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 알게티 Ras Algethi
|
 허큘리스자리의 성도(星圖). 라스 알게티(α)는 ‘무릎 꿇은 자의 머리’ 부분에 있다.
|
명칭
|
바이어 명명법
|
허큘리스자리 알파, α Her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허큘리스자리 64, 64 Her
|
밝은 별 목록
|
A: HR 6406, B: HR 6407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A: HD 156014, B: HD 156015
|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
A: SAO 102680, B: SAO 102681
|
소천성표
|
BD+14°3207
|
히파르코스 목록
|
HIP 84345
|
다른 이름
|
CCDM J17146+1424, AAVSO 1710+14
|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
별자리
|
허큘리스자리
|
적경(α)
|
A: 17h 14m 38.853s, B: 17h 14m 39.181s[1]
|
적위(δ)
|
A: +14° 23′ 25.0″, B: +14° 23′ 23.98″[1]
|
겉보기등급(m)
|
A: 3.350[1] (2.7–4.0[2]), B: 5.322[1]
|
절대등급(M)
|
−2.3[3] + 1.8 + 2.8[4]
|
위치천문학
|
적경 고유운동
|
−6.71 mas/년[5][6][7]
|
적위 고유운동
|
32.78 mas/년[5][6][7]
|
연주시차
|
9.07 ± 1.32 mas[5][6]
|
성질
|
광도
|
A: 7,244–9,333, Ba: 126, Bb: 26 L☉[8]
|
나이
|
0.41–1.25(십억 년)
|
분광형
|
A: M5 Ib-II, B: G8III + A9IV-V[8]
|
U-B 색지수
|
+1.01[9]
|
B-V 색지수
|
+1.45[9]
|
변광성 분류
|
SRc[2]
|
추가 사항
|
질량
|
A: 2.175–3.250, Ba: ~2.5, Bb: ~2 M☉[8]
|
반지름
|
A: 284 ± 60, 264–303 R☉[8]
|
표면온도
|
A: 3,155–3,365, Ba: 4,900, Bb: 7,350 K[8]
|
표면 중력 (log g)
|
−0.41±0.19[10]
|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
허큘리스자리 알파(α Her), 허큘리스자리 64는 허큘리스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망원경으로 관측하면 이 항성계는 여러 구성원으로 분리되어 보이는데 이들 중 가장 밝은 천체가 라스 알게티로 명명되었다.[11]
명칭
허큘리스자리 알파는 바이어 명명법, 허큘리스자리 64는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 표기한 명칭이다. 알파의 구성원 둘은 각각 ‘허큘리스자리 α¹’(둘 중 밝은 쪽)과 ‘허큘리스자리 α²’로 불린다. 이 중 후자는 쌍성으로 세 별은 각각 ‘허큘리스자리 알파 A’, ‘Ba’, ‘Bb’로 표기될 때도 있다.[12]
예전부터 알파 계를 불러오던 고유명칭은 라스 알게티로 아랍어 단어 رأس الجاثي (‘라이스 알-야티’, ‘무릎 꿇은 사람의 머리’)에서 온 것이다.[13] ‘머리’는 오랜 옛날 허큘리스자리가 거꾸로 뒤집어진 것으로 묘사된 사실에서 유래한 것이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표준화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4] 2016년 7월 위원회는 ‘허큘리스자리 α¹’에 ‘라스 알게티’ 명칭을 부여, 공고하였다.[15]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책력에 ‘라스 알-자시’ 또는 ‘라스 알 드자티’ 단어가 수록되었으며 이 단어는 라틴어로 Caput Ingeniculi 로 번역되었다.[16]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 라스 알게티는 천시원의 제좌(帝座, 황제의 의자)에 속해 있다.[17] R. H. 앨런은 ‘제좌’를 Ti Tso 로 표기했다.[18]
특성
허큘리스자리 α¹과 α²는 서로 500 천문단위 이상 떨어져 있으며 이로부터 예상되는 1 공전주기는 약 3600년이다. α¹은 상대적으로 질량이 크고 붉게 빛나는 ‘밝은 거성’이다. α²는 주인별인 황색거성과 짝별인 황백색 왜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은 질량중심을 51.578 일에 1회 공전한다.
허큘리스자리 α¹은 붉고 밝게 빛나는 거성으로 축퇴된 탄소-산소 중심핵 위로 수소와 헬륨 껍질들이 있는 점근거성가지(AGB) 항성이다. 이 별은 태양으로부터 두 번째로 가까운 AGB 항성이다.[8] 간섭계로 측정한 이 별의 시지름은 34 ± 0.8 밀리초각 또는 0.034 초각이다.[19] 히파르코스 위성의 측성자료로부터 계산한 결과 이 별과 지구 사이 거리는 약 359 광년으로[5][6][20] 이로부터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은 2억 8천만 킬로미터(태양 반지름의 400 배 또는 1.87 천문단위)가 나온다.[21] 만약 라스 알게티를 태양계의 중심부에 놓는다면 별의 반지름은 1.5 천문단위 거리에 있는 화성을 넘어서겠지만 소행성대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다. 이 적색거성은 태어날 때의 질량이 태양의 2.175 ~ 3.250 배 사이였을 것으로 추측된다.[8] 생명의 끝에 다다른 대다수 M형 항성들과 마찬가지로 라스 알게티는 상당한 비율의 질량을 방출하여 적어도 90 천문단위까지 확장된 가스 외피층을 만들고 있다.[22]
각주
- ↑ 가 나 다 라 Høg, E.; Fabricius, C.; Makarov, V. V.; Urban, S.; Corbin, T.; Wycoff, G.; Bastian, U.; Schwekendiek, P.; Wicenec, A. (2000).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5: L27. Bibcode:2000A&A...355L..27H. doi:10.1888/0333750888/2862.
- ↑ 가 나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 ↑ Huang, W.; Wallerstein, G.; Stone, M. (2012). “A catalogue of Paschen-line profiles in standard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547: A62. arXiv:1210.7893. Bibcode:2012A&A...547A..62H. doi:10.1051/0004-6361/201219804.
- ↑ Reimers, D. (1977). “On the absolute scale of mass-loss in red giants. I - Circumstellar absorption lines in the spectrum of the visual companion of Alpha-1 H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61: 217. Bibcode:1977A&A....61..217R.
- ↑ 가 나 다 라 Perryman, M. A. C.; Lindegren, L.; Kovalevsky, J.; 외. (July 1997), “The Hipparcos Catalogue”,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3: L49–L52, Bibcode:1997A&A...323L..49P
- ↑ 가 나 다 라 van Leeuwen, F (November 2007). “Hipparcos, the New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474 (2): 653.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 ↑ 가 나 “SIMBAD query result:NAME RASALGETHI -- Semi-regular pulsating Star”.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0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Moravveji, Ehsan; Guinan, Edward F.; Khosroshahi, Habib; Wasatonic, Rick (2013). “The Age and Mass of the α Herculis Triple-star System from a MESA Grid of Rotating Stars with 1.3 <= M/M ⊙ <= 8.0”. 《The Astronomical Journal》 146 (6): 148. arXiv:1308.1632. Bibcode:2013AJ....146..148M. doi:10.1088/0004-6256/146/6/148.
- ↑ 가 나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 ↑ Schröder, K.-P.; Cuntz, M. (April 2007), “A critical test of empirical mass loss formulas applied to individual giants and supergia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65 (2): 593–601, arXiv:astro-ph/0702172, Bibcode:2007A&A...465..593S, doi:10.1051/0004-6361:20066633
- ↑ “IAU Catalog of Star Names”.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Tokovinin, A. A. (1997).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Astronomy &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124: 75. Bibcode:1997A&AS..124...75T. doi:10.1051/aas:1997181.
- ↑ Kurt Vonnegut. “Constellations: Hercules 'the Strongman'”. The BBC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 ↑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PDF). 2016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 Bibcode:1895MNRAS..55..429K. doi:10.1093/mnras/55.8.429.
- ↑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5 日”. 2021년 4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7일에 확인함.
- ↑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Hercules
- ↑ Benson, J. A.; Dyck, H. M.; Mason, W. L.; Howell, R. R.; Ridgway, S. T.; 외. (1991년 12월). “The infrared angular diameter of Alpha Herculis measured with a Michelson interferometer”. 《Astronomical Journal》 102: 2091–2097. Bibcode:1991AJ....102.2091B. doi:10.1086/116033.
- ↑ Perryman, Michael (2010), 《The Making of History's Greatest Star Map》, Astronomers’ Universe,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10mhgs.book.....P, doi:10.1007/978-3-642-11602-5, ISBN 978-3-642-11601-8
- ↑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이 태양 반지름의 몇 배인지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각지름을 구하는 공식부터 계산한다.

여기에서 δ는 라스 알게티의 시지름(각초), dR은 별의 지름(천문단위), DR은 지구로부터의 거리(파섹)이다. 각지름과 거리를 알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dR을 구할 수 있다.
.
라스 알게티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태양 단위로 변환하면 1 AU = 149,597,871 km 이고 태양의 평균 반지름 = 696,000 km 이므로 계산은 다음과 같다.
(반올림함).
- ↑ Deutsch, Armin J. (1956년 3월). “The Circumstellar Envelope of Alpha Herculis”. 《Astrophysical Journal》 123: 210–227. Bibcode:1956ApJ...123..210D. doi:10.1086/146152.
외부 링크
- (영어) 허큘리스자리가 위아래로 뒤집혀 있음을 알려주는 자료. Hercules
좌표: 17h 14m 38.858s, +14° 23′ 2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