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08개 법정리 55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675.27km2이다.[1] 하동군의 인구는 2008년 12월 30일을 기준으로 22,066세대 53,765명이다.[2]
지도
행정 구역
읍·면
|
한자
|
세대
|
인구
|
면적
|
법정리
|
하동읍 |
河東邑 |
4,512 |
11,964 |
29.5 |
읍내리(邑內里), 광평리(廣坪里), 비파리(琵琶里), 신기리(新基里), 목도리(牧島里), 흥룡리(興龍里), 화심리(花心里), 두곡리(豆谷里)
|
화개면 |
花開面 |
1,407 |
3,651 |
134.36 |
부춘리(富春里), 덕은리(德隱里), 탑리(塔里), 삼신리(三神里), 정금리(井琴里), 운수리(雲樹里), 용강리(龍岡里), 범왕리(凡旺里), 대성리(大成里)
|
악양면 |
岳陽面 |
1,750 |
3,946 |
52.64 |
미점리(美店里), 축지리(丑只里), 신대리(新垈里), 신성리(新星里), 신흥리(新興里), 중대리(中大里), 동매리(東梅里), 등촌리(登村里), 매계리(梅溪里), 정동리(亭東里), 정서리(亭西里), 입석리(立石里), 봉대리(鳳臺里), 평사리(平沙里)
|
적량면 |
赤良面 |
1,023 |
2,318 |
41.71 |
관리(館里), 우계리(牛溪里), 동리(東里), 서리(西里), 동산리(東山里), 고절리(高節里)
|
횡천면 |
橫川面 |
968 |
2,357 |
34.50 |
전대리(田垈里), 애치리(艾峙里), 여의리(如意里), 횡천리(橫川里), 월평리(月坪里), 남산리(南山里), 학리(鶴里)
|
고전면 |
古田面 |
1,194 |
2,896 |
36.18 |
범아리(泛鵝里), 성천리(城川里), 신월리(新月里), 전도리(錢島里), 대덕리(大德里), 고하리(古河里), 성평리(星坪里), 명교리(銘橋里)
|
금남면 |
金南面 |
1,795 |
4,687 |
43.1 |
중평리(仲坪里), 대치리(大峙里), 노량리(露梁里), 송문리(松門里), 대송리(大松里), 덕천리(德川里), 진정리(眞正里), 계천리(鷄川里), 대도리(大島里)
|
진교면 |
辰橋面 |
2,924 |
7,336 |
49.93 |
진교리(辰橋里), 백련리(白蓮里), 안심리(安心里), 고룡리(古龍里), 양포리(良浦里), 관곡리(冠谷里), 월운리(月雲里), 송원리(松院里), 고이리(古梨里), 술상리(述上里)
|
양보면 |
良甫面 |
967 |
2,357 |
34.42 |
운암리(雲岩里), 장암리(長岩里), 감당리(甘棠里), 우복리(愚伏里), 통정리(桶井里), 박달리(朴達里), 지례리(知禮里)
|
북천면 |
北川面 |
994 |
2,145 |
32.94 |
방화리(芳華里), 사평리(沙坪里), 직전리(稷田里), 옥정리(玉亭里), 서황리(西黃里), 화정리(花亭里)
|
청암면 |
靑岩面 |
792 |
1,853 |
75.63 |
평촌리(坪村里), 명호리(明湖里), 중이리(中梨里), 상이리(上梨里), 묵계리(默溪里)
|
옥종면 |
玉宗面 |
2,036 |
4,493 |
87.8 |
청룡리(靑龍里), 월횡리(月橫里), 두양리(斗陽里), 종화리(宗化里), 문암리(文岩里), 안계리(安溪里), 병천리(屛川里), 법대리(法大里), 대곡리(大谷里), 북방리(北芳里), 정수리(正水里), 양구리(良邱里), 궁항리(弓項里), 위태리(葦台里), 회신리(檜信里)
|
금성면 |
金星面 |
1,509 |
3,866 |
22.27 |
가덕리(可德里), 궁항리(弓項里), 고포리(高浦里), 갈사리(葛四里)
|
북천면은 가을이 되면 코스모스가 지천에 있다. 북천면사무소 앞의 마을은 북천역에서 한눈에 내려다보일 정도로 작고, 그 작은 마을을 돌아 산책길이 나 있다. 북천역에서 자전거로 10분 정도 거리에는 이병주 문학관이 있다.[3]
역사
- 1906년 9월 24일 진주군에서 현재의 옥종면, 청암면, 북천면 일부를 편입하였다.[4]
- 1914년 3월 1일 곤양군 서면, 금양면을 편입하였다.[5]
- 1914년 4월 1일 하동군의 면을 새로 정하였다. (14면)[6]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하동군 정수면(正水面) 정수동 |
옥동면(玉洞面) |
정수리
|
하동군 운곡면(雲谷面) 병천동/원매동/가덕동 일부, 청룡동, 양구동 |
병천리, 청룡리, 양구리
|
하동군 북평면(北平面) 대동/추동/(정수면)동곡동, 법대동/후평동, 북방동/불동/토동 |
대곡리, 법대리, 북방리
|
하동군 종화면(宗化面) 종화동/(가서면)원계동 일부, 문암동, 안계동, 월횡동 |
가종면 |
종화리, 문암리, 안계리, 월횡리
|
하동군 가서면(加西面) 두양동, 원계동 일부, 중태동 |
두양리, 원계리, 중태리
|
하동군 덕양면(德陽面) 우치동/비파동, 광평동/원동, 읍동/교동/선양동, 고동동/두곡동/율동, 정동/화심동/신촌동/선장동/(전라남도 광양군 다압면)섬진리 일부, 호암동/흥룡동/묵점동 |
덕양면 |
비파리, 광평리, 읍내리, 두곡리, 화심리, 흥룡리
|
하동군 팔조면(八助面) 문도동/구통동/목도동/하저동, 궁항동/토덕동/신기동/상저동, 하여동/강선동/석교동/고절동/상여동 일부/(적량면)상동산동 일부 |
목도리, 신기리
|
적량면 |
고절리
|
하동군 적량면(赤良面) 상삼동동/중삼동동/하삼동동/명천동, 동점동/상서동/중서동/하서동, 신촌동/상우동/우계동/공월동, 관동, 하동산동/두전동/계동/상동산동 일부/(팔조면)상여동 일부, |
동리, 서리, 우계리, 관리, 동산리
|
하동군 내횡보면 원동/상남동/중남동/하남동 일부/개인동 일부/(적량면)월곡동 |
남산리
|
하동군 서양곡면(西良谷面) 통정동/신청동/구청동, 봉곡동/박달동/성치동/세곡동/반계동, 예동/화촌동, 운산동/상명암동/지산동/진암동 |
양보면 |
통정리, 박달리, 지례리, 운암리
|
하동군 외횡보면(外橫甫酉) 상서동/상동동/하성동, 감당동/시영동/역촌동/상쌍동/(내횡보면)구여동 일부, 중쌍동/하쌍동/상장동/하장동/간동 |
우복리, 감당리, 장암리
|
하동군 내횡보면(內橫甫面) 온동동/온서동/수월동 일부/전두동 일부/애치동 일부, 신여동/광암동/구여동 일부/수월동 일부/토덕동 일부, 신대동/횡계동/장기동/서원동/고읍동/토덕동 일부, 답곡동/당북동/월평동/월라동/(청암면)시평동/신기동 |
내횡보면 |
애치리, 여의리, 횡천리, 학리, 월평리
|
하동군 청암면(靑岩面) 전대동/(내횡보면)죽전동/전두동 일부/애치동 일부, 궁항동, 위태동, 화신동, 평촌동/반월동/중이동 일부, 묵계동, 관점동/존치동/명호동/사동, 중이동 일부, 상이동/답동 |
전대리
|
청암면 |
궁암리, 위태리, 화신리, 평촌리, 묵계리, 명호리, 중이리, 상이리
|
하동군 북면(北面) 계산동/직전동, 사평동/모동, 방화동 |
북천면 |
직전리, 사평리, 방화리
|
하동군 대야면(大也面) 상촌동/화정동, 중촌동/서황동, 동황동/빙옥동/신촌동/(곤양군 초량면)삼거리동 일부 |
화정리, 서황리, 옥정리
|
하동군 동면(東面) 백토동/월운동/갑정동, 구영동/성평동/반석동/관곡동/송림동, 고내동/고외동/이동/신촌동, 역동/송내동/송외동/화포동, 백련동/(고현면)안심동, 상평동/하평동/(곤양군 금양면)진교동 일부 |
동면 |
월운리, 관곡리, 고이리, 송원리, 백련리, 진교리
|
하동군 악양면(岳陽面) 미점동/(덕양면)상개치동/하개치동, 축지동/축동동, 신중동/신대동, 신덕동/성두동, 상흥동/하흥동, 상중대동/하중대동, 동매동/평촌동, 등촌동, 매계동/호전동, 정동동/부계동, 정서동/상신동/상덕동 |
악양면 |
미점리, 축지리, 신대리, 신성리, 신흥리, 중대리, 동매리, 등촌리, 매계리, 정동리, 정서리
|
하동군 화개면(花開面) 봉대동/대촌동/하평동/평사동 일부, 입석동/(악양면)하덕동, 둔촌동/평사동 일부/검두동 일부, 부촌동/신기동/검두동 일부, 영당동/상덕동/중덕동, 탑촌동/가탄동, 삼신동/법하동/침점동, 정금동/대비동/중촌동/도심동, 운수동/신촌동/석문동/목압동/맥전동, 용강동/모암동, 범왕동/신흥동/호동/화천동/목통동/사시동, 대성동/사혜동/단천동/의신동/삼정동 |
봉대리, 입석리, 평사리
|
화개면 |
부춘리, 덕은리, 탑리, 삼신리, 정금리, 운수리, 용강리, 범왕리, 대성리
|
하동군 고현면(古縣面) 명교동, 성평동/신덕동, 고하동동/죽전동/성내동/남문동/해평동 |
고전면 |
명교리, 성평리, 고하리
|
하동군 팔조면 호화동/시목동/신월동/냉정동/사평동/양막동 |
신월리
|
하동군 마전면(馬田面) 성천동/지소동, 아동/범차동, 대덕동/조진동/합진동, 전도동/월진동/선소동/신방동, 나팔동/연막동/서근내동/내도동 |
성천리, 범아리, 대덕리, 전도리
|
남면 |
갈사리
|
곤양군 서면(西面) 삼천동/덕포동, 영천동/계항동, 대동동, 진목동/금오동, 대송동/곶치동, 소송동/수문동/미법동, 궁항동, 광포동/명덕동/가인동, 고포동/(하동군 마전면)사포동 |
덕천리, 계천리, 대도리, 진정리, 대송리, 송문리, 궁항리, 가덕리, 고포리
|
곤양군 금양면(金陽面) 노량동, 대치동, 중평동/중상동, 고색동/용호동/진교동 일부, 양포동, 안심동, 술상동 |
금양면 |
노량리, 대치리, 중평리, 고룡리, 양포리, 안심리, 술상리
|
- 1917~1918년경 덕양면을 하동면으로, 내횡보면을 횡천면으로, 동면을 진교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8년 4월 1일 옥동면과 가종면을 옥종면으로 합면하였다.[7] (13면)
- 1933년 1월 1일 금양면과 남면을 폐지하고, 금남면을 설치하였다.[8] (12면)
도령 제17호
구 구역 |
신 구역
|
진교면 일원 |
진교면
|
금양면 고룡리, 양포리, 안심리
|
남면 일원 |
금남면
|
금양면 노량리, 대치리, 중평리, 술상리
|
각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