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한글라이즈발 정보를 찾아보면 Ярославская область는 '야로슬랍스카야 오블라스티'로 번역됩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발 표기(보통은 러시아CIS라고 알려진 사이트)에서 해당 러시아어의 로마자 표기를 볼 경우 Yaroslavl로 적혀 있어 해당 주의 표기는 'l'이 발음되는 '야로슬라블'이라고 적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외국어대학교발 표기는 엄밀히 보자면 공식 표기라고 보기는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Ярославская область"를 직역하면 "야로슬라프주"가 맞긴 합니다. "야로슬라브"는 현행 러시아어의 한글 표기법에 어긋난 표기입니다. 야로슬라블주라는 표기인 주도인 "야로슬라블"에 이끌린 표기인듯 한데 이 표기는 영어 등 많은 언어에서 쓰고 있으니 아마 영어권 등의 비러시아어 자료의 영향을 받은 표기일겁니다. 다만 원어상으로 야로슬라프주가 맞지만 야로슬라프와 야로슬라블은 같은 낱말의 변화 유무 차이인데가 국내에서 이미 야로슬라블주라는 표기가 월등히 많기 때문에 표제어 제목은 야로슬라블주로 하고 도입부 문장에 "야로슬라프주" 표기를 추가하는 것이 나아보입니다.--Braveattack (토론) 2024년 12월 5일 (목) 01:48 (KST)답변
@Braveattack 답변 감사드립니다. 현지어라는 정확도를 고려한다면 '야로슬라프'가 문서 제목에 더 적합하긴 하겠으나, 지명은 인명과는 달리 쾨벤하운, 뮌셴과 같이 통용도를 고려한 제목도 사용되고 있어서 문서 제목으로는 어떠한 것이 더 좋은지에 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기 애매하네요... 혹시 발제자분이 발제문에서 제시했던 다른 지명들은 어떻게 번역하는 것이 좋을지 여쭙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12월 5일 (목) 02:13 (KST)답변
한국외국어대학교가 외국어에 정통한 학교는 맞습니다만, 그 학교에 사이트를 보고 판단하기보단, 논문이나 다른 자료집을 인용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아울러 위키백과 내에서 외래어 표기는 통용 표기, 그리고 공식 표기 둘 중에 하나를 근거로 삼고 있습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24년 12월 5일 (목) 08:44 (KST)답변
@NZ 토끼들:야말로네네츠 자치구를 예로 들겠습니다. 러시아연구소에서 야말-네네츠 자치구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야말네네츠 자치구로 이동했고요. 번역기는 죄다 야말로에서 야말-로가 들어갑니다. 그래서 많이 쓰이는 표기 통용되는 것인 야말로 네네츠가 옳지만 매체 인용의 일부에서 야말 네네츠라고 소개되는데 보여 야말네네츠로 번역하는 것도 사소하게 되짚어 볼 필요가 있습니다. --Azredcon4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00:11 (KST)답변
근데 야말로네네츠가 더 문제이네요. 러시아의 연방 주체 틀에 야말로네네츠라고 적절하게 올렸습니다. 이것도 야로슬라블하고 비교해야될거라고 생각해봅니다. 도덕적인 답이 무엇일지가 문제일거 같군요. 야말네네츠냐 야말로네네츠냐. 문제네요. 틀에는 야말로네네츠라 명시해놨으니 나머지가 문제네요. --Azredcon4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00:36 (KST)답변
혹시 러시아의 연방 주체 정보상자 속 변수 항목들의 한국어 번역을 부탁드려도 괜찮으실까요? 영어 위키백과에서 정보상자를 가져오신 점 감사드리나 해당 변수 항목들이 영문 이름으로 되어 있어 한국어 위키백과에 맞게 현지화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00:39 (KST)답변
그쵸... 변수 항목들의 명칭을 수정하실 경우 "{{{영문 이름 변수|{{{한국 이름 변수|}}}}}}" 식으로(양 옆의 nowiki 문법은 빼셔야 합니다.) 작성하시어 다른 문서와 추후 한국어 위키백과에 번역될 문서의 변수 항목 누락 문제를 방지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정보상자의 번역 과정에서 틀문법 체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한국어 번역을 좀 더 자연스럽게 수행하기 위해 챗GPT를 활용하고 있긴 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00:4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