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딘 Pyridine
Full structural formula of pyridine
|
Skeletal formula of pyridine, showing the numbering convention
|
|
Ball-and-stick diagram of pyridine
|
Space-filling model of pyridine
|
|
|
이름
|
우선명 (PIN)
|
체계명
|
별칭
Azine Azinine 1-Azacyclohexa-1,3,5-diene
|
식별자
|
|
|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3.464
|
EC 번호
|
|
KEGG
|
|
|
|
UNII
|
|
|
|
InChI=1S/C5H5N/c1-2-4-6-5-3-1/h1-5H 예Key: JUJWROOIHBZHMG-UHFFFAOYSA-N 예InChI=1/C5H5N/c1-2-4-6-5-3-1/h1-5H Key: JUJWROOIHBZHMG-UHFFFAOYAY
|
|
성질
|
|
C5H5N
|
몰 질량
|
79.102 g·mol−1
|
겉보기
|
Colorless liquid[2]
|
냄새
|
Nauseating, fish-like[3]
|
밀도
|
0.9819 g/mL[4]
|
녹는점
|
−41.6 °C (−42.9 °F; 231.6 K)
|
끓는점
|
115.2 °C (239.4 °F; 388.3 K)
|
|
Miscible
|
log P
|
0.73[5]
|
증기 압력
|
16 mmHg (20 °C)[3]
|
짝산
|
Pyridinium
|
|
1.5093
|
점도
|
0.88 cP 25 °C
|
|
2.2 D[6]
|
위험[8]
|
|
Flammable (F) Harmful (Xn)
|
R-phrases (outdated)
|
R20 R21 R22 R34 R36 R38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21 °C (70 °F; 294 K)
|
폭발 한계
|
1.8–12.4%[3]
|
|
5 ppm (TWA)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891 mg/kg (rat, oral) 1500 mg/kg (mouse, oral) 1580 mg/kg (rat, oral)[7]
|
|
9000 ppm (rat, 1 hr)[7]
|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
|
TWA 5 ppm (15 mg/m3)[3]
|
|
TWA 5 ppm (15 mg/m3)[3]
|
|
1000 ppm[3]
|
관련 화합물
|
|
Picoline Quinoline
|
관련 화합물
|
Aniline 피리미딘 Piperidin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피리딘(Pyridine)은 벤젠의 CH 하나가 질소로 치환된 헤테로고리 화합물이다.
형성
아세트알데히드와 포름알데히드로부터 아크롤레인을 형성
아크롤레인과 아세트알데히드로부터 피리딘을 응결
역사
피리딘 불순물은 동물의 뼈와 기타 유기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초기 연금술사들에 의해 만들어졌지만,[9] 최초의 문서화된 기록은 스코틀랜드의 과학자 토머스 앤더슨에 의해 이루어졌다.[10][11]
각주
- ↑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141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 ↑ Shimizu, S.; Watanabe, N.; Kataoka, T.; Shoji, T.; Abe, N.; Morishita, S.; Ichimura, H., 〈Pyridine and Pyridine Derivatives〉,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22_399
- ↑ 가 나 다 라 마 바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541”.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 ↑ Lide, p. 3–474
- ↑ “Pyridine - CAS#:110-86-1”. 《ChemSrc》. 2020년 1월 8일.
- ↑ 《RÖMPP Online – Version 3.5》. 《Thieme Chemistry》 (Stuttgart: Georg Thieme). 2009.
- ↑ 가 나 “Pyridin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Pyridine MSDS”. 《fishersci.com》. Fisher. 2010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Weissberger, A.; Klingberg, A.; Barnes, R. A.; Brody, F.; Ruby, P.R. (1960). 《Pyridine and its Derivatives》 1. New York: Interscience.
- ↑ Anderson, Thomas (1849). “On the constitution and properties of picoline, a new organic base from coal-tar”.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16: 123–136.
- ↑ Anderson, T. (1849). “Producte der trocknen Destillation thierischer Materien” [Products of the dry distillation of animal matter]. 《Annalen der Chemie und Pharmacie》 (독일어) 70: 32–38. doi:10.1002/jlac.18490700105.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피리딘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