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
|
성명 (생몰)
|
재임
|
정당
|
총리
|
비고
|
취임
|
퇴임
|
|
|
|
임시국가평의회 바츨라프 니에모요프스키; 유제프 미쿠와프스키포모르스키
|
1916년 11월 5일
|
1917년 8월 25일
|
|
|
|
|
|
섭정평의회 알렉산데르 카코프스키; 즈지스와프 루보미르스키; 유제프 오스트로프스키
|
1917년 10월 15일
|
1918년 11월 14일
|
|
|
|
|
|
|
유제프 피우수트스키 (1867년–1935년)
|
1918년 11월 14일
|
1922년 12월 11일
|
무소속
|
모라체프스키 - 파데레프스키 - 스쿨스키 - 그랍스키 - 비토스 - 포니코프스키 - 실리빈스키 - 노바크
|
1918년까지 임시 국가원수.
|
|
|
|
가브리엘 나루토비치 (1865년–1922년)
|
1922년 12월 11일
|
1922년 12월 16일
|
무소속 폴란드 인민해방당의 지지
|
노바크
|
암살됨
|
|
|
마치에이 라타이 (1884년–1940년) 권한대행
|
1922년 12월 16일
|
1922년 12월 22일
|
폴란드 인민 피아스트당
|
시코르스키
|
의회의장.
|
|
|
스타니스와프 보이체호프스키 (1869년–1953년)
|
1922년 12월 22일
|
1926년 5월 14일
|
폴란드 인민 피아스트당
|
시코르스키 - 비토스 - 그라브스키 - 스크르진스키 - 비토스
|
5월 쿠데타로 쫓겨남.
|
|
|
마치에이 라타이 (1884년–1940년) 권한대행
|
1926년 5월 14일
|
1926년 6월 4일
|
폴란드 인민 피아스트당
|
바르텔
|
의회의장.
|
|
|
이그나치 모시치츠키 (1867년–1946년)
|
1926년 6월 4일
|
1939년 9월 30일
|
사나치아
|
피우수트스키 - 바르텔 - 시비탈스키 - 바르텔 - 스와베크 - 피우수트스키 - 스와베크 - 프리스토르 - 옝제예비치 - 코즈워프스키 - 스와베크 - 진드람코시치아우코프스키 - 스크와트코프스키
|
1939년 9월 17일 폴란드 침공으로 나라가 망하면서 루마니아로 망명.
|
|
|
|
브와디스와프 라치키에비치 (1885년–1947년)
|
1939년 9월 30일
|
1947년 6월 6일
|
무소속
|
시코르스키 - 미코와이치크 - 아르치셰프스키
|
1945년 7월 6일 서방 연합국의 배신으로 유일 정통정부 지위 상실.
|
|
|
아우구스트 살레스키 (1883년–1972년)
|
1947년 6월 9일
|
1972년 4월 8일
|
무소속
|
부르코모로프스키 - 토마셰프스키 - 오지에진스키 - 흐리니에프스키 - 마키에비치 - 한케 - 파용크 - 자비샤 - 무흐니에프스키
|
1954년 이후 삼인회에게 거부받음.
|
|
|
스타니스와프 오스트로프스키 (1892년–1982년)
|
1972년 4월 9일
|
1979년 3월 24일
|
무소속
|
무흐니에프스키 - 우르반스키 - 사바트
|
|
|
|
에드바르트 라신스키 (1891년–1993년)
|
1979년 4월 8일
|
1986년 4월 8일
|
무소속
|
사바트
|
|
|
|
카지미에시 사바트 (1913년–1989년)
|
1986년 4월 8일
|
1989년 7월 19일
|
무소속
|
슈체파니크
|
|
|
|
리사르트 카초로프스키 (1919년–2010년)
|
1989년 7월 19일
|
1990년 12월 22일
|
무소속
|
슈체파니크
|
1990년 12월 22일 레흐 바웬사가 제3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사임.
|
|
인민평의회 상무회장
|
|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1892년–1956년)
|
1944년 12월 31일
|
1947년 2월 5일
|
폴란드 노동자당
|
오수프카모라프스키
|
1944년 12월 31일 소련의 점령 하에 선거가 이루어져 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1945년 7월 6일 이후 영미도 이를 합법정부로 승인한다.
|
공화국대통령
|
|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1892년–1956년)
|
1947년 2월 5일
|
1952년 11월 20일
|
폴란드 노동자당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치란키에비츠
|
1948년 12월 이후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서기장 겸임.
|
|
|
|
알렉산데르 자바츠키 (1899년–1964년)
|
1952년 11월 20일
|
1964년 8월 7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비에루트 - 치란키에비츠
|
재임 중 암으로 사망.
|
|
에드바르트 오하프 스타니스와프 쿨친스키 오스카르 랑게 볼레스와프 포데트보르니 (권한대행)
|
1964년 8월 7일
|
1964년 8월 12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치란키에비츠
|
부주석들이 공동권한대행.
|
|
|
에드바르트 오하프 (1906년–1989년)
|
1964년 8월 12일
|
1968년 4월 10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치란키에비츠
|
|
|
|
마리얀 스피할스키 (1906년–1980년)
|
1968년 4월 10일
|
1970년 12월 23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치란키에비츠
|
|
|
|
유제프 치란키에비츠 (1911년–1989년)
|
1970년 12월 23일
|
1972년 3월 28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야로셰비츠
|
|
|
|
헨리크 야블론스키 (1909년–2003년)
|
1972년 3월 28일
|
1985년 11월 6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바비우흐 - 핀코프스키 - 야루젤스키
|
|
|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1923년–2014년)
|
1985년 11월 6일
|
1989년 7월 19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메스네르 - 라코프스키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서기장 겸임.
|
인민공화국대통령
|
|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1923년–2014년)
|
1989년 7월 19일
|
1989년 12월 30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키슈차크 - 마조비에츠키
|
폴란드 원탁회의에서 폴란드 연합노동자당과 연대자유노조 사이에 이루어진 합의에 따라 국가평의회가 폐지되고 대신 국가평의회 주석이 인민공화국대통령으로 추대되었다.
|
|
공화국대통령
|
1
|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1923년–2014년)
|
1989년 12월 31일
|
1990년 12월 22일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마조비에츠키
|
|
2
|
|
레흐 바웬사 (1943–)
|
1990년 12월 22일
|
1995년 12월 22일
|
연대자유노조
|
비엘레츠키 - 올셰프스키 - 파블라크 - 수호츠카 - 파블라크 - 올렉시
|
1990년 대선에서 선출. 최초의 직선 대통령.
|
|
|
알렉산데르 크바시니에프스키 (1954년–)
|
1995년 12월 23일
|
2000년 12월 23일
|
폴란드 공화국 사회민주당
|
올렉시 - 치모셰비치 - 부제크
|
1995년 대선에서 선출.
|
3
|
2000년 12월 23일
|
2005년 12월 23일
|
무소속
|
부제크 - 밀레르 - 벨카 - 마르친키에비치
|
2000년 대선에서 재선. 제3공화국 최초의 연임 대통령.
|
4
|
|
레흐 카친스키 (1949년–2010년)
|
2005년 12월 23일
|
2010년 4월 10일
|
법과 정의당
|
마르친키에비치 - 카친스키 - 투스크
|
2005년 대선에서 선출. 카틴 학살 추모 행사 참여를 위해 비행기로 이동 중 추락사고로 망명정부 마지막 대통령 리사르트 카초로프스키 등 국가 요인 80여명과 함께 떼죽음.
|
-
|
|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1952년–) 권한대행
|
2010년 4월 10일
|
2010년 7월 8일
|
시민 연단
|
투스크
|
하원의장. 차기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기 위해 권한대행 사임.
|
-
|
|
보그단 보루세비츠 (1949–) 권한대행
|
2010년 7월
|
시민 연단
|
투스크
|
상원의장.
|
-
|
|
그제고시 셰티나 (1963–) 권한대행
|
2010년 7월 8일
|
2010년 8월 6일
|
시민 연단
|
투스크
|
하원의장.
|
5
|
|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1952–)
|
2010년 8월 6일
|
2015년 8월 6일
|
시민 연단
|
투스크 - 코파치
|
2010년 대선에서 선출.
|
6
|
|
안제이 두다 (1972년–)
|
2015년 8월 6일
|
현임
|
법과 정의당
|
코파치 - 시드워
|
2015년 대선에서 선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