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군판문군(板門郡)은 1952년 1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특별시에 존재했던 군이다. 2002년 11월 관할 지역이 개성시, 장풍군, 개풍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지리한반도 군사 분계선을 경계로 임진강, 한강과 접하고, 인민위원회 소재지는 봉동리였다. 서쪽으로는 개성시 및 개풍군, 북동쪽으로는 장풍군, 동쪽으로는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남쪽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 인천광역시 강화군과 접하고 있었다. 역사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12월에 실시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 때 북위 38도 이남의 경기도 개풍군과 황해도 장풍군 진서면을 합쳐 황해도 판문군(板門郡)이 신설되었다. 군 이름은 당시 휴전 회담이 열린 판문점에서 따왔다. 한국 전쟁 휴전 회담은 1951년 7월부터 개성시에서 열렸지만, 같은 해 10월 25일 개성시 교외에 위치한 장단군 진서면의 판문점으로 변경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한국 전쟁의 정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1955년 1월 도(道)급인 개성직할시가 설치되면서 그 관할에 편입되었다. 2002년 11월 개성공업지구와 판문점, 판문군 인민위원회 소재지가 위치한 판문군 북동부 7개리는 개성시에, 북동부 1개리는 장풍군에, 그 외 10개리는 개풍군에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옛 판문군의 봉동리, 삼봉리, 전재리는 개성공업지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봉동역과 판문역 건설 등 개발이 진행 중이다. 연표
행정 구역1읍 17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