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10동 364통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적은 서울시와 안양시를 합친 면적인 672.57 km2이다.[1] 파주시의 인구는 2012년 12월을 기준으로 하여 402,133명, 160,813 세대이다.(외국인 포함)
행정 구역
읍·면·동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문산읍 |
文山邑 |
47.33 |
18,527 |
45,098
|
조리읍 |
條里邑 |
27.43 |
12,095 |
32,734
|
법원읍 |
法院邑 |
71.27 |
5,886 |
14,149
|
파주읍 |
坡州邑 |
32.19 |
6,604 |
14,406
|
광탄면 |
廣灘面 |
65.45 |
5,654 |
14,221
|
탄현면 |
炭縣面 |
59.64 |
6,424 |
14,310
|
월롱면 |
月籠面 |
27.12 |
12,115 |
15,894
|
파평면 |
坡平面 |
88.85 |
3,349 |
8,078
|
적성면 |
積城面 |
41.8 |
2,042 |
4,662
|
군내면[2] |
郡內面 |
43.27 |
217 |
647
|
장단면[2] |
長湍面 |
34.11 |
0 |
0
|
진동면[2] |
津東面 |
43.14 |
67 |
177
|
진서면[2] |
津西面 |
9.21 |
0 |
0
|
금촌1동 |
金村1洞 |
33.29 |
15,785 |
43,517
|
금촌2동 |
金村2洞 |
4.46 |
10,702 |
23,658
|
금촌3동 |
金村3洞 |
2.67 |
13,174 |
36,384
|
교하동 |
交河洞 |
- |
- |
-
|
운정1동 |
雲井1洞 |
- |
- |
-
|
운정2동 |
雲井2洞 |
18.92 |
9,183 |
27,220
|
운정3동 |
雲井3洞 |
- |
- |
-
|
운정4동 |
雲井4洞 |
- |
- |
-
|
운정5동 |
雲井5洞 |
- |
- |
-
|
운정6동 |
雲井6洞 |
- |
- |
-
|
파주시 |
坡州市 |
672.57 |
155,446 |
387,254
|
|
|
법정동·리
읍·면·동
|
한자
|
법정동·리
|
문산읍 |
文山邑 |
문산리(文山里), 선유리(仙遊里), 이천리(梨川里), 당동리(堂洞里), 사목리(沙鶩里), 마정리(馬井里), 운천리(雲泉里), 장산리(長山里), 임진리(臨津里), 내포리(內浦里)
|
파주읍 |
坡州邑 |
파주리(坡州里), 연풍리(延豊里), 부곡리(釜谷里), 백석리(白石里), 봉암리(烽岩里), 봉서리(鳳棲里), 향양리(向陽里)
|
법원읍 |
法院邑 |
법원리(法院里), 갈곡리(葛谷里), 오현리(梧峴里), 직천리(直川里), 웅담리(熊潭里), 금곡리(金谷里), 동문리(東文里), 가야리(加野里), 대능리(大陵里), 삼방리(三防里)
|
조리읍 |
條里邑 |
대원리(大院里), 봉일천리(奉日川里), 뇌조리(弩造里), 오산리(梧山里), 장곡리(獐谷里), 등원리(登院里), 능안리(陵案里)
|
월롱면 |
月籠面 |
위전리(葦田里), 덕은리(德隱里), 영태리(英太里), 도내리(都內里), 능산리(陵山里)
|
탄현면 |
炭縣面 |
축현리(丑峴里), 금승리(金蠅里), 낙하리(洛河里), 문지리(文智里), 오금리(吾今里), 금산리(錦山里), 만우리(萬隅里), 대동리(大洞里), 성동리(城洞里), 법흥리(法興里), 갈현리(葛峴里)
|
광탄면 |
廣灘面 |
용미리(龍尾里), 분수리(汾水里), 신산리(新山里), 창만리(倉滿里), 마장리(馬場里), 영장리(靈場里), 기산리(基山里), 발랑리(發郞里), 방축리(防築里)
|
파평면 |
坡平面 |
두포리(斗浦里), 율곡리(栗谷里), 마산리(麻山里), 금파리(金坡里), 눌노리(訥老里), 덕천리(德泉里), 장파리(長坡里)
|
적성면 |
積城面 |
마지리(馬智里), 식현리(食峴里), 무건리(武建里), 설마리(雪馬里), 적암리(赤岩里), 어유지리(魚遊池里), 장현리(墻峴里), 율포리(栗浦里), 객현리(客峴里), 구읍리(舊邑里), 가월리(佳月里), 주월리(舟月里), 두지리(斗只里), 자장리(紫長里), 답곡리(沓谷里), 장좌리(長佐里)
|
군내면 |
郡內面 |
조산리(造山里), 백연리(白蓮里), 읍내리(邑內里), 송산리(松山里), 점원리(點元里), 방목리(芳木里), 정자리(亭子里)
|
장단면 |
長湍面 |
노상리(蘆上里), 노하리(蘆下里), 거곡리(巨谷里), 도라산리(都羅山里), 석곶리(石串里), 강정리(江井里), 동장리(東場里), 정동리(井洞里), 덕산리(德山里)
|
진동면 |
津東面 |
동파리(東坡里), 용산리(龍山里), 하포리(下浦里), 서곡리(瑞谷里), 초리(哨里)
|
진서면 |
津西面 |
금릉리(金陵里), 선적리(仙跡里), 어룡리(魚龍里)
|
금촌1동 |
金村1洞 |
금릉동(金陵洞) (일부), 금촌동(金村洞) (일부), 아동동(衙洞洞) (일부)
|
금촌2동 |
金村2洞 |
금릉동(金陵洞) (일부), 금촌동(金村洞) (일부)
|
금촌3동 |
金村3洞 |
검산동(檢山洞), 맥금동(陌今洞), 야동동(冶洞洞), 금촌동(金村洞) (일부), 아동동(衙洞洞) (일부), 하지석동(下支石洞) (일부)
|
교하동 |
交河洞 |
문발동(文發洞) (일부), 산남동(山南洞), 서패동(西牌洞), 송촌동(松村洞), 신촌동(新村洞), 연다산동(煙多山洞) (일부), 오도동(吾道洞) (일부), 교하동(交河洞) (일부), 다율동(多栗洞) (일부), 당하동(堂下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목동동(木洞洞) (일부), 하지석동(下支石洞) (일부)
|
운정1동 |
雲井1洞 |
교하동(交河洞) (일부), 상지석동(上支石洞) (일부), 당하동(堂下洞) (일부), 와동동(瓦洞洞)
|
운정2동 |
雲井2洞 |
목동동(木洞洞) (일부)
|
운정3동 |
雲井3洞 |
야당동(野塘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
운정4동 |
雲井4洞 |
야당동(野塘洞) (일부), 상지석동(上支石洞) (일부)
|
운정5동 |
交河5洞 |
다율동(多栗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문발동(文發洞) (일부), 목동동(木洞洞) (일부), 신촌동(新村洞), 연다산동(煙多山洞) (일부), 오도동(吾道洞) (일부)
|
운정6동 |
交河6洞 |
다율동(多栗洞) (일부), 동패동(東牌洞) (일부), 목동동(木洞洞) (일부)
|
역사
군정법률 제22호 시도직제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연천군 적성면, 전곡면, 백학면 |
파주군 적성면 일원
|
연천군 남면 |
파주군 남면 일원
|
대통령령 제6543호
대통령령 제6543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아동면 일원 |
금촌읍 일원
|
임진면 일원 |
문산읍 일원
|
월롱면 내포리
|
대통령령 제6542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적성면 장파리 |
파평면 일부
|
대통령령 제6543호
대통령령 제6543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양주군 백석면 영장리, 기산리 |
광탄면 일부
|
파평면 이천리 |
문산읍 일부
|
- 1987년 1월 1일 광탄면 기산리 일부를 양주군 백석면에 편입하였다.
- 1989년 4월 1일 천현면을 법원읍으로 승격하였다. 교하면 상지석리가 조리면에 편입되었다. (4읍 11면)
- 1996년 3월 1일 파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파주시가 설치되었고, 금촌읍을 폐지하고, 금촌1동·금촌2동을 설치하였다.[15] (3읍 11면 2행정동)
- 2002년 4월 1일 교하면을 교하읍으로, 조리면을 조리읍으로 승격하였다. (5읍 9면 2행정동)
- 2003년 교하읍 일대에 파주 운정신도시가 착공되었다.
- 2011년 5월 1일 군내출장소를 장단출장소로 개칭하였다.[16]
- 2011년 7월 25일 금촌1동을 금촌1·3동으로 분동, 교하읍을 폐지하고 교하동·운정1·2·3동 설치(4읍 9면 7행정동)
- 2020년 12월 18일: 장단면 덕산리, 진서면 선적리의 지적을 복구하였다.
- 2021년 7월 1일 : 장단면, 군내면, 진서면, 진동면을 장단면으로 통합하였다.
- 2023년 1월 9일: 운정1동과 운정3동의 경의선 이동 지역을 분리해 운정4동을 설치하고, 교하동에서 운정5동, 운정6동을 분동한다.[17][18] (4읍 9면 10행정동)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