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클리프

프리클리프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국화목
과: 국화과
아과: 프리클리프아과
Hecastocleidoideae
Panero & V.A.Funk, 2002
속: 프리클리프속
Hecastocleis
A.Gray, 1882
종: 프리클리프
학명
Hecastocleis shockleyi
A.Gray, 1882

프리클리프(영어: prickleleaf, 학명: Hecastocleis shockleyi 헤카스토클레이스 쇼클레이이[*])는 국화과단형 아과프리클리프아과(prickleleaf亞科, 학명: Hecastocleidoideae 헤카스토클레이도이데아이[*])의 단형 프리클리프속(prickleleaf屬, 학명: Hecastocleis 헤카스토클레이스[*])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 이 종은 캘리포니아주 동부 지역과 네바다주 서부 지역의 사막 산악지대와 평원에서 발견된다. 건조한 바위 경사면과 평평한 바위에서 자란다.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3]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4][5][6]

국화과

에스피나아과 - 9속 93종. 남아메리카, 주로 안데스에 분포.

사칸사아과 - 유일종 남아메리카에 분포.

멸가치아과 - 58속 750종. 남아메리카에 분포.

스티프티아아과 - 8속 남아메리카아시아에 분포.

운데를리키아아과 - 8속 24종, 베네수엘라가이아나에 대부분 분포.

고크나티아아과 - 8속 90종. 라틴아메리카 및 미국 남부에 분포.

프리클리프아과 - 유일종 미국 남서부에 분포.

엉겅퀴아과 - 83속 2,500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단풍취아과 - 6속 70종 아시아에 분포.

김나레나아과 - 유일종 북아프리카에 분포.

치커리아과 - 224속 3,200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코림비움아과 - 1속 7종.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분포.

국화아과 - 1,130속 16,200종. 전 세계적으로 분포.

각주

  1. Panero, José L. & Funk, Victoria Ann.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15(4): 765. 2002.
  2. Gray, Asa.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7: 220–221. 1882.
  3. Panero, J.L.; Funk, V.A. (2002).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Proc. Biol. Soc. Wash.》 115: 909–922. 
  4. Panéro, José J.; Freire, Susana E.; Ariza Espinar, Luis; Crozier, Bonnie S.; Barboza, Gloria E.; Cantero, Juan J. (2014).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80 (1): 43–53. doi:10.1016/j.ympev.2014.07.012. 2017년 1월 3일에 확인함. 
  5. Zhi-Xi Fu; Bo-Han Jiao; Bao Nie; Tiangang Gao (2016).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4 (4): 416–437. doi:10.1111/jse.12216. 2017년 1월 23일에 확인함. 
  6. Funk, Vicki A.; Fragman-Sapir, Ori (2009). 〈22. Gymnarrheneae (Gymnarrhenoideae)〉. V.A. Funk; A. Susanna; T. Stuessy; R. Bayer.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PDF). Vienn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327–332쪽. 2016년 12월 27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