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선거구 (핀란드어 : Suomen vaalipiirit 수오멘 발리피리트[* ] )는 핀란드 의 의회 의원을 선출할 때 사용되는 선거구 다. 핀란드 의회선거는 커다란 선거구에서 10-20명을 비례대표 로 뽑는 초대선거구제다. 핀란드의 선거구는 1906년 의회개혁 때 설치되어 몇 차례 변동이 있었다. 현재 선거구는 총 13개다.
유권자는 자기가 거주하는 선거구에서 1표만 행사할 수 있다.
스웨덴계 자치지역인 아베난마 에서만 소선거구제가 실시된다. 유럽의회 선거와 공화국대통령 선거에서는 핀란드 국토 전체가 1개 선거구를 구성한다.
변동 역사
제2차 세계대전 이전
우시마주 선거구 : 우시마주 전역 - 23석.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 : 투르쿠 포리주 남부(아베난마 , 베흐마 , 뮈내매키 , 픽키외 , 할릭코 , 마스쿠 ) - 17석.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 : 투르쿠 포리주 북부(울빌라 , 이칼리넨 , 튀르배 , 로이마 ) - 17석.
해메주 남부 선거구 : 해메주 남부(탐멜라 , 하우호 , 홀롤라 ) - 11석.
해메주 복부 선거구 : 해메주 북부(피르칼라 , 루오베시 , 얨새 ) - 11석.
비푸리주 서부 선거구 (1906년-1945년): 비푸리주 서부(퀴미 , 라페 , 란타 ) - 13석.
비푸리주 동부 선거구 (1906년-1945년): 비푸리주 동부 - 17석.
미켈리주 선거구 : 미켈리주 전역 - 14석.
쿠오피오주 서부 선거구 : 쿠오피오주 서부(라우탈람피 , 쿠오피오 , 이살미 ) - 13석.
쿠오피오주 동부 선거구 : 쿠오피오주 동부(리페리 , 일로만치 , 피엘리섀르비 ) - 11석.
바사주 동부 선거구 (1906년-1960년): 바사주 동부(라우카 , 쿠오르타네 ) - 11석.
바사주 남부 선거구 (1906년-1960년): 바사주 남부(일마요키 , 코르스홀름 ) - 12석.
바사주 북부 선거구 (1906년-1960년): 바사주 북부(윌리스타로 , 이소퀴뢰 , 라푸아 , 피에타르섬 ) - 10석.
오울루주 남부 선거구 (1906년-1938년): 오울루주 남부(살로이넨 , 하파얘르비 , 카야니 , 오울루요키 , 오울룬살로 , 켐펠레 , 루미요키 , 리밍가 , 템메스 , 튀르내배 , 무호스 , 우타얘르비 ) - 13석.
오울루주 북부 선거구 (1906년-1938년): 오울루주 북부(케미 , 쿠이바니에미 , 리 , 하우키푸다스 , 키민키 , 윌리키민키 , 푸다섀르비 , 타이발코스키 , 쿠사모 ) - 6석.
라피 선거구 (1906년-1908년) → 라핀마 선거구 (1909년-1938년) → 라피주 선거구 (1939년-1995년) - 1석.
위의 열다섯 선거구는 현재 그러한 것처럼 비례대표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마지막의 라피는 인구밀도가 낮아서 1석밖에 배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소선거구였다.[ 1] [ 2] 1918년 독립한 뒤 소련에게 넘겨받은 페차모 는 라피 선거구에 소속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의 결과 비푸리시 를 포함한 서카리알라 (비푸리주)의 절반을 소련 에 할양하고 페차모도 도로 빼앗겼다. 소련에 넘어간 비푸리주 지역의 난민들은 1945년에서 1948년 사이에 퀴미주 경계 가까이에 1개 선거구를 만들어서 거기에 투표했다.
1969년 선거법
1969년 선거법에서 규정된 선거구는 다음과 같다.
헬싱키시 선거구 : 1954년 우시마주에서 분리됨.
우시마주 선거구 : 헬싱키시 를 제외한 우시마주 .
투르쿠주 남부 선거구 : 투르쿠 포리주 남부(퓌해란타 , 코디쇼키 , 라이틸라 , 카리알라 , 윌래네 , 오리패 , 알라스타로 , 로이마 , 메채마 )
투르쿠주 북부 선거구 : 투르쿠 포리주 북부(라우마 , 라피 , 힌네료키 , 혼킬라흐티 , 새퀼래 , [밤풀라]], 후이티넨 , 푼칼라이투멘 )
아베난마주 선거구 : 아베난마주 전역.
해메주 남부 선거구 : 해메주 남부(우랼라 , 퀼매코스키 , 비알라 , 색스매키 , 발케아코스키 , 튀르브텐 , 하우호 , 람미 , 파다쇼키 )
해메주 북부 선거구 : 해메주 북부(베실라흐티 , 렘팰래 , 캉가살라 , 팰캐네 , 루오피오이넨 , 쿠흐말라흐티 , 쿠흐모이넨 )
퀴미주 선거구 : 퀴미주 전역.
미켈리주 선거구 : 미켈리주 전역.
쿠오피오주 선거구 : 쿠오피오주 전역.
북카리알라주 선거구 : 북카리알라주 전역.
바사주 선거구 : 바사주 전역.
중앙수오미주 선거구 : 중앙수오미주 전역.
오울루주 선거구 : 오울루주 전역.
라피주 선거구 : 라피주 전역.
현대에 사용되던 주 기준으로 나뉜 것이며, 아베난마를 제외한 모든 선거구가 비례대표제였다.
인구가 많은 세 주(해메주, 투르쿠 포리주, 우시마주)는 절반씩 나누거나 대도시(헬싱키)를 분리했다.[ 3]
현재
기존 광역자치단체였던 주(lääni) 가 2010년 폐지되고 2011년 지역(maakunta) 이 신설되었다. 이에 따라 선거구에도 약간의 조정이 가해졌다. 하지만 선거구 구획은 여전히 예전의 주 구획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주제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선거구 이름에서 "-주(läänin)"가 빠졌다.
헬싱키 선거구 : 헬싱키시 .
우시마 선거구 : 헬싱키시를 제외한 우시마 지역 .
남서수오미 선거구 : 남서수오미 지역 .
사타쿤타 선거구 : 사타쿤타 지역 .
아베난마 지역 선거구 : 아베난마 지역 .
해메 선거구 : 칸타해메 지역 + 패이얘트해메 지역 .
피르칸마 선거구 : 피르칸마 지역 .
남동수오미 선거구 : 남사보 지역 + 퀴멘락소 지역 + 남카리알라 지역 .
사보카리알라 선거구 : 북사보 지역 + 북카리알라 지역 .
바사 선거구 : 포흐얀마 지역 + 남포흐얀마 지역 + 중앙포흐얀마 지역 .
중앙수오미 선거구 : 중앙수오미 지역 .
오울루 선거구 : 북포흐얀마 지역 + 카이누 지역 .
라피 선거구 : 라피 지역 .
의석 배분
1962년에서 현재까지 핀란드 의회 (정원 200석)의 선거구별 의석 배분은 다음과 같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