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동 관할 내 법정동들의 이름 전체를 조합하기도 한다. (예: 법정동인 인천광역시남동구 장수동 + 서창동 = 행정동인 장수서창동, 법정동인 대전광역시중구 은행동 + 선화동 = 행정동인 은행선화동)
하나의 행정동이 어떤 법정동의 일부와 또다른 법정동의 일부에 걸쳐 관할하기도 있다. (예: 행정동인 신사동은 법정동인 압구정동의 서반부(西半部)와 신사동의 서반부를 관할하며, 행정동 압구정동은 법정동인 신사동의 동반부(東半部)와 압구정동의 동반부를 관할함)
읍/면을 동으로 변경할 때, 기존 읍/면의 명칭을 따라 정하기도 한다. (예: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안심3·4동, 경기도 옹진군 대부면 - 안산시 대부동)
행정동의 이름이 법정동과 이름과 전혀 다를 수도 있다. (예: 행정동인 서울특별시강북구삼양동은 법정동인 미아동의 일부를 관할함. 경기도의왕시부곡동은 삼동, 이동, 월암동, 초평동을 관할함.)
역사
행정동의 기원은 일제강점기의 정회(町會)에 두고 있다. 정회는 정({町), 정목(丁目)을 단위로 하여 설치된 부(府)의 말단협력 보조기관으로 예컨대 당시 경성부에는 280여 개의 정회가 있었다. 이 정회 제도는 일제강점기 말기에 생긴 것으로 군정기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1] 정(町)을 동(洞)으로, 통(通)을 로(路)로, 정목(丁目)을 가(街)로 명칭 환원이 이루어질 때 동회로 개칭하여 사용하였고, 점차 동으로 명칭 일원화가 되었다.
행정 구역 동은 초기에 법정동과 행정동을 구분하지 않았다. 법정동이 곧 행정 구역 단위였다. 그러나 세분화된 동은 행정력 낭비로 이어졌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법정동을 묶을 필요가 생겨났다. 그리하여 기존 동과 구별되는 명칭으로 동회(洞會)를 사용하였다(예: 1965년대구중구에서는 시내 번화가의 38개의 법정동을 동성동회, 남성동회, 종로동회, 북성동회, 서성동회로 나누었다). 반면 넓은 동을 나누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였고 이 경우에는 동구(洞區)를 사용하였다.(예: 1965년 대구서구에서는 내당동을 내당동1구, 내당동2구, 내당동3구, 내당동4구로 나누었다.) 이렇게 행정동이 생겨났다. 1960년대 후반 동회는 모두 동으로 명칭 일원화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