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문

프로젝트문
형태비공개
창립2016년 11월(8년 전)(2016-11)
산업 분야비디오 게임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제품§ 작품 참고
종업원 수
50[1](2024)
웹사이트projectmoon.studio

프로젝트문(Project Moon)은 수원시에 본사를 둔 대한민국의 비디오 게임 개발사이다. 2016년에 설립되었으며,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림버스 컴퍼니와 같은 작품을 개발했다.

역사

프로젝트문은 2016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수원시 광교 신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다.[2][3] 회사 초기 멤버들은 창립자 김지훈이 모집한 대학생들로 구성되었다. 팀의 목표는 캐빈 인 더 우즈SCP 재단과 같은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미디어에서 영감을 받은 비디오 게임을 만드는 것이었다. 개발 비용은 2015년에 텀블벅에서 시작된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통해 조달되었다.[2] 최종 프로젝트인 로보토미 코퍼레이션은 2016년 12월 17일에 얼리 액세스를 시작했으며 2018년 4월에 출시되었다.[2][4]

개발사의 다음 게임은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로, 2020년 5월 28일 얼리 액세스 타이틀로 처음 출시되었고 2021년 8월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엑스박스 원용으로 정식 출시되었다.[5][6] 이 게임에는 Mili의 음악이 포함되었고 로보토미 코퍼레이션의 서사를 이어나갔다.[7] 2020년 3월, 회사는 로보토미 코퍼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웹툰 원더랩을 출판하기 시작했다.[8][9]

2021년, 데브시스터즈 벤처스는 경기도 콘텐츠진흥원이 2017년에 설립한 투자 펀드의 제안으로 프로젝트문에 약 20억 원(2,000,000,000)을 투자했다.[10] 개발사는 2022년부터 도쿄 게임 쇼에 참가했으며,[11][12] 인터뷰에서 출판업과 같은 다른 사업으로 확장을 원한다고 밝혔다.[7] 개발사는 2023년 2월 27일 부분 유료 게임인 림버스 컴퍼니를 윈도우, iOS, 안드로이드용으로 출시했으며, 이전 게임들과 세계관을 공유한다.[13][14]

이 회사는 햄햄팡팡이라는 테마 카페를 소유하고 있다.[7]

노동 분쟁

2023년 7월 25일, 림버스 컴퍼니의 플레이어들은 프로젝트문의 한 아티스트가 과거에 남성 혐오적인 행동을 보였다며 퇴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시위자들이 주장한 이유는 아티스트가 과거에 남성 혐오 활동에 참여했다는 것이었다.[15][16] 이 아티스트는 수년 전부터 소셜 미디어 계정을 비활성화하고 피드를 삭제했지만, 시위자들은 다른 방법으로 삭제된 계정 기록을 파헤쳤고, 이는 아티스트가 2021년 회사에 입사하기 전인 2017년까지 거슬러 올라갔다.[17] 시위자들은 몰카 범죄 반대 시위, 낙태죄 폐지와 같은 주제의 리트윗을 인용했으며, 이 중 일부가 남성에 대한 경멸적인 모욕을 포함한다고 주장했다.[18][19] 이들은 이것이 아티스트가 해체된 메갈리아와 같은 급진 페미니스트 단체에 동조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20][21] 항의의 일환으로 게임에 대한 리뷰 폭격이 있었고,[18][22] 일부 플레이어들(총 약 10명)은 개발자들과 대면하기 위해 직접 회사 본사를 방문하기도 했다.[17] 7월 26일 자정에 프로젝트문은 해당 아티스트를 직원에서 해고하고 이후 그녀가 제작한 작품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개발사가 이 조치를 취한 공식적인 이유는 아티스트가 직원의 소셜 계정이 고용주를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회사 정책을 위반했다는 것이었다.[23][17]

프로젝트문과 다른 당사자들 사이에는 여러 세부 사항에 대해 상충되는 설명이 존재한다. 프로젝트문은 직원의 퇴사를 "계약 해지"라고 지칭했지만,[24][25] 뉴스 보도와 노동 운동가들은 "해고" 또는 "정리 해고"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0][3][15][26] 몇몇 언론에서는 게임의 부족한 밸런스와 한 여성이 노출이 심한 수영복 대신 몸을 완전히 가린 수영복을 입은 일러스트(플레이어들은 이 아티스트가 그렸다고 잘못 주장했다)에 대한 불만으로 시위가 촉발되었다고 보도했지만,[19][3][18][27] 회사는 이 결정이 남성 플레이어들의 불만과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23] 프로젝트문은 아티스트와 상호 합의에 도달했으며, 이를 증명할 문서를 소유하고 있으며, 아티스트가 자발적으로 회사를 떠났다고 주장했다.[21][28][17] 아티스트는 인터뷰에서 7월 25일 오후 11시에 전화로 해고 통보를 받았고, 관련 서류를 기다리라는 말을 들었다고 밝혔다.[22][25]

프로젝트문의 행동은 언론에서 노동권 침해이자 반페미니즘 운동의 지지라고 묘사되었다. 여러 작가들은 이 분쟁을 2016년부터 대한민국 비디오 게임 산업에서 계속되는 여성주의에 대한 문화전쟁의 연장선상으로 보았다.[28][29][30][17] 경향신문의 유선희 기자는 프로젝트문 사건을 한국 산업이 여성 플레이어를 희생시키면서 남성 플레이어를 불균형적으로 우선시하는 사례로 보았다. 유 기자는 또한 다른 여러 게임 회사들이 여성 개발자들의 소셜 미디어를 검열하고 이에 대해 질책한 사례들을 보도했다.[31] 한겨레에 글을 쓰는 칼럼니스트 이승한은 아티스트가 회사에 입사하기 전에 작성하고 삭제한 리트윗에 대해 책임을 져서는 안 된다고 논평했다. 그는 이 사건을 "페미니스트 마녀사냥"이라고 지칭했다. 일부는 회사 정책이 헌법이 금지하는 소급 적용을 옹호했다고 말한다.[32] 시사인'의 조경숙은 프로젝트문이 아티스트에 대한 괴롭힘을 간접적으로 가능하게 했고, 나중에 아티스트에게 그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했다. 조경숙은 프로젝트문과 시위자들을 림버스 컴퍼니의 디스토피아적 세계에 비유했다.[33]

프로젝트문은 직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회사의 입장에 불리한 정보를 유포하는 사람들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23][17] 2023년 11월, 프로젝트문은 회사를 비난한 노동 운동가들을 명예훼손영업 방해 혐의로 고소했다. 경찰은 2024년 7월 19일, 피고인들의 논란 후 아티스트가 회사를 떠났다는 진술이 오보가 아니므로 무죄로 판단되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34][26]

작품

연도 제목 플랫폼 비고 각주
2018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윈도우 2016년 앞서 해보기 출시 [35]
2021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 윈도우, 엑스박스 원, 플레이스테이션 4,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스테이션 4 및 닌텐도 스위치 버전은 아크 시스템 웍스에서 퍼블리싱 [36]
2023 림버스 컴퍼니 윈도우, iOS, 안드로이드 [13]

각주

  1. Indie Intelligence Network (2024년 9월 17일). “ゲームでこそ私たちは「許す」ことができる。この残酷な世界の中で。ProjectMoon代表、キム・ジフン、イ・ユミ独占インタビュー” [Exclusive Interview with Project Moon CEO Kim JiHoon and Lee YuMi: Games have the power to allow us to forgive in this cruel world]. 《Denfaminicogamer》 (일본어) (Mare, Inc). 2025년 2월 10일에 확인함. 
  2. Jang, Iseul (2017년 4월 25일). “[NDC 17] 학생 게임 개발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김지훈 프로젝트문 대표” [[NDC 17] What's necessary in student game development? Project Moon representative Kim Jihoon]. 《ThisIsGame》. 2025년 1월 5일에 확인함. 
  3. In, Hyeonu (2023년 7월 13일). “입사 전 쓴 SNS 때문에 해고? 트럭 보내 게임사에 항의한 팬들” [Laid off because of the SNS before landing on the job? Fans protest by sending a truck at the developer]. 《한국일보》 (한국아이닷컴). 2024년 11월 20일에 확인함. 
  4. Meer, Alec (2018년 4월 17일). “Wot I Think: Lobotomy Corporation”. 《Rock, Paper, Shotgun》 (게이머 네트워크). 2025년 1월 11일에 확인함. 
  5. Gueed (2021년 5월 6일). “「Library of Ruina」は5月28日正式リリースへ。"Lobotomy Corporation"の後継作となる図書館バトルシミュレーション” [Library of Ruina releasing on 28 May, a library battle simulator and successor to Lobotomy Corporation]. 《4Gamer.net》 (일본어). Aetas.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6. Fuller, Alex (2021년 8월 12일). “Library of Ruina Released on PC, Xbox One”. 《RPGamer》 (CraveOnline Gaming). 2024년 9월 25일에 확인함. 
  7. Shin, Imai; Hajime, Kasai (2022년 10월 16일). “すべては夢のために!TGS2022で最長蛇の人気を博した『Limbus Company』を手掛けるProjectMoon CEOキム・ジフン氏インタビュー” [All for the dream! Interview with Kim JiHoon, the CEO of ProjectMoon, creator of "Limbus Company" at TGS2022]. 《IGN 재팬》 (일본어) (Sankei Digital Inc.). 2025년 1월 31일에 확인함. 
  8. “「Library of Ruina」の戦闘シーンを収めた動画が公開。「Lobotomy Corporation」の漫画も3月ごろからPOSTYPEで連載” [Library of Ruina's battle trailer revealed, a comic based on Lobotomy Corporation serialized on Postype in March]. 《4Gamer.net》 (일본어). Aetas. 2020년 1월 23일.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9. Gueed (2020년 2월 28일). “「Lobotomy Corporation」の後継作「Library of Ruina」のSteamストアページが公開。「Lobotomy~」外伝漫画の日本語版連載予告も” [Lobotomy Corporation sequel Library of Ruina's Steam page open. Japanese translation of the Lobotomy~ manga also available]. 《4Gamer.net》 (일본어). Aetas.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0. Han, Yeseop (2023년 8월 10일). “"'페미' 이유로 여직원 해고한 게임사, '정부자금' 투자 받았다"” ["The developer that fired a female employee for 'feminism', received investment from 'government fund'"]. 《프레시안. 2025년 2월 20일에 확인함. 
  11. Gueed (2022년 9월 2일). “ProjectMoon,「Limbus Company」PC版とモバイル版の試遊出展など,TGS 2022参加の詳細を発表” [ProjectMoon details Limbus Company PC and mobile versions at TGS 2022]. 《4Gamer.net》 (일본어). Aetas.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2. Hyeon, Namil (2023년 9월 22일). “[도쿄통신] 도쿄 게임쇼에 참가한 한국 게임사, 한국 게임” [[Tokyo Report] Korean developer, Korean video games in Tokyo Game Show]. 《ThisIsGame》.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3. Tolentino, Josh (2024년 1월 9일). “Limbus Company Release Date Set for Late February 2023”. 《실리콘에라》 (개머스). 2024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4. Matsumoto, Ryuichi (2023년 2월 4일). “「Limbus Company」,Android版の事前登録受付を実施中。罪悪共鳴残酷RPGを謳うProject Moonの新作は2月27日リリース” [Pre-registration for Limbus Company Android version now open. A cruel, guilty-resonating RPG, releasing on 27 February]. 《4Gamer.net》 (일본어). Aetas.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5. Park, Soeun (2023년 7월 27일). “림버스 컴퍼니 페미니즘 논란에 별점테러…일러스트레이터 해고” [Review boming over Limbus Company feminism controversy... Illustrator fired]. 《뉴스1》.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6. “[오늘 아침 신문] 사병 월급 인상 '나비효과' 연말 입대 안 하는 청년들” [[Today's morning newspaper] Private pay raise 'butterfly effect', youths refuse enlisting at the end of a year]. 《MBC 뉴스》. 2023년 7월 27일. 2025년 2월 15일에 확인함. 
  17. Yu, Seonhui (2023년 9월 18일). “게임 유저 "페미 낙인", 회사 "여성노동자 SNS 통제"” [Players "feminist stigma", developer "control of female worker's SNS"]. 《경향신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8. Kim, Sehun; Lee, Yujin (2023년 7월 27일). “게임 업계 되풀이되는 '페미니즘 마녀사냥'···그들은 왜 보호받지 못하나” [Repeating 'feminist hunt' in video game industry... Why they are not protected]. 《경향신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19. Kim, Seungju (2023년 7월 26일). “디렉터는 사과했지만... 논란 지속되는 '림버스 컴퍼니'” [The director apologizes yet... 'Limbus Company' controversies continue]. 《ThisIsGame》.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20. Yoon, Min-sik (2023년 8월 4일). “Gender conflict and new 'scarlet letter' ails South Korea”. 《코리아헤럴드》 (헤럴드 코퍼레이션). 2025년 2월 10일에 확인함. 
  21. Park, Sanghyeok (2024년 6월 13일). '페미니즘 사상검증' 비판 고소한 게임사…경찰 "혐의 없음"” [The developer suing a person who criticized 'feminist hounding'... The police 'Not guilty']. 《프레시안. 2024년 12월 20일에 확인함. 
  22. Han, Yeseop (2023년 7월 28일). '여성이 비키니 안 입어서'? 게임업계 또다시 '페미니즘 검증' 논란” ['All because a woman didn't wear a bikini'? Another 'feminist hounding' controversy in the video game industry]. 《프레시안. 2025년 2월 20일에 확인함. 
  23. Liu, Stephanie (2023년 8월 4일). “Project Moon Makes Official Statement on Limbus Company Controversy”. 《실리콘에라》 (개머스). 2025년 1월 12일에 확인함. 
  24. Kim, Jeonghwa (2024년 7월 31일). "게임업계, 여전히 남초 커뮤니티에 휘둘려"” ["Video game industry, still swayed by male-dominated communities"]. 《경향신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25. Chae, Yuntae (2023년 7월 27일). “게임업 여성작가 또 해고…"페미 검증으로 밥줄 끊기, 불법"” [Another female video game artist fired... "Threats with feminist hounding, illegal"]. 《한겨레.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26. Park, Sanghyeok (2024년 7월 28일). '디씨' 즐기던 '반페미' 청년, 어쩌다 '페미 사상검증' 반대 앞장서게 됐나” [Antifeminist youth on DC Inside, why he turned to oppose the 'feminist hunt']. 《프레시안.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27. “[김주하의 '그런데'] '페미'라서 해고?” [[Kim Juha's 'So'] Fired because of feminism?]. 《MBN News 7》 (매일방송). 2023년 7월 28일. 2025년 2월 15일에 확인함. 
  28. Kim, Juhwan (2023년 10월 21일). “[게임위드인] 온라인 젠더 갈등 불똥…등 터지는 게임 업계” [[Game Within] Online gender conflict sparks... Video game industry suffers]. 《연합뉴스. 2025년 2월 10일에 확인함. 
  29. Han, Yeseop (2023년 8월 3일). “게임사 '페미니스트 부당해고', 경기도에 책임 묻는 이유” [Video game developer 'feminist unfair lay-off', why they hold Gyeonggi Province responsibe for it]. 《프레시안. 2025년 2월 20일에 확인함. 
  30. Oh, Sejin (2023년 12월 16일). '게임 강국'의 페미 사상 검증” [Feminist hunt in 'video game powerhouse']. 《한겨레.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31. Yu, Seonhui (2023년 9월 18일). “여성 작가에 게임 유저는 "페미" 낙인찍고 회사는 찍어내고…'디지털 마녀사냥'” [Users putting "feminist" stigma on female artists, companies oblige... 'Digital feminist hunt']. 《경향신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32. Lee, Seunghan (2023년 7월 30일). '노출 없는' 여성 게임 캐릭터 불만이 '페미니즘 마녀사냥'으로” [Discontent with unrevealing female character design, yielding 'feminist witch hunt']. 《한겨레.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따져보자. 일부 남성 사용자들이 문제 삼고 있는 트위트들이 작성된 시점은 해당 원화가가 아직까지 프로젝트 문에 입사하기 전이었다. 사건이 터진 시점에는 이미 해당 원화가의 트위터 계정에서 삭제된 글이었다. 발화의 시점 자체가 프로젝트 문 사규의 제약을 받기 전이었는데, 과거에 이미 완료된 일을 사후적으로 소급해서 처벌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 일인가? 프로젝트 문 사규가 헌법의 소급입법금지 원칙을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상위에 있는 법인가? 몇몇 남성 사용자들은 ‘과거 트위트가 논란이 된 이후에도 사과나 해명이 없었으므로 지금도 같은 입장일 것’이라고 여겼는데, 그런 추정 자체가 “과거에 지녔던 사상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는지 아닌지 증명하라”는 사실상의 사상검증이라는 사실은 개의치 않았다. 
  33. Kim, Jeonghwa (2023년 8월 26일). '불법 촬영 규탄' 리트윗은 어떻게 계약 종료로 이어졌나 [테크 너머]” [How retweeting an act against illegal spy cameras led to termination of contract [Beyond Tech]]. 《시사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림버스 컴퍼니〉의 참혹한 세계관은 프로젝트문과 그 유저들의 모습을 빼닮았다. ‘둥지’ 안에는 민원을 제기하는 유저들만 있을 뿐, 유저와 회사가 합심하여 죄 없는 직원을 둥지 바깥으로 밀어내고 나 몰라라 하는 모습이. 이들이 안팎으로 쌓아올린 세계는 ‘디스토피아’ 그 자체다. 역설적으로 이 게임의 ‘세계관’을 유저들과 회사가 완성시킨 셈이다. 
  34. Kim, Jeonghwa (2024년 7월 30일). '경찰 불송치'…'게임업계 페미니즘 사상검증'에 맞선 활동가들의 1년” ['Police not informed'... A year of activists that oppose 'video game industry feminist hounding']. 《경향신문. 2025년 1월 15일에 확인함. 
  35. Wood, Austin (2018년 4월 14일). “Manage monsters and inevitably get eaten in Lobotomy Corporation”. 《PC 게이머. 2025년 2월 9일에 확인함. 
  36. Romano, Sal (2024년 1월 17일). “Library of Ruina coming to PS4, Switch on April 25 in Japan and Asia, this spring worldwide”. 《Gematsu》. 2024년 12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