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코키스티스속(Picocystis )은 가장 작은 녹조류 의 하나이다. 모노호 에서 막대한 양의 피코키스티스 살리나룸(Picocystis salinarum )가 발견되며 미키마우스(Mickey Mouse)라고도 불린다.(사진 좌측 하단 참조)
생물 분류 ℹ️
역:
진핵생물
문:
녹조식물문
강:
피코키스티스강 (Picocystophyceae)Eikrem & Lopes dos Santos
목:
피코키스티스목 (Picocystales)Eikrem & Lopes dos Santos
과:
피코키스티스과 (Picocystaceae)Eikrem & Lopes dos Santos
속:
피코키스티스속 (Picocystis )R.A.Lewin 2001 emend. Eikrem & Lopes dos Santos, 2017
종:
피코키스티스 살리나룸 (P. salinarum )
학명
Picocystis salinarum
R.A.Lewin 2001
피코키스티스속 (Picocystis )은 녹조류 단형 속이다. 유일종 피코키스티스 살리나룸 (Picocystis salinarum )만을 포함하고 있다.[ 1] 녹조식물문 에 속하는 피코키스티스강 (Picocystophyceae)으로 분류된다.[ 2]
구조
정상 조건에서 피코키스티스 살리나룸 세포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을 갖고 있다. 크기는 직경이 2~3μm이다. 영양소가 고갈이 되는 조건에서는 세 갈래로 나뉘는 모양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모습은 표준적인 녹조류의 모양과 유사하다.
색소 는 주로 엽록소 a 와 b, 카로테노이드 비올라크산틴, 알로크산틴, 모나크산틴, 네오크산틴, 루테인 , 디아크산틴, 제아크산틴으로 이루어져 있다.[ 3] [ 4]
세포벽 은 주로 단당류 아라비노스 와 폴리아라비노스의 중합체 로 이루어져 있다.[ 3]
서식지
염수 또는 과염수 알칼리성 환경에서 발견된다.[ 5] [ 6]
계통 분류
다음은 2011년 렐리아르트(Leliaert) 등이 제안하고,[ 7] 2016년 실라(Silar)가 수정했으며[ 8] 2016년 렐리아르트[ 9] 와 2017년 로페스 도스 산토스(Lopes dos Santos) 등의 녹조식물 분류군 연구,[ 10]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 연구,[ 11] 산체스-바라칼도(Sánchez-Baracaldo) 연구에 기초한 녹조식물 계통 분류이다.[ 12] [ 13] [ 14]
각주
↑ “Genus: Picocystis” . AlgaeBase version 4.2. 2019년 10월 18에 확인함 .
↑ Lopes Dos Santos A, Pollina T, Gourvil P, Corre E, Marie D, Garrido JL, Rodríguez F, Noël MH, Vaulot D, Eikrem W (October 2017). “Chloropicophyceae, a new class of picophytoplanktonic prasinophytes” . 《Scientific Reports》 7 (1): 14019. Bibcode :2017NatSR...714019L . doi :10.1038/s41598-017-12412-5 . PMC 5656628 . PMID 29070840 .
↑ 가 나 Lewin RA, Krienitz L, Goericke R, Takeda H, Hepperle D (2000). “Picocystis salinarum gen. et sp nov (Chlorophyta) - a new picoplanktonic green alga.” . 《Phycologia》 39 : 560–565. doi :10.2216/i0031-8884-39-6-560.1 . 2019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Lopes Dos Santos A, Gourvil P, Rodríguez F, Garrido JL, Vaulot D (February 2016). “Photosynthetic pigments of oceanic Chlorophyta belonging to prasinophytes clade VII”. 《Journal of Phycology》 52 (1): 148–55. doi :10.1111/jpy.12376 . PMID 26987097 .
↑ 틀:저널 인용l
↑ Stamps BW, Nunn HS, Petryshyn VA, Oremland RS, Miller LG, Rosen MR, 외. (November 2018). “Metabolic Capability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Mono Lake during a Bloom of the Eukaryotic Phototroph Picocystis sp. Strain ML” .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84 (21). doi :10.1128/AEM.01171-18 . PMC 6193381 . PMID 30120120 .
↑ Leliaert F, Verbruggen H, Zechman FW (2011년 9월). “Into the deep: new discoveries at the base of the green plant phylogeny”. 《BioEssays》 33 (9): 683–92. doi :10.1002/bies.201100035 . PMID 21744372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 《HAL Archives-ouvertes》: 1–462.
↑ Leliaert F, Tronholm A, Lemieux C, Turmel M, DePriest MS, Bhattacharya D, Karol KG, Fredericq S, Zechman FW, Lopez-Bautista JM (May 2016). “Chloroplast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e deepest-branching lineage of the Chlorophyta, Palmophyllophyceae class. nov” . 《Scientific Reports》 6 (1): 25367. Bibcode :2016NatSR...625367L . doi :10.1038/srep25367 . PMC 4860620 . PMID 27157793 .
↑ Lopes Dos Santos A, Pollina T, Gourvil P, Corre E, Marie D, Garrido JL, Rodríguez F, Noël MH, Vaulot D, Eikrem W (2017년 10월). “Chloropicophyceae, a new class of picophytoplanktonic prasinophytes” . 《Scientific Reports》 7 (1): 14019. Bibcode :2017NatSR...714019L . doi :10.1038/s41598-017-12412-5 . PMC 5656628 . PMID 29070840 .
↑ Novikoff A, Barabasz-Krasny B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쪽. doi :10.13140/RG.2.1.4745.6164 . ISBN 978-966-397-276-3 .
↑ Sánchez-Baracaldo P, Raven JA, Pisani D, Knoll AH (2017년 9월). “Early photosynthetic eukaryotes inhabited low-salinity habitats”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4 (37): E7737–E7745. doi :10.1073/pnas.1620089114 . PMC 5603991 . PMID 28808007 .
↑ Gitzendanner MA, Soltis PS, Wong GK, Ruhfel BR, Soltis DE (2018년 3월).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105 (3): 291–301. doi :10.1002/ajb2.1048 . PMID 29603143 .
↑ Rockwell NC, Martin SS, Li FW, Mathews S, Lagarias JC (2017년 5월). “The phycocyanobilin chromophore of streptophyte algal phytochromes is synthesized by HY2” . 《The New Phytologist》 214 (3): 1145–1157. doi :10.1111/nph.14422 . PMC 5388591 . PMID 28106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