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천설(韓天卨, 1958년11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의 신약학 교수이다.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 겸 부총장, 일반대학원장, 목회신학전문대학원장, 상담대학원장과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했다.[1]
2003년부터 세계신약학회(Studiorum Novi Testament Societas) 정회원으로 활동하면서 한국과 세계신약학계의 가교역할에 이바지하고 있고, 한국성경공회 성경번역·연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바울신학자로서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바울서신의 올바른 해석을 위한 배경연구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바울의 구원론, 특히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학자들의 칭의론을 비평적으로 연구하면서 칭의와 성화의 균형잡힌 구원론을 올바로 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2][3]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총회장(제64회)과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을 역임했던 한석지 목사가 그의 부친이다.
한천설 교수 총신대학교
학력사항
총신대학교 신학과(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Theologische Universiteit van de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Drs.Theol.)
Theologische Universiteit van de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nd(Dr.Theol.)
경력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장 겸 부총장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편집위원장
세계신약학회(Studiorum Novi Testament Societas) 정회원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장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장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장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개혁신학센터장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경건훈련원장
총신대학교 성지·언어연구소장
화란 Kampen 신학대학교 신약신학과 전임연구조교 및 강사(AIO=Research Assistant)
개혁신학교 교수(교무처장)
개혁신학교 신학연구원장
총회개혁신학연구원 교수(교무처장, 부원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신약학과장)
암스테르담 화란한인교회 목사
형제들의 교회 목사
한국성경공회 성경번역·연구위원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신학연구위원
Sydney College of Divinity 해외자문교수단장
연구실적
학위논문
RAISED FOR OUR JUSTIFICATION: An Investig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urrection of Christ within the Theological Structure of Paul’s Message (박사학위논문)
“Gods genade en de menselijke respons: Een studie over de verhouding tussen de Indicatief en de Imperatief in de brieven van Paulus” (독투란두스 학위논문)
저서
RAISED FOR OUR JUSTIFICATION: An Investiga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Resurrection of Christ within the Theological Structure of Paul’s Message (Kampen: Kok, 1995)
“Pauline Soteriology and the Korean Church: A Diagnosis of the Korean Church in the 21st Century and the Solutions through Pauline Soteriology.” Chongshin Review (2012), 266-99.
“A Study on the Early Jerusalem Church: Is the Early Jerusalem Church the Ideal Model for the Church?”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2014), 95-12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our Justification: Focus on the Exegesis of Romans 4:25.”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2017), 10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