른 편집자를 설득하기 어렵습니다. 각자 주장만 하지 마시고, 근거를 덧붙여 다른 편집자를 설득해주시기 바랍니다. --Sotiale (토론) 2020년 9월 29일 (화) 16:23 (KST)
우선 답변이 늦어져 송구합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근무하지 않고 있어, 개인적으로 시간을 내서 답변을 달게 되었습니다. 일단, https://esango.un.org/civilsociety/showProfileDetail.do?method=showProfileDetails&tab=3&profileCode=656106 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저희 대한민국인재연합회는 World Talent Exchange & Sharing Organization 에 명확히 Affiliated 되어 있는 단체로서, 이 곳에서 승인되어야만 단체 회장, 임원이 결정되는 구조이며 이에 따른 승인장의 경우 요청시 적절한 방법으로 송부해 드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기구를 통해 문의하실 경우 위에서 주장하는 가짜 정보가 사실이 아님도 같이 확인 가능하실 것입니다. 일단 저희 대한민국인재연합회는 IT 대회나 해킹 대회를 연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사이트도 따로 있습니다만 계속된 해킹으로 인해 복구 중에 있습니다. 다만, 한국신지식인협회 전직 회장이 회장에서 물러난 단체 동의 없이, 무단으로 단체의 명예를 더럽히며 정치 활동이나 사업을 하는 등의 행위를 해서 사회적 지탄을 받은 적이 있는데, 저희 단체에서도 사전 동의 없이 계속 이익을 취하려고 하거나 정치 행위, 종북 행위 등으로 지탄을 받았던 전직 회장을 했던 분들(제명되어 전직회장 직책은 인정되지 않음)을 포함해 몇몇 분들을 어쩔 수 없이, 제명한 역사가 있었고 홈페이지 해킹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 후 임원이 되었는데, 제명 관련 문건은 전자적 방식으로 그 날짜 등이 명확히 기록되어 변경할 수 없는 방법으로 영구 보존 중임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저희가 전직 회장 겸 고문으로 모시고 있는 김승찬 회장님에 대해 지속적으로 저희가 추측하는 바에 따르면 아마도 제명된 분들이 문서 훼손을 벌이며 명예를 더럽히는 행위가 벌어지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나아가 저희는 법무부장관 명의의 공문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도메인 가짜 등록에 대해 처리하여 달라고 요청하여 회신 받은 공문이 있으며, 이에 대해 요청하시면 적절한 방법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사실, 다른 사람들이 가짜 뉴스를 계속 찍어내든 뭐하든 상관 없이 저희는 https://esango.un.org/civilsociety/showProfileDetail.do?method=showProfileDetails&tab=1&profileCode=656106 와 같이 유엔에 등록이 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관련 컨퍼런스, 회의 등에 참여하면서 국제 인재 육성, 국제법규 등에도 활동하는 곳으로서, 보시다시피 이미 실제 회장과 실제 소재지가 실제 유성구임이 국제적으로 공시된 상황입니다. 나아가 저희 현재 회장님을 위키백과 등에서 스토킹하는 것으로 한 때 유명했던 분이 있던데, 그 분이 저희 총회에 대해서도 어떻게 알았는지 http://m.shinmoongo.net/111862 와 같은 기사도 올리셨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실 저희는 제명된 분들이 저희 총회 등에 와서 괜히 문제를 일으킬까봐 사전 공지를 안하고 있는데, 어떻게 아셨는지는 의문입니다. 이 분이 스토킹을 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별로 좋지 않은 내용을 부각해서 저희 회장님에게 나쁘게 기사를 썼었으면 썼었을 것입니다. 사실 해당 기사에서도 단체 분규 부분이 유독 강조되어 있는데, 저희가 기분이 나쁘더라도 사실이라 어쩔 수 없이 그대로 두고 있습니다. 스토킹을 했다고 하더라도 언론이 사실을 보도하는 것에 저희가 압박을 가하거나 가짜 뉴스 내서 호도하는 행위를 하면 그 것이야 말로 저희 목적을 위해 나쁜 짓을 하는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https://esango.un.org/civilsociety/showProfileDetail.do?method=showProfileDetails&tab=3&profileCode=656106, https://www.un.org/en/66th-dpingo-conference 등 지속적으로 UN 관련 회의 등에 공식적으로 참여한 기록은 충분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희의 방향은 IT나 해킹과 같은 것이 아닌 세계적인 인재 양성, 교류이며, 이는 대한민국인재상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입니다. 개인의 정치적 또는 경제적 이익을 위해 계속 가짜 뉴스 등이 나오고 있는데 현 문재인 정부에서 가짜 뉴스를 엄히 단속 중인데도 멈추지 않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차후 연휴로 인해 답변이 늦어지더라도 감안 부탁드리겠습니다. 행복한 한가위 명절 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oreaTalentYes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02:13 (KST) 앞서 이야기한 un ngo branch 는 법적인 근거가 아닌 신청서 제출과 함께 승인을 받는 구조입니다. 그 과정속에서 제출하는 것은 정관과 그 일부 서류일뿐이며, 그것이 법적인 증빙이 되진 않습니다. www.kfot.co.kr에 있는 메일로 문의주신다면 단체 등록과 관련 등록증을 보내드리겠습니다. 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0:21 (KST) un ngo branch 관련 http://csonet.org/content/documents/KoreanBooklet_High.pdf 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0:21 (KST) 주장보단 근거로 이야기하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수정된 역사를 참고하시면, 2020년에 3-4번의 행사를 개최하셨다고 했는데, 언론보도가 아닌 다른 증빙자료라도 있는게 좋을꺼 같습니다. 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0:25 (KST) 앞서 올려드린 http://csonet.org/content/documents/KoreanBooklet_High.pdf 파일을 참고하시면 법적지위가 아닌 협의적 지위이지만 법적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0:43 (KST) 뿐만 아니라, 수정한 그동안 내역들이 개인의 사적 이익 추구가 아닌 정확한 정보인지 토론에 제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관리자분들의 판단 부탁드립니다 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0:44 (KST) 또한 의견있습니다. 해당 un ngo branch 링크에 들어가서 consultative status 협의상태에 대한 내용을 보면 This organization is not in consultative status with ECOSOC. 이 기구는 ECOSOC와 협의 상태가 아니다. 라는 의견이 있으며, 첫화면에서 빨간색 글을 해석하면 A profile in this database and on this website does not in and of itself connote any affiliation with the United Nations, unless such affiliation is expressly indicated, i.e., by identifying the type of ECOSOC consultative status held by an NGO. 비정부기구(NGO)가 보유한 ECOSOC 협의 상태의 유형을 식별함으로써 그러한 가입이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데이터베이스와 이 웹사이트의 프로필은 그 자체로 유엔과의 어떠한 가입도 명시하지 않는다. 즉 현재 협의 상태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리자분들의 적극적인 검토 부탁드립니다. Kfot (토론) 2020년 10월 1일 (목) 17:40 (KST)
여기 위키백과 운영진분들도 아시겠지만 해커톤은 해킹대회가 아닙니다. 개발자들이 모여 비즈니스 모델링을 하는 대회입니다. Kfotyes (토론) 2020년 10월 7일 (수) 16:09 (KST) 2020년 10월 2일의 편집 요청
토론 기간이 완료되었습니다. 관리자분들이 토론 과정을 읽어보시고 보호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fotyes (토론) 2020년 10월 6일 (화) 17:39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