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탈출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탈출은 걸프 전쟁을 전후해서 일어났다. 쿠웨이트가 1990년 8월 이라크에 의해 침공당하기 이전까지는 쿠웨이트에 팔레스타인인 약 40만 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라크의 쿠웨이트 점령 기간 동안, 처형당할 것이라는 공포,[1] 식량 및 의료품 고갈, 재정적 어려움, 바리케이트에서의 이라크군에 의한 체포의 공포 등으로 인해 팔레스타인인 약 20만 명 가량이 쿠웨이트를 벗어났다.[1][2][3] 사막의 폭풍 작전 이후 미국 주도로 이라크군이 패배하여 쿠웨이트 밖으로 밀려나자, 경제적 부담, 거주 제한, 쿠웨이트군에 의한 학대를 걱정하며 팔레스타인인 20만 명 가량이 쿠웨이트를 떠났다.[4][5][6] 쿠웨이트 탈출의 원인으로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이라크 침공에 호의적인 정책을 핀 것과, 당시 수장 야세르 아라파트가 당시 이라크의 대통령 사담 후세인을 지지한 것도 일부 있다. 쿠웨이트를 탈출한 팔레스타인인 다수는 요르단 국적자였다.[7] 2004년, 마흐무드 압바스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이라크 침공을 지지한 것을 사과하며 팔레스타인 지도부와 쿠웨이트 간 정치적 상황이 개선되었다. 2012년 쿠웨이트의 팔레스타인 대사관이 다시 설립되었으며,[8] 팔레스타인인 8만 명 가량이 쿠웨이트에 살고 있었다.[8] 배경걸프 전쟁 이전 쿠웨이트의 인구 200만 명 중 팔레스타인인은 약 40만 명 가량이었다.[9]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도착은 크게 세 시기,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및 나크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으로 나눌 수 있다. 사건이라크 점령 당시쿠웨이트에서의 팔레스타인인 대탈출은 1990년 여름부터 시작되었다. 탈출 때는 팔레스타인인과 쿠웨이트인이 섞여 있었으며, 당시 팔레스타인인은 쿠웨이트 인구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0년 중반 쿠웨이트에 살던 35만 명 정도의 팔레스타인인 후손 중 쿠웨이트 침공 당시 빠져나간 숫자는 20만 명 이상이었으며, 원인은 이라크 군사들의 괴롭힘과 협박 및 쿠웨이트의 이라크 관료로 인해 일자리에서 해고되었기 때문이었다.[2] 쿠웨이트에 설립된 이라크 교육부는 1990년 9월 팔레스타인인 3천 명을 해고하였으며,[2] 10월 내내 팔레스타인인의 해고는 계속 이어졌다.[2] 이라크는 쿠웨이트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사무소에도 압력을 가했지만, 이라크를 지지하는 결집 및 시위를 열기를 거부하였다.[2] 점령 기간 중안 팔레스타인인이 개최한 단 한 차례의 시위는 친쿠웨이트 성격을 띄었으며, 하왈리주의 팔레스타인인들이 당시 쿠웨이트의 아미르였던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의 사진을 흔들었다.[2] 1991년 3월 탈출팔레스타인 지도자 야세르 아라파트와 쿠웨이트 침공 주도자 사담 후세인의 친선 관계는 쿠웨이트가 팔레스타인인을 지원하지 않은 배경이 되었다. 1991년 3월 14일 기준, 최초 40만 명 중 쿠웨이트에는 팔레스타인인 20만 명 가량이 남았다.[10] 1991년 3월, 사막의 폭풍 작전과 함께 팔레스타인인의 탈출은 다시 시작되어, 1주일 만에 거의 전원이 쿠웨이트 바깥으로 벗어났다. 쿠웨이트에서는 자국을 떠난 팔레스타인인들이 대부분 요르단 국적자였기 때문에 요르단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10]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쿠웨이트인들은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분노가 상당히 거셌기 때문에 7개월 점령 기간 동안 떠났던 사람들은 돌아올 가능성이 희박하고 남아있는 몇몇만 계속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10] 이후쿠웨이트에서 추방된 팔레스타인인 다수는 요르단 국적자였으며,[7]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 출신 요르단인으로 인정되었다.[7] 2004년 쿠웨이트는 당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2인자 마흐무드 압바스가 방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11] 팔레스타인 관계자들은 최초에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지지했던 것 때문이라는 분석을 부인했지만,[11] 2004년 12월 12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수장이 된 마흐무드 압바스가 팔레스타인의 침공 당시 이라크 및 사담 후세인 지원에 대해 사과했다.[12] 2012년 기준, 쿠웨이트에 살고 있는 팔레스타인인은 약 8만 명 가량이다.[8] 같이 보기각주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