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쉬르오트 군용 무선국
피에르쉬르오트 군용 무선국(프랑스어: Station hertzienne de Pierre-sur-Haute)은 프랑스의 군사통신시설로, 부지면적은 30헥타르에 달한다. 루아르주의 코뮌 Sauvain(fr)에서 퓌드돔주의 코뮌 Job(fr), 론알프, 오베르뉴의 경계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인접한 민용중게무선국은 전화회사 TéléDiffusion de France(TDF)사에 의해 건설된 것이다.[1] 역사1913년 프랑스어로 "샤쯔프 신호"라고 불리는 가로대 신호기가 현재 군용 무선국이 있는 곳에 건립되었다. 이때는 아직 끝에 완목 신호기가 달린 작은 석조 건축물에 불과했다.[1] 냉전하인 1961년, 유럽의 신호망"ACE High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82무선국의 하나로서 이를 건조하도록 NATO에서 프랑스군에 의뢰가 왔다. 이 신호망에서 피에르쉬르오트 군용 무선국은 Lachens(FNIZ)국을 남쪽으로 중계하고 Mont-Aout(FADZ)국을 북방으로 중계하였다.[2] 역할피에르쉬르오트 군용 무선국은 프랑스 공군의 관할 하에 있어, 80km 떨어진 리옹몽베르됭 공군기지의 지부이다. 프랑스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4무선국의 하나로서 다른 3국( Lacaune, Henrichemont, Rochefort 공군기지)과 교신을 한다.[3] 프랑스의 핵 공격 명령은 이곳을 경유한다고 알려져 있다.[1] 1994년에 공군 감시·정보·통신계 사령부(Commandement Air des Systèmes de Surveillance d’Information et de Communications)의 일부가 설립되으며, 2006년의 첫날부터는 기지망·정보계 통합방면군(Direction interarmées des réseaux d'infrastructure et des systèmes d'information)의 예하가 되었다.[3] 본 무선국의 국장은 소령이 맡으며,[4] 인원은 전기 기술자 정비사, 요리사 등 약 20명을 거느린다.[1] 시설루아르와 퓌드돔의 경계상 Sauvain과 Job 사이의 30헥타르의 부지에 위치한다. 주변은 목제·금속제의 높은 울타리로 둘러싸여 군사참모와 종업원은 헬리콥터나 도로를 통해 입·퇴장한다. 도로는 관계자 외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1] 건물높이 30m의 콘크리트 탑 2동은 1991년부터 무선 송수신에 사용되고 있다. 모두 핵폭발에 견디도록 건설되었다.[1] 이 밖에 주방과 식당, 침실을 갖춘 거주동과 차고가 있다. 겨울철에는 적설하기 위해 건조물 사이는 길이 30m의 지하도에서 오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1] 지하 시설이 무선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전송발신에 사용되는 지하부이다. 전파탑에서의 통신은 초당 2메가비트의 속도로 분석되어 적절하게 전송된다.[1] 패러데이 새장에 의해 전자기 펄스 대책이나 양압실 등, 화학적, 생물학적, 방사선적 혹은 핵 공격에 대한 다양한 강고한 방벽을 거느리고 있으며 독립한 수원과 전원을 갖고 있다.[1] 검열2013년 4월 프랑스의 정보기관인 프랑스 국내중앙정보국(Direction centrale du renseignement intérieur, 약칭 DCRI)은 이 무선국을 표제로 한 프랑스어 위키백과 항목을 삭제하려 하였으며, 이 무선국은 일약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삭제 요청을 받은 위키미디어 재단은 그 항목의 어느 기술이 첩보기관에게 문제인지 물었으나, DCRI는 답변을 거부하고 항목 전체 삭제 요구를 되풀이했다. 위키미디어 재단이 항목의 삭제를 거부하자, 이후 DCRI는 프랑스 국내에 거주하는 프랑스어 위키백과의 관리자에게 접촉해[5] 항목을 삭제하지 않으면 해당 사용자를 고소하겠다며 압력을 가하였다.[6] 그 관리자는 DCRI의 압력에 응했다. 위키미디어 프랑스 지부에서는 아래와 같은 성명을 발표하였다.
그 후 삭제된 항목은 다른 위키백과 관리자에 의해 복구되었다.[7][8] 프랑스 내무부는 프랑스 통신사의 취재에 대해 이 건에 관한 코멘트는 삼가겠다고 응답했다.[9] 이 소동의 결과, 해당 항목은 프랑스어 위키백과에서 가장 많이 열람된 문서로,[10][11] 나아가 각 언어판으로 차례로 번역되었다.[12] 프랑스의 신문 "20 minutes"는 이 사건을 가리켜 스트라이샌드 효과의 좋은 예라고 지적했다. 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