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
분야
|
수상자
|
비고
|
1994년 1회[2]
|
전기.전자
|
조장희(58.한국과학기술원 정보 및 통신공학과 교수)
|
「4마이크론 해상도의 핵자기공명 현미경에 관한 연구」 살아 있는 물체를 절단하지 않고 내부의 구조 및 화학적 변화를 3차원으로 볼 수 있는 4마이크론 해상도의 핵자기공명 현미경에 관한 이론을 세계 최초로 정립하고 실험적으로 입증
|
기계.금속
|
민계식(52.현대중공업㈜ 선박해양연구소장)
|
「장거리 고속 수중익 쌍동여객선의 설계와 건조」 장거리 항로를 운항할 수 있는 고속 수중익 쌍동여객선의 설계에 관한 종합적인 이론분석과 모형시험을 통해 최적 선형 설계방법을 수립
|
화공.식품
|
권영수(53.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CFC 연구부 책임연구원)
|
「지배력 극점을 이용한 PID제어기의 개량된 조정방법」 화학공정에 관한 최적설계 및 운전조건을 구하는 기법과 새로운 조정법을 확립했고 이를 활용해 염화불화탄소(CFC) 관련물질의 제조공정을 개발
|
건축.토목
|
최창근(57.과학기술원 토목공학과 교수)
|
4변형 민드린 평판요소에서 감차적분과 비적합변이모드의 혼합사용」 복잡한 구조해석에 필요한 첨단 유한요소기법에 관한 연구성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범용 구조해석프로그램을 개발
|
1996년 2회[3]
|
|
장호남(53.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
‘膜 재순환 반응기에서 재조합 대장균의 고농도 배양’을 연구[4][5]
|
1999년 3회[6]
|
전기
|
한송엽 (59.서울대 전기공학부)
|
「전기기기 최적 형상설계를 위한 설계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
|
화학
|
이화영 (61. 서울대 화학공학과)
|
「헤테로폴리산을 이용한 고분자촉매막반응기및 고분자 혼성필름촉매의 특성연구」
|
2000년 4회[7]
|
기계.금속
|
이재영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교수(공학 분야)
|
수소때문에 철이 잘 파괴되는가를 규명한 '수소열분석법'발표해 SCI(국제논문색인)가 인정하는 학술지에 총 79회에 걸쳐 인용
|
화공.생물
|
김성철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공학과 교수
|
'동시중합방식에 의한 상호침투고분자(IPN)'의 합성에 세계최초로 성공해 항공기 소재와 인공심장 등에 대한 활용가능성
|
2002년 5회
|
기계.재료
|
남수우(62)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교수
|
새로운 지료강도학 이론을 적용한 최첨단 비열처리형 압출용 알류미늄합금 발명 및 국제공인 합금번호를 국내 최초로 등록한 공로
|
화학공학[8]
|
김상돈(57)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
삼상유동층 반응기의 열전도 및 물질전달의 각각 상호전달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최초로 총체적으로 해석
|
2004년 6회
|
전기·전자
|
현동석 (玄東石ㆍ55ㆍ한양대)
|
전력장치 및 설비의 대용량화에 필수적인 전력변환시스템을 고압화를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회로구성과 제어기법을 세계 최초로개발
|
기계·재료
|
곽병만 (郭柄晩ㆍ59ㆍ한국과학기술원)
|
최적설계 분야에서 국내외 학계의 선두주자로 골절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는 공학적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한 공로
|
화공
|
우성일(禹誠一ㆍ53ㆍ한국과학기술원)
|
세계 최초로 단일 활성점 유기금속 촉매를규칙적인 나노물질을 섞은 새로운 올레핀 중합 촉매를 창안해 이를 나노복합체, 나노반응기 등 새로운 연구분야에 응용
|
건축·토목
|
홍성완(洪性完ㆍ60ㆍ건설기술연구원)
|
전통적인 터널엔지니어링 기술에 지리정보시스템(GIS),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기법,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등의 가시화 첨단기법을 적용, 온라인으로 터널현장을 실시간 관리시스템을 개발
|
2006년 7회[9]
|
전기
|
한민구(韓民九) :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
디스플레이 부분의 연구로 우리나라가 TFT-LCD 산업에서 세계 1위를 하는데 큰 기여
|
기계
|
이종원(李鍾元)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
‘회전체 역학 및 진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학자로 이 분야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
|
섬유
|
이화섭(李和燮)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재료연구부 박사
|
셀룰로우스 신소재 생산에 관해 세계 정상수준의 연구성과를 이룩했다. 이 연구위원은 연구업적이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에 크게 기여
|
2008년 8회[10]
|
전자
|
나정웅(68) KAIST 명예교수
|
지하 100여m에 있는 직경 2m 크기의 땅굴을 찾을 수 있는 시추공 전자파 레이다를 개발, 휴전선 제4땅굴 발견에 기여
|
산업
|
최병규(60) KAIST 교수
|
기계 가공 및 제조 시스템 운영의 자동화·정보화·지능화
|
식품
|
박관화(66) 서울대 명예교수
|
새로운 탄수화물 효소를 개발해 기능성 천연물의 이용도를 높인 공로
|
2010년 9회
|
전기․전자
|
이광복 : 서울대학교 전기공학부 교수
|
이동통신 분야의 권위자로서, 초고속 데이터 통신의 핵심인 OFDMA(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방식)와 다중안테나 분야의 원천 기술을 연구·개발하여 현재 상용중인 와이브로 시스템과 LTE 시스템의 기본기술로 채택되게 하는 등 산업 발전에 기여
|
기계․금속․재료
|
강석중 :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
다결정 소재의 물리적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세구조가 소재의 제조와 가공 중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리를 규명하여 재료 미세조직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신소재 제조에 응용하는 등 우리나라 재료공학과 산업 발전에 기여
|
건축․토목
|
신성우 : 한양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가비전인 저탄소 녹색성장을 달성하는 핵심 기술인 ‘녹색 건축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로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첨단 녹색 건축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건축물, 단지, 도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는 프로그램(SUS-LCA)을 개발하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
|
2012년 10회
|
컴퓨터.정보
|
황규영 : 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 교수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 이론 및 실용화 기술 연구개발
|
기계
|
양동열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교수
|
3차원 형상의 정밀 정형 가공 기술 혁신 및 이론 개발
|
환경
|
안규홍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무산소/혐기조 교대 운전형 막활성 슬러지(SAM:Sequencing Anoxic/anaerobic Membrane bioreactor) 공법 개발
|
2014년 11회[11]
|
통신
|
방승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2세대 CDMA, 3세대 WCDMAㆍcdma2000, 4세대 LTE 이동통신 표준 및 시스템 개발 분야에서 국가기술력을 제고한 공로
|
재료
|
이정용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
동식물이나 액체를 포함하는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액체전자현미경이라는 분야를 개척한 공로
|
화공
|
남인식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학협력연구를 통해 선박용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 기술을 개발한 공로
|
2016년
12회
|
전기.전자
|
문건우 : 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
데이터 센터용 전원장치, 무선전력전송, 배터리 관리 시스템, 디스플레이 전원장치의 초고효율 및 초고밀도 기술 개발
|
2017년
13회
|
무선통신
|
이인규 :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다중안테나 방식에 기반한 초고속 통신시스템 연구개발
|
화학공학
|
차형준 :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
홍합접착단백질 원천혁신소재 개발을 통한 의료접착제 기술사업화
|
2018년
14회
|
생명공학
|
심태보 : KIST
|
글로벌 혁신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도출 및 기술이전
|
환경공학
|
최원용 :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
광촉매의 환경에너지 응용기술 개발
|
2019년
15회
|
|
이승재 : 명지대학교 교수
|
국내 배전자동화 세계 기술 선도 기여. 세계 최초 자동 복구(Self-Healing) 분산형 고장처리 기술개발. 정확도 높은 고장점 표정 기술 개발 및 제품화
|
|
하헌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
미세먼지의 주된 전구체인 질소산화물의 저온탈질 변환효율을 높이는 탈질촉매 기술개발. 발명된 탈질촉매의 기술이전을 통한 세계 최초 저온 탈질촉매 기술 사용화
|
2020년
16회
|
제1군
|
박부견 : POSTECH 교수
|
최적화기법 기반의 강인제어 연구
|
제2군
|
이영국 : 연세대학교 교수
|
차세대 자동차용 망간강 개발
|
2021년
17회
|
제2군
|
이태억 : KAIST 교수
|
반도체 공정 장비의 Controller(스케쥴링 및 제어) 기술 개발
|
제3군
|
이태우 : 서울대학교 교수
|
고효율 유기&유무기 하이브리드 발광 다이오드 개발
|
2022년
|
기계
|
오준호: 한국과학기술원 명예교수
|
국내 최초로 인간형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하여 국제 경연 대회 우승, 창업 사업화 등을 통해 우리나라가 인간형 로봇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데 기여
|
|
민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본부장
|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용화합물을 생산하는 인공광합성 분야에서 핵심 촉매 기술을 개발하고,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이산화탄소를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
|
2023년
|
|
조광현: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역노화와 암 가역화 등 되돌리기 힘든 생명현상을 되돌릴 수 있는 생체제어 기술과 환자 맞춤형 항암치료 시뮬레이션 분석 플랫폼을 개발
|
|
이중희: 전북대학교 교수
|
재생에너지로 물을 분해해 만든 그린수소를 값싸면서도 높은 효율로 생산할 수 있는 나노촉매와 이를 적용한 알칼리 수전해 장치를 개발해 상용화
|
2024년
|
|
조형희 연세대 교수
|
첨단 냉각기술을 적용해 대형 발전용 가스터빈 블레이드와 연소기 등 고온 부품 국산화
|
|
백종범 산과학기술원 교수
|
금속 구슬을 기계화학적으로 원자화해 지지체에 고정하는 친환경·경제적 단일 원자 촉매 대량 합성 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