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클베리리지 응회암

허클베리리지 분화
맘모스 위 오스프리 폭포 근처 가드너강을 따라 이어진 허클베리리지 응회암[1]
{{{지도_말풍선}}}
허클베리리지 화산재층이 쌓인 곳을 그린 지도
화산아일랜드파크 칼데라
날짜210만년 전
유형플리니식 분화
위치미국 아이다호주/와이오밍주
북위 44° 20′ 서경 111° 20′ / 북위 44.33° 서경 111.33°  / 44.33; -111.33
VEI8

허클베리리지 응회암(Huckleberry Ridge Tuff)은 부분적으로 미국 와이오밍주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있으며, 서쪽으로 아이다호주 아일랜드파크 지역까지 뻗어 있는 아일랜드파크 칼데라를 형성한 허클베리리지 분화로 생성된 대규모 응회암층이다.[2] 2,450 km3 (590 cu mi)에 달하는 양의 분출 물질은 옐로스톤 열점 역사상 가장 큰 분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210만 년 전 발생한 이 분출은 옐로스톤 열점에서 세 번째로 최근에 발생한 대규모 칼데라 형성 분출이다. 이후 메이사폴스 응회암라바크리크 응회암 분출이 있었다.[3] 이 분출은 수십 년 간격으로 3단계에 걸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4]

같이 보기

각주

  1. “Huckleberry Ridge Tuff”. 《www.lpi.usra.edu》. 2021년 12월 4일에 확인함. 
  2. Christiansen, R.L., 2001, The Quaternary and Pliocene Yellowstone Plateau Volcanic Field of Wyoming, Idaho, and Montana: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729-G, 145 p.
  3. Yellowstone Caldera, Wyoming
  4. Swallow, Elliot J; Wilson, Colin J N; Charlier, Bruce L A; Gamble, John A (2019년 7월 1일). 《The Huckleberry Ridge Tuff, Yellowstone: evacuation of multiple magmatic systems in a complex episodic eruption》. 《Journal of Petrology》 (영어) 60. 1371–1426쪽. doi:10.1093/petrology/egz034. hdl:10468/8257. ISSN 0022-3530.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