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틀러 (러시아어 : Путлер 푸틀레르[* ] , 영어 : Putler ), 늘여서 블라돌프 푸틀러 [ 1] (러시아어 : Владольф Путлер [ 2] [ 3] , 영어 : Vladolf Putler )는 블라디미르 푸틴 과 아돌프 히틀러 를 합쳐 만든 경멸적인 신조어 이다.[ 4] [ 5] [ 6] 푸틴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푸틀러 카풋!"(독일어 : Putler Kaputt! ; 러시아어 : Путлер Капут! , 푸틀러 머저리!)의 형태로 자주 사용한다.[ 7] [ 8]
단어의 유래
러시아 언어학자 보리스 샤리풀린 (러시아어판 ) 에 따르면, '푸틀러'라는 단어는 러시아에서 만들어졌다.[ 9] 반면 프랑스 역사학자 마를렌 라뤼엘 은 우크라이나 언론에서 만들었다고 말했다.[ 10]
단어의 사용
"푸틀러"라는 단어는 러시아 와 우크라이나 의 야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11] 독일어처럼 들리는 구호 "푸틀러 카풋"을 러시아인 이 사용하는 것은 특별한 유희로서의 언어 변화를 나타낸다. 이러한 단어가 러시아인도 이해할 수 있으면서 외국인 관찰자들도 사용하게끔 하는 효과를 낳는다.[ 12]
러시아 국내의 시위
이 구호가 유명해지자 2009년 러시아에서 법적 문제를 일으켰다. 2009년 1월 31일 블라디보스토크 에서 러시아 공산당 이 조직한 집회에 한 참가자가 "푸틀러 카풋!"이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있었다. 중고차 수입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반대하는 집회였다.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 연방 검찰청 (러시아어판 ) 은 현수막과 관련하여 당의 지역 위원회에 경고를 발령했다.[ 13] [ 14] 지역 위원회는 웹사이트에 다음 글을 게시했다.[ 7] [ 15]
이 구호는 자동차 업계에 종사하는 푸틀러씨를 모티브로 하여 지어진 것입니다. 푸틀러씨는 자동차 관세 부담 증가로 결국 직장을 잃었고, 가족을 부양할 수입도 끊겼습니다. 우리 지역의 다른 주민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더 이상 일하며 먹고 살 수 없는 연해주를 떠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2009년 4월, 구호 사용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 16] 러시아 법무부 의 프리모르스키 법의학 전문 연구소에 따르면, 구호는 "국가 권력을 대표하는 블라디미르 푸틴 의 성격이나 활동에 대해 확연히 감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본질적으로 공격적이다."[ 15]
"푸틀러 카풋"이라는 구호는 2011년 12월 4일 국가두마 선거 및 2012년 대통령 선거 중 모스크바 의 야당 집회에서도 사용되었다.[ 17]
2014년 이후
2014년 키이우 에 걸린 정당 우크라이나 의회연단 의 선거 포스터.[ 18] "타이어는 불타고, 보바 푸틀러는 헬렐레 "라고 적혀 있다.
이 조롱조의 단어는 2014년 인기를 끌었다. 일부 정치인 및 언론인이 나치 독일 의 2차 세계 대전 으로 이어진 1938년 오스트리아의 안슐루스 와 비교한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4] [ 14] [ 19] "푸틀러"는 "2014년 올해의 단어" 후보로 지명되었다.[ 20] 《워싱턴 포스트 》는 이러한 성명을 다수 인용하고, "푸틀러, 우크라이나에서 손 떼"와 "푸틀러 카풋!"이라는 문구가 적힌 포스터를 들고 있는 우크라이나 시위대의 사진을 게시했다. 포스터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과 아돌프 히틀러 의 외형적 특징을 조합한 캐리커처가 그려져 있었다.[ 19] 몇몇 러시아 언어학자들은 이 기사가 독자들 사이에서 푸틴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형성했다고 간주했다.[ 4] [ 21] [ a]
저널리스트 로저 존스에 따르면, 2014년 워싱턴 주재 러시아 대사관 앞에서 시위가 벌어졌을 때 "푸틀러"라는 표현이 "눈에 띄었다"고 한다.[ 22]
2014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과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 이 나란히 앉아 결승전을 지켜보는 FIFA 월드컵 사진이 공개된 후 SNS에는 "고마워요, 푸틀러 부인"(독일어 : Danke, Frau Putler )이라는 댓글이 달렸다. 《가디언 》에 따르면, 이 댓글의 작성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에 대한 메르켈의 입장 표명에 불만을 품은 우크라이나인이다.[ 23]
"푸틀러"라는 단어는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에 대해 사용되는 모욕적인 언어를 비교하는 학술 및 언론 자료에서 자주 사용되었다. "푸틀러"는 일반적으로 "공격하라" 또는 "씨발"과 같이 부정적인 단어와 함께 사용된다.[ 24]
"푸틀러"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에 반대하는 국제 사회의 시위 현장 에서 흔히 언급되고 있다.[ 25]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 푸틴의 이미지를 형성한 문구는 다음과 같다. "다들 이걸 보고 '푸틀러'라고 해요. 그리고, 좀 기괴해(creepy) 보이죠". 여기서 '기괴하다'라는 단어는 지도자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을 강조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참조주
↑ Katarzyna Jamróz (2022년 3월 7일). “[WIDEO] Vladolf Putler? Austriacy kpią z prezydenta Rosji” . 《głos24》 (폴란드어). 2022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Российский бизнесмен о Путине: гэбэшное чмо с пустыми рыбьими глазами” . 《Главред》 (러시아어) (Ukraine ). 2015년 11월 10일. 2022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Слава Рабинович: Как и когда совершат в Кремле "дворцовый переворот"?” . 《Главное》 (러시아어) (Ukraine ). 2016년 10월 13일. 2022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Kabanova, Irina (2016). Zhigalev, Boris, 편집. “Интертекстуальный Статус Аллюзивных Включений в Медийном Дискурсе” [Intertextual Status of Allusion in Mass Media Discourse] (PDF) . 《Vestnik of Nizhny Novgorod Linguistics University》 (러시아어) (N. A. Dobrolyubova State Linguistic University of Nizhny Novgorod ) (33): 31–39.
↑ Gorban', V (2015년 7월 9일) [2014]. “Креативний Потенціал Антропонімів у Політичному Дискурсі (Мінливість vs Стійкість)” [Creative Potential of Anthroponyms in Political Discourse (Variability vs Stability)] . 《Слов'янський збірник》 (러시아어) (Odessa University ) (18): 20–28.
↑ Ratajczyk, Krystyna (2013). “Семантика контаминированных образований в языке российских и польских СМИ” [The semantics of contaminated structures in the language of Russian and Polish media] . 《Acta Universitatis Lodziensis. Folia Linguistica Rossica》 (러시아어) (University of Łódź ) 09 . ISSN 2353-9623 .
↑ 가 나 Steksova, Tatyana (2012). “Словотворчество как проявление политических пристрастий” [Word formation as a manifestation of political passions] . 《Сибирский филологический журнал》 (러시아어) (4): 204. ISSN 1813-7083 .
↑ Tempest, Richard (2016년 7월 2일). “The Charismatic Body Politics of President Putin” . 《Journal of Political Marketing》 15 (2–3): 101–119. doi :10.1080/15377857.2016.1151105 . ISSN 1537-7857 .
↑ Sharifullin, Boris (2016). “Ономастические Игры в Российских Информационно Психологических Войнах” [Onomastig Games in Russian Information Warfare] . 《Ecology of Language and Communicative Practice》 (러시아어) (Krasnoyarsk : Siberian Federal University ) 1 : 4. ISSN 2311-3499 .
↑ Laruelle, Marlene (2021년 3월 22일). 〈Introduction: Russia and the Symbolic Landscape of Fascism〉. 《Is Russia Fascist?》. Cornell University Press . 1–9쪽. doi :10.1515/9781501754159-002 . ISBN 978-1-5017-5415-9 .
↑ Gaufman, Elizaveta (2018) [2017]. “The Post-Trauma of the Great Patriotic War in Russia” (PDF) . 《Studies in Russian, Eurasian and Central European New Media》 (18): 36.
↑ Fedorova, Ludmila (2014년 4월 2일). “Языковой ландшафт: город и толпа” [Linguistic Landscape: City and Crowd] (러시아어). Russian State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 . 78쪽.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Путлер вне закона” [Putler is outlawed] . 《Expert 》 (러시아어). 2009년 4월 3일. 2022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Potsar, Anna (2014년 12월 21일). “Главные слова и фразы жителей России в 2014 году” [The main words and phrases of the inhabitants of Russia in 2014] . 《Delovoy Peterburg 》 (러시아어).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Chernyshev, Alexey (2009년 4월 3일). “Фамилия Путлер признана экстремистской” [Surname Putler recognized as extremist] . 《Kommersant 》 (러시아어).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Vladivostok Officials Ban 'Putler Kaput' Slogan” .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 2009년 4월 6일.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Mikhalkova, Elena (2012). “Дискурсив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текстов плакатов на митингах оппозиции в Москве, проведенных в связи с выборами в Государственную думу РФ 4 декабря 2011 г. И выборами Президента РФ 4 марта 2012 г” [Aspects of Discourse, Found in the Texts of Posters at Meetings Held in Moscow Over the Elections to State Duma (4 December 2012) and Presidential Elections (4 March 2012)] . 《Политическая лингвистика》 (Tyumen ) 2 (40): 129. ISSN 1999-2629 .
↑ “" Креативная" агитация перед выборами: Дарт Вейдер, Богиня, "пЫжиты по-новому" и "ла-ла-ла" ” ["Creative" campaigning before the elections: Darth Vader, the Goddess, "new ways" and "la-la-la"] . 《tsn.ua》 (러시아어). 1+1 Media Group . 2014년 5월 27일. 2021년 8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McCoy, Terrence (2014년 4월 23일). “Here's 'Putler:' The mash-up image of Putin and Hitler sweeping Ukraine” . 《The Washington Post 》. ISSN 0190-8286 .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Shmeleva, Elena (2015). “Интернет-коммуникация: новые тенденции в русском словообразовании” [Internet Communication: New Trends in Russian Word Formation] . 《Верхневолжский филологический вестник》 (러시아어) (2). ISSN 2499-9679 .
↑ Morozova, Oksana (2014). “Формирование образа России в условиях политической напряженности (на материале американской прессы)” [Creating the Image of Russia in Political Tension Conditions (Based on American Press)] . 《Известия Сарат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Новая серия. Серия Филология. Журналистика》 (러시아어) (Saratov State University ) 14 (4): 113. ISSN 1817-7115 .
↑ Jones, Rodger (2014년 3월 3일). “Putin is 'Putler' to parts of Eastern Europe” . 《The Dallas Morning News 》.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Tsagolova, V. (2016). Chudinov, Anatoly, 편집. 《Прецедентные трансформы (на материале образа А. Меркель в СМИ)》 [Precedent Transforms (based on the image of Angela Merkel in mass media)] (PDF) (러시아어). Yekaterinburg . 208쪽. ISBN 978-5-7186-0796-3 . 2021년 3월 29일에 확인함 .
↑ Knoblock, Natalia; Beliaeva, Natalia (2020). 〈Blended names in the discussions of the Ukrainian crisis〉. 《Language of conflict : discourses of the Ukrainian crisis》 . London, UK: Bloomsbury Publishing . 84쪽. ISBN 978-1-350-09863-3 . OCLC 1141994486 .
↑ Rodrigues, Charlene (2022년 2월 24일). “In Pictures: Protesters worldwide rally against Russia's invasion of Ukraine” . 《The Independent》 (영어). 2022년 2월 2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3월 4일에 확인함 .
주요 인물
우크라이나 러시아그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