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노 소나타 19번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19번 사단조, 작품 번호 49-1》는 루트비히 판 베토벤에 의해 쓰인 피아노 소나타로, 두 개의 소나타, 작품 번호 49 세트의 첫 번째 작품이다. 개요두 개의 소나타, 작품 번호 49 세트는 장르 일련번호에 따른 전후의 작품과는 작곡 연대에서 크게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최초의 착상이 스케치장에 쓰인 것은 1795-96년 무렵의 일이었다.[1] 완성 시기는 "작품 번호 49-2"인 20번 소나타가 1796년, "작품 번호 49-1"인 19번 소나타가 1797년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두 개의 소나타 모두 《3번 소나타》 이후에 곧 쓰인 작품들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시간이 많이 흐르고 난 뒤에 초기의 작품이 출판되고 있는 것은, 베토벤의 작품들에 관하여 출판 경영에서 큰 역할을 맡던 카스파(베토벤의 남동생)가 독단으로 출판사에 그 초기 작품의 악보들을 가져왔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1] 두 개의 소나타의 초판본은 1805년 1월에 빈의 예술과 산업 상점 사를 통해 간행되었다 작품 번호 49 세트의 초판보에 붙어 있는 제목은 "두 개의 쉬운 소나타("Deux Sonates Faciles")로,[2] 모두 2악장제의 간소한 형식을 갖춘 탓에 종종 소나티네의 작품들로 여겨지곤 한다. 악보에는 헌사가 내걸려져 있지 않고, 작곡의 배경마저 명확하지 않지만, 아마도 제자를 위해 쓰인 것으로 여겨진다.[3] 제목처럼 연주도 용이해서, 초보의 교재로 자주 거론되는 등 유명하다.[4] 그러나 그 내용은 격조 높은 예술 음악으로서의 모습이 확고히 완성되고 있다.[4] 찰스 로젠은 두 개의 소나타에 관하여 기술적 도전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깊은 영향을 미치는 뛰어난 작품"이라고 말했다.[5] 악장 구성작품은 2악장 형식을 따르고 있다:
총 연주 소요 시간은 약 8분 정도이다: 제1악장. 안단테2/4 박자, 사단조, 소나타 형식. 악장은 침울한 분위기의 제1주제에 의해 막을 연다(악보1). 악보1 ![]() 간결한 경과구에 이어 내림나장조에서 악보2의 제2주제가 나타난다. 악보2 코데타에서는 악보2의 서두가 회상된다. 제시부가 반복되면 악보2의 서두가 트릴을 동반하여 유니즌으로 연주되고 전개부가 개시된다. 새로운 소재와 그 변주에 이어, 제2주제가 차례차례 전조를 거듭해 긴장감이 고조되어 제1주제의 재현으로 이행한다. 사단조로 재현된 첫 번째 주제는 반복될 때 주제를 저음부에 두고 고음부에서 대위법적인 음형을 연주함으로서 변화를 내고 있다. 두 번째 주제는 사단조로 재현되고 같은 주제를 이용한 코다가 연주되면서 조용히 악장을 마친다. ![]() 제2악장. 론도. 알레그로6/8 박자, 사장조, 론도 형식. 스타카토가 붙여진 기운찬 악보3에서 시작된다. 4마디 에피소드를 사이에 두고 악보3이 한 옥타브 높게 반복됨으로써 세도막 형식으로 된 론도 주제를 형성한다. 악보3 ![]() 유니즌의 도입으로부터 약간 어려운 표정의 경과부가 된다(악보4). 악보4 ![]() 침착성을 되찾아 돌체에서 연주되는 내림나장조의 주제는 악보4에서 이끌어진다(악보5). 아름다운 화성의 묘를 보이며 악보5가 반복되고, 다시 유니즌의 도입에서 악보4가 나타난다. 악보5 ![]() 주조의 론도 주제의 재현으로 이어지고, 다소 기계적인 대위법적 처리를 사이에 두고 사장조의 악봅5를 재현이 된다. 악보3이 다시 연주되어 절정이 이루고, 그 정점에서 페르마타에 의한 여운이 만들어진다. 코다는 악보3에 의거, 성부가 호응하며 상쾌하게 전 악장이 막을 내린다. 각주
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