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구)제544호
(1971년 7월 7일 지정)
수량2기
시대신라
소유국유
위치
홍천 대승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홍천 대승사
홍천 대승사
주소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동창로153번길 34 (물걸리)
좌표북위 37° 47′ 10″ 동경 128° 8′ 48″ / 북위 37.78611° 동경 128.14667°  / 37.78611; 128.14667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대승사에 있는 신라의 석조대좌와 광배이다.

1971년 7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44호 홍천 물걸리 불대좌 및 광배(洪川 物傑里 佛臺座 및 光背)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의 대승사에 있는 것으로, 불상은 없고 광배와 대좌만 남아 있다.

완전한 배(舟) 모양의 광배는 가운데에 연꽃무늬와 덩쿨무늬가 새겨지고 가장자리에는 불꽃모양이 섬세하고 화려하게 조각되어 있다. 윗부분과 좌우 등 9곳에 작은 부처가 새겨져 있는데 각기 손모양을 달리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광배를 받치고 있는 대좌(臺座)는 3단으로 구성된 8각 모양이다. 맨 아래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무늬가 각 면에 새겨져 있고, 모서리에는 작은 귀꽃이 있다. 중간의 각 면에는 불상과 악귀를 쫓아준다는 신장상이 새겨져 있다. 대좌의 맨 윗부분은 연꽃이 활짝 핀 반원형 모양이고 연꽃 안에 작은 꽃무늬가 새겨져 있어 화려함을 더해준다.

광배 및 대좌의 양식이 9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것들과 유사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

각주

  1.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제17328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0. 8. 25. / 63 페이지 / 1.2MB

참고 자료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