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종교

필리핀의 종교에서 기독교가 우세한 종교이며,[1] 로마 가톨릭교회가 기독교 내 최대 종파이다. 이슬람교, 다르마 종교 (불교, 시크교, 힌두교), 필리핀의 토착 민속 종교 (아니토 또는 애니티즘)에 속하는 상당한 규모의 소수 종교 집단 역시도 존재한다.

필리핀은 세속국가이고 헌법으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 스페인선교사들이 들어오기 앞서, 오늘날 필리핀을 이루는 지역에 거주하던 다양한 민족 집단들은 여러 종류의 신앙을 따르고 있었다.

개요

파오아이 교회
2018년 성 목요일에 '비시타 이글레시아'를 위해 마닐라 대성당에 모인 신도들.

모든 기독교 분류를 포함한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1.5%가 기독교인이며[2] 79%가 가톨릭교회에 속하고 13%가 개신교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필리핀 독립교회, 여호와의 증인, 사도 가톨릭교회,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의 교회, 오순절주의 등 다른 종파들에 속한다.

Large crowd outside a colorfully-decorated church
세부시눌룩 축제 기간 세부산토 니뇨 성당에서 열리는 미사에 참가한 필리핀기독교인.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필리핀 지역에 도래하기 이전 전통 종교인 필리핀 토착 민속 종교 (총괄하여 애니티즘이나 바탈리즘으로 지칭)는 많은 토착 민족, 부족집단, 가톨릭/기독교나 이슬람교에서 전통 종교로 귀의한 이들로 이뤄진 인구의 약 2%가 따르고 있다.[3][4] 이 종교는 자주 기독교 및 이슬람교와 혼합되었다. 불교일본계 필리핀인 공동체 등을 통해 필리핀 인구의 0.04%[5]가 신봉하고 있으며,[6][4] 도교중국의 민간신앙과 더불어 중국계 공동체에서 우세 종교이기도 하다. 시크교, 힌두교 역시도 소수의 신자들이 존재한다.[3][4][7][8][9] 필리핀의 무종교 비율은 매우 낮으며,[10][11] 2020년 기준으로 필리핀 인구의 0.04%가 종교가 없다고 하였다.[5]






필리핀의 종교 (2020년 인구조사)[1]

  천주교(78.8%)
  그 외 기독교 종파(2.5%)
  이슬람교(6.4%)
  그 외 / 미상(8.2%)

2015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복음주의파는 인구의 2%를 이뤘다. 미국 및 한국 공동체, 북루손에서 특히 코르디예라 행정구, 남민다나오,[12] 필리핀 내 많은 부족 집단들에서 교세가 두드러진다. 개신교는 자유주의적 성향 및 복음주의 성향 양측 모두 2010년 이래로 2015년까지 매년 최대 10%의 상당한 성장 추세를 기록하고 있다.[13]

필리핀 인구의 약 6.4%는 2020년 기준 무슬림이며,[5] 이슬람교가 필리핀 내 두 번째로 큰 종교이다. 무슬림의 대다수는 방사모로 또는 모로 지역으로 알려진 민다나오, 팔라완, 술루군도 등에 거주한다.[14] 일부는 필리핀의 다른 지역 도심과 교외 지역으로 이주하고 있으며, 메트로 마닐라 (마닐라키아포의 '무슬림 타운', 파라냐케바클라란, 라스피냐스의 일부, 파시그의 마하를리카), 메트로 세부, 바기오, 칼라바르손 지방 (특히나 카비테주, 라구나주, 바탕가스주 등의 도시화가 이뤄진 마을 및 지역) 등에서 생생히 목격할 수 있다.[출처 필요] 대부분의 필리핀 무슬림들은 샤피이파에 따른 수니파를 믿는다.[15] 일부 아흐마디야 무슬림들이 존재한다.[16]

종교의 자유

필리핀의 종교의 자유는 헌법 상에서 제3조제5항 (권리장전)을 통해 보장되어 있으며, "어떠한 종교를 국교로 지정하거나, 종교에 대한 신앙 고백 및 숭배를 차별이나 우대 없이 자유롭고 행사하고 누리는 것은 영원히 허용되어야 한다. 시민 및 정치권 권한을 행사하는 데 있어 종교적 시험이 요구되어서는 안된다."라고 기술되어 있다.[17] 2024년, 프리덤 하우스종교의 자유에 있어 필리핀에 4점 만점에 4점을 주었다.[18]

인구

2020년 인구조사에 따른 주요 종교
기독교: 이슬람교:
  50% 이상
  50% 이상
  70% 이상
  70% 이상
  85% 이상
  85% 이상
  95% 이상
  95% 이상

필리핀 통계국은 2020년 인구 조사를 바탕으로 필리핀 전체 중 78.81%가 가톨릭교도, 10.8%–11%가 개신교도, 6.42%는 이슬람교이라는 내용을 2023년 2월에 발표했다.[5]

종교별 인구 (2020)
종교 신자 수 백분율
로마 가톨릭교회[a] 85,645,362
78.8%
이슬람교 6,981,710
6.4%
이글레시아 니 그리스도 2,806,524
2.6%
필리핀 독립 교회 1,458,992
1.4%
제칠일재림교 862,725
0.8%
침례교 540,364
0.5%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의 교회 470,792
0.4%
여호와의 증인 457,245
0.4%
그리스도의 교회 429,921
0.4%
'그 외 기독교 종파 (소규모 기독교 종단 포함)' 8,954,291
8.2%
'없음' 43,931
0%
'미응답' 15,186
0%
합계 108,667,043
100%
Source: 필리핀 통계국[5]

기독교

마젤란의 항해를 나타내는 지도

기독교는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상륙하면서 필리핀에 전래됐다. 1543년, 스페인 탐험가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는 당시 아버지인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이자 스페인 국왕으로서 카를로스 1세의 아래에서 지로나아스투리아스 공이던 스페인의 펠리페 2세를 기념하며 필리핀 제도에 '라스 이슬라스 필리피나스'라고 명명했다. 스페인, 미국의 필리핀 식민 통치 기간 이뤄진 선교 활동은 필리핀을 동아시아 최초의 가톨릭 국가로, 그리고 이후 동티모르와 함께 동아시아에서 두 개뿐인 가톨릭 우세 국가 중 하나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전체 인구의 약 88.66%가 기독교 신앙에 속해 있다.[3][19]

가톨릭

가톨릭 (필리핀어: Katolisismo, 스페인어: Catolicismo)은 필리핀 내 우세 종교이자 최대 기독교 종파로 2020년 기준으로 필리핀 인구 중 78.8% (85,645,362명)[a]를 구성한다.[5] 1876년 스페인 헌법[20]에 따라 스페인 식민지 시기 필리핀 제도 대부분에서 국교의 지위를 누렸다.[21] 필리핀의 여러 섬들에 사는 이들을 개종시키려는 스페인의 활동은 강력한 중앙 권력이 부재했다는 점과, 현지 언어를 배워 설교한 수도사들의 활동 덕분에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졌다. 일부 전통적인 애니미즘 풍습은 이 새로운 신앙과 혼합되기도 하였다.[22] 국교로서 가톨릭의 지위는 단명한 말롤로스 공화국 때도 이어졌다. 미국의 식민 정부정교 분리 정책을 수립함에 따라, 마침내 필리핀의 국교로서 측면이 끝나게 되었다.[20]

천주교는 필리핀 사회와 정책에 대단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1986년 무혈로 끝이 난 피플 파워 혁명 당시 대중들의 지지를 결집시키는 데 중대한 역할을 역할을 하기도 했다. 당시 마닐라 대주교이자 사실상 필리핀의 대주교이던 제이미 신은 라디오를 통해 대통령 페르디난드 E. 마르코스독재에 대항하여 반란군의 지지를 위해 에피파니오 데 로스 산토스 대로를 따라 모여달라고 요청했다. 약 700만 명이 2월 22일부터 25일간 이 요청에 반응했고, 비폭력 시위는 마르코스와 그의 일가로 하여금 권력을 놓고 하와이로 망명을 가도록 했다.[23]

일부 가톨릭의 축일은 가족 행사로서 문화적으로 중요성을 띠고, 상용력에서도 준수되고 있다. 이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상용력 상의 새해 행사를 포함하는 성탄절이며, 3월이나 4월에 있을 수 있는 보다 엄숙한 고난주간도 가장 중요한 행사에 포함된다. 11월마다, 필리핀 가정에서는 성인들과 죽은 자들을 기리면서 만성절위령의 날을 같은 날에 기념하고 있으며, 조상들의 무덤을 방문해 가꾸고, 기도를 드린 다음 축제를 벌인다.[24] 2018년 기준, 12월 8일에 열리는 성모무염시태가 특별 공유일로 추가되었다.[25]

필리핀 독립교회

참조

  1. 74,096명으로 집계된 카리스마파 가톨릭은 제외 (0.07%)

각주

  1.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Philippines in Figures》 (Quezon City, Philippine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년 2월 22일. 2025년 3월 25일에 확인함.  Finer details can be found in the Statistical Tables on the web page
  2.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 Statistical Tables”. 《Phillipine Statistics Authority》. 
  3.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년 1월 19일에 확인함. 
  4. Pew Research Center's Religion & Public Life Project: Philippines 보관됨 7월 8, 2014 - 웨이백 머신. Pew Research Center. 2010.
  5. Mapa, Dennis S. (2023년 2월 22일).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필리핀 통계국》 (보도 자료). 2023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12일에 확인함. 
  6. “Buddhism in Philippines, Guide to Philippines Buddhism, Introduction to Philippines Buddhism, Philippines Buddhism Travel”. 2007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Philippines – Pew-Templeton Global Religious Futures Project”. 2014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18일에 확인함. 
  8. “Punjabi Community Involved in Money Lending in Philippines Braces for 'Crackdown' by New President”. 2016년 5월 18일. 
  9. “2011 Gurdwara Philippines: Sikh Population of the Philippines”. 2011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11일에 확인함. 
  10. Bullivant, Stephen; Ruse, Michael, 편집. (2013년 11월 21일). 《The Oxford Handbook of Atheism》. Oxford, England: OUP Oxford. 563쪽. ISBN 978-0-19-166739-8. 2020년 9월 2일에 확인함. 
  11. Martin, Michael, 편집. (2006년 10월 30일).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영어).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쪽. ISBN 978-1-139-82739-3. 2023년 2월 18일에 확인함. 
  12. “Philippine Church National Summary”. 《philchal.org》. 2017년 9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17일에 확인함. 
  13. “500 years of Protestantism (World Christian Database)” (PDF). 2017년 2월 1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14. RP closer to becoming observer-state in Organization of Islamic Conference 보관됨 6월 3, 2016 - 웨이백 머신. (May 29, 2009). The Philippine Star. Retrieved 2009-07-10, "Eight million Muslim Filipinos, representing 10 percent of the total Philippine population, ...".
  15. McAmis, Robert Day (2002). 《Malay Muslims: The History and Challenge of Resurgent Islam in Southeast Asia》. Wm. B. Eerdmans Publishing. 18–24, 53–61쪽. ISBN 0-8028-4945-8. 2010년 1월 7일에 확인함. 
  16. R Michael Feener; Terenjit Sevea (2009). 《Islamic Connections: Muslim Societ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44쪽. ISBN 9789812309235. 2014년 6월 7일에 확인함. 
  17. Article III, Section 5 of the Constitution of the Philippines (1987)
  18. “Philippines: Freedom in the World 2024 Country Report”. 《Freedom House》. 
  19.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년 1월 19일에 확인함. 
  20. Aguilar, Filomeno Jr. (2015). “Church-State Relations in the 1899 Malolos Constitution: Filipinization and Visions of National Community”. 《Southeast Asian Studies》 4 (2): 305. 2024년 10월 9일에 확인함. 
  21. “Religion and Politics in the Philippine Setting”. 《Center for Media Freedom and Responsibility》 (영어). 2022년 2월 27일. 2024년 10월 9일에 확인함. 
  22. Russel, Susan. “Christianity in the Philippines”. Center for Southeast Asian Studies,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2020년 7월 14일에 확인함. 
  23. “Cardinal says Pope understands his role in Philippines”. 《The Calgary Herald》 (영어). 1986년 6월 21일. A11면. 2024년 10월 2일에 확인함. 
  24. “Celebrating All Souls Day in the Philippines”. 《barokandtakya.com/》. 2020년 10월 31일. 
  25. Placido, ABS-CBN News, Dharel. “Duterte signs law declaring Dec. 8 a nationwide holiday”. 2018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