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평창군은 1개읍 7개면으로 구성되어 있다.[1] 평창군의 총 면적은 1,464.16km2로 강원도 총면적 16,874.60km2의 8.7%에 해당하며, 전국 군 중 3번째로 면적이 넓다.[2]
행정 구역
평창 읍·면 지도
이름 |
한자 |
영문[3] |
면적(km2) |
인구(명)
|
평창읍 |
平昌邑 |
Pyeongchang-eup |
116.31 |
9,940
|
미탄면 |
美灘面 |
Mitan-myeon |
109.43 |
1,881
|
방림면 |
芳林面 |
Bangnim-myeon |
120.85 |
2,596
|
대화면 |
大和面 |
Daehwa-myeon |
166.6 |
6,564
|
봉평면 |
蓬坪面 |
Bongpyeong-myeon |
217.41 |
5,545
|
용평면 |
龍坪面 |
Yongpyeong-myeon |
135.43 |
3,129
|
진부면 |
珍富面 |
Jinbu-myeon |
331.06 |
9,722
|
대관령면 |
大關嶺面 |
Daegwallyeong-myeon |
221.63 |
6,231
|
법정리
읍·면
|
법정리
|
평창읍
|
상리(上里), 중리(中里), 하리(下里), 천변리(川邊里), 종부리(鍾阜里), 노론리(老論里), 이곡리(耳谷里), 조동리(鳥洞里), 고길리(古吉里), 지동리(池洞里), 유동리(柳洞里), 약수리(藥水里), 조둔리(鳥屯里), 천동리(泉洞里), 도돈리(道敦里), 마지리(馬池里), 응암리(鷹岩里), 대상리(大上里), 대하리(大下里), 입탄리(入彈里), 향동리(杏洞里), 여만리(餘萬里), 후평리(後坪里), 주진리(舟津里), 용항리(龍項里), 임하리(林下里), 계장리(溪長里), 다수리(多水里), 하일리(河一里), 원당리(元堂里), 뇌운리(雷雲里)
|
미탄면
|
창리(倉里), 율치리(栗峙里), 회동리(檜洞里), 평안리(平安里), 백운리(白雲里), 한탄리(寒灘里), 기화리(琪花里), 마하리(馬河里), 수청리(水靑里)
|
방림면
|
방림리(芳林里), 운교리(雲橋里), 계촌리(桂村里)
|
대화면
|
대화리(大和里), 신리(新里), 개수리(介水里), 상안미리(上安味里), 하안미리(下安味里)
|
봉평면
|
창동리(蒼洞里), 평촌리(坪村里), 유포리(柳浦里), 진조리(眞鳥里), 면온리(綿溫里), 무이리(武夷里), 흥정리(興亭里), 원길리(元吉里), 덕거리(德巨里)
|
용평면
|
용전리(龍田里), 이목정리(梨木亭里), 속사리(束沙里), 노동리(路洞里), 도사리(都事里), 백옥포리(白玉浦里), 장평리(長坪里), 재산리(才山里)
|
진부면
|
상진부리(上珍富里), 하진부리(下珍富里), 송정리(松亭里), 두일리(杜日里), 척천리(尺川里), 탑동리(塔洞里), 동산리(東山里), 간평리(間坪里), 상월오개리(上月午介里), 거문리(巨文里), 신기리(新基里), 봉산리(鳳山里), 마평리(馬坪里), 수항리(水項里), 화의리(和義里), 막동리(幕洞里), 장전리(長田里), 호명리(虎鳴里)
|
대관령면
|
유천리(楡川里), 병내리(屛內里), 차항리(車項里), 횡계리(橫溪里), 수하리(水下里), 용산리(龍山里)
|
역사
세부 내용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평창군 군내면(郡內面) |
평창면 |
고길리, 노론리, 상리, 이곡리, 조동리, 종부리, 중리, 지동리, 하리, 천변리
|
평창군 북면(北面) |
계장리, 뇌운리, 다수리, 원당리, 용항리, 여만리, 임하리, 주진리, 하일리, 행동리, 후평리
|
평창군 남면(南面) |
도돈리, 대상리, 대하리, 마지리, 약수리, 유동리, 응암리, 입탄리, 천동리
|
평창군 미탄면(美灘面) |
미탄면 |
기화리, 마하리, 백운리, 수청리, 율치리, 창리, 평안리, 한탄리, 회동리
|
평창군 진부면(珍富面) |
진부면 |
간평리, 거문리, 노동리, 도사리, 동산리, 두일리, 마평리, 막동리, 상진부리, 상월오개리, 속사리, 송정리, 수항리, 신기리, 용전리, 이목정리, 장평리, 장전리, 척천리, 탑동리, 하진부리, 화의리
|
평창군 봉평면(蓬坪面) |
봉평면 |
덕거리, 면온리, 무이리, 백옥포리, 원길리, 유포리, 창동리, 평촌리, 진조리, 흥정리
|
평창군 대화면(大和面) |
대화면 |
계촌리, 개수리, 대화리, 방림리, 신리, 상안미리, 운교리, 하안미리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14년의 행정구역[5]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4]
1914년 |
현재
|
면 |
리 |
읍·면 |
리
|
평창면 (平昌面) |
계장리, 고길리, 노론리, 뇌운리, 대상리, 대하리, 다수리, 도돈리, 마지리, 상리, 조동리, 조둔리, 종부리, 주진리, 중리, 지동리, 천동리, 천변리, 하리, 하일리, 향동리, 후평리, 약수리, 여만리, 용항리, 원당리, 유동리, 응암리, 이곡리, 임하리, 입탄리 |
평창군 평창읍 |
계장리, 고길리, 노론리, 뇌운리, 대상리, 대하리, 다수리, 도돈리, 마지리, 상리, 조동리, 조둔리, 종부리, 주진리, 중리, 지동리, 천동리, 천변리, 하리, 하일리, 향동리, 후평리, 약수리, 여만리, 용항리, 원당리, 유동리, 응암리, 이곡리, 임하리, 입탄리
|
미탄면 (美灘面) |
기화리, 마하리, 백운리, 수청리, 율치리, 창리, 평안리, 한탄리, 회동리 |
평창군 미탄면 |
기화리, 마하리, 백운리, 수청리, 율치리, 창리, 평안리, 한탄리, 회동리
|
대화면 (大和面) |
개수리, 신리, 대화리, 상안미리, 하안미리 |
평창군 대화면 |
개수리, 신리, 대화리, 상안미리, 하안미리
|
방림리, 운교리, 계촌리 |
평창군 방림면 |
방림리, 운교리, 계촌리
|
봉평면 (蓬坪面) |
덕거리, 면온리, 무이리, 원길리, 유포리, 창동리, 평촌리, 진조리, 흥정리 |
평창군 봉평면 |
덕거리, 면온리, 무이리, 원길리, 유포리, 창동리, 평촌리, 진조리, 흥정리
|
백옥포리 |
평창군 용평면 |
백옥포리
|
진부면 (珍富面) |
노동리, 도사리, 속사리, 용전리, 이목정리, 장평리 |
노동리, 도사리, 속사리, 용전리, 이목정리, 장평리
|
간평리, 거문리, 동산리, 두일리, 마평리, 막동리, 상진부리, 상월오개리, 송정리, 수항리, 신기리, 장전리, 척천리, 탑동리, 하진부리, 화의리 |
평창군 진부면 |
간평리, 거문리, 동산리, 두일리, 마평리, 막동리, 상진부리, 상월오개리, 송정리, 수항리, 신기리, 장전리, 척천리, 탑동리, 하진부리, 화의리
|
대통령령 제6542호
대통령령 제6542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진부면 장평리 |
봉평면 장평리
|
도암면 봉산리, 호명리 일부 |
진부면 봉산리, 송정리
|
대통령령 제11027호
대통령령 제11027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진부면 용전리, 이목정리, 도사리, 속사리, 노동리 |
용평면 용전리, 이목정리, 도사리, 속사리, 노동리
|
봉평면 백옥포리, 장평리 |
용평면 백옥포리, 장평리
|
대화면 신리 일부 |
용평면 재산리
|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