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필리핀 의 대통령 목록 이다.
역대 대통령 목록
같이 보기
관련 항목
관련 주제
주해
↑ 대통령 대수는 이어지는 것으로 규정됐다. 예를 들어, 마누엘 L. 케손 은 재선했으나 제2, 3대 대통령이 아니라 제2대 대통령으로 분류된다. [ 주 1] 이 같은 이유로, 제5대 대통령 마누엘 로하스 의 사거로, 부통령 이었던 엘피디오 키리노 가 대통령 선거없이 로하스의 남은 임기를 마저 채웠으나 제6대 대통령이 된다.
↑ 아기날도가 필리핀-미국 전쟁 중 이사벨라 팔라난에서 생포되면서 임기가 종료된다.[ 2] [ 주 2]
↑ 가 나 다 대통령 임기 종료 후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적이 있다.[ 주 3]
↑ 말로로스 헌법 에는 부통령이 없다.[ 9]
↑ 필리핀 자치령 수립과 함께 임기가 시작됐다.[ 15] [ 주 1]
↑ 임기 중 뉴욕 세라낙 레이크 에서 결핵으로 사거.[ 16]
↑ 1935년 헌법이 1940년에 개헌되면서 대통령과 부통령의 임기가 6년에서 4년으로 단축되고 연임이 가능하게 됐지만, 헌법의 (대통령 임기는 8년 이상 연속으로 할 수 없다라는) 제한 조건으로 인해, 임기는 1943년 11월 15일 까지였다.[ 주 3]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이 발발하며, 대통령 케손과 부통령 오스메냐는 비상 취임 선서를 하게 됐고, 임기가 연장됐다.[ 2] [ 14]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이 필리핀을 점령하고, 괴뢰 정권 을 세우면서 임기가 시작됐다.[ 19] [ 20] 자치령 정부는 호주와 미국에 망명정부 로서 존속했다.[ 15] [ 21] 필리핀은 동시에 두 명의 대통령이 있었다.[ 2] 법률상 으로는 자치령 대통령이, 사실상 으로는 라우렐이 있었다.[ 22] 이러한 이유로 라우렐은 1960년대 이전까지는 정부에서 대통령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23]
↑ 일본이 연합국 에게 항복 하기 이틀 전에 제2 공화국이 해산하며 임기가 종료됐다.[ 23] [ 20] [ 주 4] 자치령 정부는 세르히오 오스메냐 를 제4대 대통령을 필두로 필리핀에 재수립했다,[ 19] [ 2] [ 주 5]
↑ 이전에 국민당 과 합당했으나,[ 17] 일본이 조직한 칼리바피가 제2공화국 국회에서 "비정치 봉사 조직"으로서 세워진다.[ 26] 전쟁 전 모든 정당들이 칼리바피로 대체됐다.[ 19] [ 23]
↑ 1943년 필리핀 헌법 에는 부통령 직이 없다.[ 9] [ 27]
↑ 가 나 다 라 마 낙선 (재선 실패).[ 주 3]
↑ 가 나 다 1987년 필리핀 헌법 개정 이전까지, 공석이된 부통령 자리를 채우는 것에 대한 장치가 없었다.[ 7] [ 6] 개헌 이후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가 테오피스토 깅고나 2세 를 공석이 된 부통령으로 임명하며, 부통령을 임명한 첫 번째 대통령이 됐다.
↑ 재임 중 팜팡가 클라크 공군 기지 에서 심장 마비로 사거.[ 33]
↑ 당시에 자유당은 독립된 정당이 아니었다, 단미 민주당의 한 분파였다.[ 32] 1947년에 이르러 분당하여 독립된 정당이 된다.[ 34]
↑ 필리핀 자치령 이 1946년 7월 4일을 끝으로 막을 내리며, 제3공화국이 시작된다.[ 2] [ 35]
↑ 자유당은 1949년 두 개의 파로 나뉜다. 하나는 차기 대통령을 꿈구던 호세 아벨리노 가 이끄는 아벨리노 파와, 키리노 파.[ 39]
↑ 임기 중 항공기 추락 사고 로 세부 마눙가 산에서 사거.[ 43] [ 44]
↑ 피플 파워 혁명 으로 하야.[ 주 6]
↑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와 함께 임기가 종료됐다.[ 9] [ 주 7]
↑ 마르코스는 1973년 그의 마지막 임기인 2기 임기의 말미에 다다르자, 1972년 9월 23일 포고령 1081호 를 통해 계엄령 을 선포하며 친위 쿠데타 를 벌인다. 계엄령의 일반 명령 1번은 모든 권력을 대통령에게 이양한다고 되어 있었으며 이는 마르코스가 명령으로 통치할 수 있게됐다.[ 60]
↑ 1978년 6월 12일부터 1981년 6월 30일까지 총리 를 겸임했다.[ 51] [ 주 7]
↑ 1973년 헌법 이 1984년 1월 27일에 국민투표 를 통해 개정되며 부통령 직을 복위시켰다.[ 9] [ 62] [ 주 7]
↑ 1973년 헌법 이 1981년에 개정되며 재선에 대한 제한이 없어졌다.[ 주 3]
↑ 1981년 1월 17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포고령 2045호로 계엄령을 선포하며,[ 60] 제4공화국이 시작된다.[ 35]
↑ 1986년 조기 선거 의 승리 선포로 임기가 시작됐다..[ 주 6]
↑ 1986년 3월 25일 코라손 아키노가 1986년 자유 헌법 로 칭하는 임시 헌법 을 공포했다.[ 65] 1987년 2월 2일 현재의 헌법으로 대체되기 전까지 유효했으며,[ 65] 제5공화국의 시작을 알렸다.[ 2]
↑ 대법원 은 에스트라다가 사임했다고 발표했고 제2차 EDSA 혁명 에 따라 대통령직을 공석으로 했다.[ 72]
↑ 내일을 위한 진리와 경험 연합당 (필리핀어 : Koalisyon ng Katapatan at Karanasan sa Kinabukasan 코알리숀 낭 마타파탄 앗 카라나산 사 키나부카산 )과 손을 맺었다.[ 75]
주
↑ 가 나 에밀리오 아기날도 가 만약 1935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 에서 승리했다면 1935년 11월까지 대통령 직이 폐지됐었기 때문에, 제2대 대통령으로 분류됐을 것이다.[ 1]
↑ 9일 후 아기날도는 미국에 충성 서약을 했고, 제1공화국이 막을 내린다.[ 3]
↑ 가 나 다 라 6년을 재임하고 또 다른 6년의 중임을 제한하던 1973년 헌법 이 1981년에 개정되기 전까지는,[ 4] [ 5] 4년 임기의 대통령은 중임이 가능했다. 개정된 1935년 헌법 에 따르면 "그 누구도 대통령 직을 8년 연속으로 재임할 수 없다"라고 명시돼있다.[ 6] 현행되는 1987년 헌법 이 공표됐을 때 그 이전의 헌법들을 폐지시켰고, 더 이상 대통령은 중임이 불가능하게 됐다. 하지만 4년 이상 대통령 직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다음 6년 임기의 중임이 가능하다.[ 7]
↑ 1945년 9월 17일 필리핀 대법원 이 이 불법 정부를 제2공화국을 데 팍토 정부로 선언했다.[ 23] 제2공화국의 법들을 모두 무효로 됐으나,[ 2] [ 23] 라우렐은 1960년대에 필리핀 대통령 일원으로 포함됐다.[ 23]
↑ 필리핀 자치령 정부는 1945년 2월 27일 법적으로 재건을 선포하기 이전에[ 24] , 이미 레이테 전투 중인 1944년 10월 23일 타클로반 에 임시로 세워졌었다.[ 25]
↑ 가 나 1986년 2월 25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와 코라손 아키노 둘 다 대통령 취임 선서를 했다. 사실상 필리핀은 또 다시 두명의 대통령을 동시에 있게됐으나, 고작 9시간 동안이었다.[ 55] 마르코스의 정적이고 코라손의 남편인 베니그노 아키노 2세 가 1983년 암살 된 후,[ 56] 마르코스는 조기 선거를 실시하고 비난이 난무하던 2월 4일 조기선거 에서 승리했다고 2월 15일에 선언한다,[ 55] [ 57] 그러나 NAMFREL 이 독자적으로 2월 16일 아키노를 정식적으로 당선된 대통령으로 선포한다.[ 58] [ 59] 이 사건은 2월 22~25일동안 열린 피플 파워 혁명(시민 혁명)의 도화선이 됐다. 이 시민 혁명으로 마르코스는 하와이로 명명하고 아키노는 대통령에 취임한다.[ 55] [ 56] [ 59]
↑ 가 나 다 1973년 1월 17일 계엄령 시행 중에 1935년 헌법을 철폐하고 제3공화국의 종말을 고하는 1973년 헌법 이 비준된다.[ 9] [ 35] 마르코스가 부르던 "신 사회"(필리핀어 : Bagong Lipunan 바공 리푸난 )이 시작된다.[ 35] 바공 리푸난은 의원 내각제 를 출범시키고,[ 61] 부통령이 폐지됐으며 대통령 궐위시 승계를 총리 로 이양했다.[ 9]
각주
↑ Agoncillo & Guerrero 1970 , 281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AgoncilloGuerrero1970 (help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The Executive Branch”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23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Tucker 2009 , 49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Tucker2009 (help )
↑ 가 나 PCDSPO 2015 , 125–12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1973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7년 6월 2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The 1935 Constitution:
↑ 가 나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9년 1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이전에 카티푸난 의 막달로 파 소속이었다.
↑ 가 나 다 라 마 바 “Office of the Vice President”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6월 21일에 확인함 .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Philippine Presidents”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Manuel L. Quezon”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0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54–5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다 PCDSPO 2015 , 62–6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The Commonwealth of the Philippines”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20년 10월 2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8일에 확인함 .
↑ Tejero, Constantino C. (2015년 11월 8일). “The real Manuel Luis Quezon, beyond the posture and bravura” . 《Philippine Daily Inquirer》.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Jose P. Laurel”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5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다 Jose, Ricardo T. (1997년). Afterword. 《His Excellency Jose P. Laurel, President of the Second Philippine Republic: Speeches, Messages and Statements, October 14, 1943 to December 19, 1944》 . By Laurel, José P. 마닐라: Lyceum of the Philippines in cooperation with the José P. Laurel Memorial Foundation. ISBN 971-91847-2-8 . 2016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대통령 박물관 도서권 경유.
↑ 가 나 PCDSPO 2015 , 7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Agoncillo & Guerrero 1970 , 415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AgoncilloGuerrero1970 (help )
↑ “Today is the birth anniversary of President Jose P. Laurel” . 《대통령 박물관 도서권》.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Staff writer(s); no by-line. (2015년 10월 14일). “Second Philippine Republic”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5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6일에 확인함 .
↑ MacArthur, Douglas (1945년 2월 27일). “Speech of General Douglas MacArthur upon turning over to President Sergio Osmena the full power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mmonwealth Government under the Constitution”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9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4일에 확인함 .
↑ Staff writer(s); no by-line. (2012년 9월 4일). “Sergio Osmeña: Remembering the Grand Old Man of Cebu” . National Historical Commission of the Philippines . 2016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66–6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The 1943 Constitution”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20년 6월 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2일에 확인함 .
↑ “Sergio Osmeña”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Manuel Roxas”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다 PCDSPO 2015 , 74–7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Staff writer(s); no by-line. (1948년 4월 16일). “Heart Attack Fatal to Philippine Pres. Roxas” . 《Schenectady Gazette》 (마닐라).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78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다 라 “Third Republic”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Staff writer(s); no by-line. (2012년 11월 16일). “The ritual climbing of the main stairs of...”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3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Tumblr 경유. 이틀 동안 대통령이 없었다.
↑ “Elpidio Quirino”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8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PCDSPO 2015 , 80–8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Ramon Magsaysay”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09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PCDSPO 2015 , 85–88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Death Anniversary of President Ramon Magsaysay”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3년 3월 17일. 2016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Staff writer(s); no by-line. (1957년 3월 18일). “Magsaysay Dead in Plane Crash” . 《St. Petersburg Times》 (마닐라: Times Publishing Company). 2016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Carlos P. Garcia”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0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91–93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Diosdado Macapagal”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1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96–98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Ferdinand E. Marcos”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8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101–10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108–110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다 Reaves, Joseph A. (1986년 2월 26일). “Marcos Flees, Aquino Rules” . 《시카고 트리뷴》 (마닐라: Tribune Publishing). 2017년 10월 1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Chandler & Steinberg 1987 , 431–442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ChandlerSteinberg1987 (help )
↑ “Resolution No. 38”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1986년 2월 15일. 2017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 “1986 Tally Board” . 전국민 자유 선거 시민 운동 . 1986년 2월 16일. 2016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CDSPO 2015 , 132–13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Declaration of Martial Law”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7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Sicat, Gerardo P. (2015년 9월 23일). “Marcos and his failure to provide for an orderly political succession” . 《The Philippine Star》. 2016년 7월 9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130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Corazon C. Aquino”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3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Philippine Constitutions” . 《필리핀 공보》.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22년 6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25일에 확인함 .
↑ “Fidel V. Ramos”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4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142–143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Joseph Ejercito Estrada”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5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PCDSPO 2015 , 147–149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Calica, Aurea (2001년 1월 21일). “SC: People's welfare is the supreme law” . 《The Philippine Star》. 2016년 6월 18일에 확인함 .
↑ “Gloria Macapagal-Arroyo”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6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가 나 PCDSPO 2015 , 153–155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Benigno S. Aquino III”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2년 11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5일에 확인함 .
↑ PCDSPO 2015 , 217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CDSPO 2015 , 159–161쪽 괄호 없는 하버드 인용 error: 대상 없음: CITEREFPCDSPO2015 (help )
↑ “Presidency and Vice Presidency by the Numbers: Rodrigo Roa Duterte and Leni Robredo” . 《대통령 박물관 도서관》. 대통령 공보 발전 전략 계획실. 2016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13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