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1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성시의 인구는 2024년 8월을 기준으로 412,269세대, 958,444명이며, 인구 100만명에 버금가는 대도시다.[1]
행정 구역
화성시 지도
읍·면·동 |
한자 |
면적[2] (km2) |
인구 |
세대
|
봉담읍 |
峰潭邑 |
42.75 |
74,904 |
27,434
|
우정읍 |
雨汀邑 |
59.71 |
18,090 |
8,354
|
향남읍 |
鄕南邑 |
50.00 |
80,533 |
34,175
|
남양읍 |
南陽邑 |
67.07 |
32,705 |
14,490
|
매송면 |
梅松面 |
27.46 |
8,019 |
3,640
|
비봉면 |
飛鳳面 |
38.55 |
5,916 |
2,923
|
마도면 |
麻道面 |
31.75 |
6,771 |
3,426
|
송산면 |
松山面 |
53.99 |
11,229 |
5,324
|
서신면 |
西新面 |
43.24 |
7,122 |
3,769
|
팔탄면 |
八灘面 |
50.95 |
10,290 |
5,857
|
장안면 |
長安面 |
67.72 |
10,608 |
5,296
|
양감면 |
楊甘面 |
31.07 |
4,180 |
2,303
|
정남면 |
正南面 |
40.67 |
11,842 |
5,828
|
새솔동 |
새솔洞 |
3.4 |
257 |
88
|
진안동 |
陳雁洞 |
6.22 |
39,215 |
17,926
|
병점1동 |
餠店1洞 |
1.44 |
29,168 |
10,599
|
병점2동 |
餠店2洞 |
1.05 |
26,043 |
8,798
|
반월동 |
半月洞 |
3.96 |
30,987 |
10,032
|
기배동 |
旗培洞 |
4.22 |
14,512 |
4,867
|
화산동 |
花山洞 |
11.60 |
24,665 |
9,899
|
동탄1동 |
東灘1洞 |
5.3 |
53,340 |
19,628
|
동탄2동 |
東灘2洞 |
2.2 |
37,282 |
11,924
|
동탄3동 |
東灘3洞 |
1.9 |
43,801 |
15,993
|
동탄4동 |
東灘4洞 |
4.3 |
52,458 |
15,856
|
동탄5동 |
東灘5洞 |
11.4 |
26,409 |
10,108
|
동탄6동 |
東灘6洞 |
? |
? |
?
|
동탄7동 |
東灘7洞 |
? |
? |
?
|
동탄8동 |
東灘8洞 |
? |
? |
?
|
동탄9동 |
東灘9洞 |
? |
? |
?
|
화성시 |
華城市 |
692.5 |
696,587 |
272,445
|
* 인구·세대는 2018년 1월 31일 기준
법정동·리
읍·면·행정동
|
법정동·리
|
봉담읍
|
상리(上里), 내리(內里), 수영리(水營里), 동화리(桐化里), 와우리(臥牛里), 수기리(水機里), 분천리(汾川里), 왕림리(旺林里), 세곡리(細谷里), 당하리(堂下里), 마하리(馬霞里), 유리(柳里), 덕리(德里), 덕우리(德佑里), 하가등리(下加等里), 상기리(上箕里)
|
우정읍
|
원안리(元安里), 호곡리(虎谷里), 운평리(雲坪里), 한각리(閑角里), 멱우리(覓祐里), 화수리(花樹里), 주곡리(珠谷里), 이화리(梨花里), 석천리(石川里), 매향리(梅香里), 화산리(花山里), 조암리(朝岩里), 국화리(菊花里)
|
향남읍
|
평리(坪里), 발안리(發安里), 제암리(提岩里), 상신리(上新里), 구문천리(求文川里), 하길리(下吉里), 화리현리(禾里峴里), 상두리(上斗里), 백토리(白土里), 길성리(吉城里), 요리(料里), 수직리(水直里), 갈천리(葛川里), 증거리(增巨里), 송곡리(松谷里), 동오리(東梧里), 관리(官里), 도이리(桃李里), 행정리(杏亭里), 방축리(防築里), 장짐리(長朕里)
|
남양읍
|
남양리(南陽里), 신남리(新南里), 장덕리(長德里), 안석리(安石里), 활초리(活草里), 온석리(溫石里), 무송리(茂松里), 북양리(北陽里), 송림리(松林里), 수화리(水花里), 장전리(獐田里), 신외리(新外里), 문호리(文湖里), 시리(匙里), 원천리(遠泉里)
|
매송면
|
천천리(泉川里), 원평리(院坪里), 어천리(漁川里), 숙곡리(肅谷里), 야목리(野牧里), 송라리(松蘿里), 원리(院里)
|
비봉면
|
양노리(兩老里), 남전리(南田里), 유포리(柳浦里), 삼화리(三花里), 구포리(鳩浦里), 쌍학리(雙鶴里), 청요리(靑蓼里), 자안리(紫安里)
|
마도면
|
석교리(石橋里), 두곡리(斗谷里), 송정리(松亭里), 쌍송리(雙松里), 청원리(靑園里), 슬항리(瑟項里), 해문리(海門里), 백곡리(白谷里), 금당리(錦堂里), 고모리(古母里)
|
송산면
|
사강리(沙江里), 봉가리(鳳歌里), 삼존리(三尊里), 용포리(龍浦里), 고정리(古井里), 쌍정리(雙井里), 천등리(天燈里), 신천리(新天里), 독지리(禿旨里), 마산리(馬山里), 고포리(古浦里), 지화리(芝花里), 중송리(中松里), 육일리(六一里), 칠곡리(漆谷里)
|
서신면
|
전곡리(前谷里), 상안리(尙安里), 광평리(廣坪里), 장외리(檣外里), 송교리(松橋里), 제부리(濟扶里), 홍법리(弘法里), 사곶리(仕串里), 매화리(梅花里), 용두리(龍頭里), 궁평리(宮坪里), 백미리(百味里)
|
팔탄면
|
하저리(下楮里), 창곡리(昌谷里), 기천리(箕川里), 가재리(佳才里), 구장리(舊場里), 율암리(栗岩里), 노화리(路下里), 덕천리(德泉里), 지월리(芝月里), 덕우리(德隅里), 서근리(鋤斤里), 월문리(月門里), 화당리(花塘里), 고주리(古州里), 매곡리(梅谷里), 해창리(海倉里)
|
장안면
|
어은리(漁隱里), 석포리(石浦里), 수촌리(水村里), 독정리(獨亭里), 장안리(長安里), 덕다리(德多里), 사랑리(沙浪里), 금의리(錦衣里), 사곡리(沙谷里), 노진리(蘆眞里)
|
양감면
|
신왕리(新旺里), 사창리(社倉里), 정문리(旌門里), 송산리(松山里), 용소리(龍沼里), 요당리(蓼塘里), 대양리(大陽里)
|
정남면
|
발산리(鉢山里), 괘랑리(掛囊里), 보통리(普通里), 관항리(官項里), 오일리(五逸里), 백리(栢里), 문학리(文學里), 신리(新里), 계향리(桂香里), 귀래리(歸來里), 제기리(諸岐里), 덕절리(德節里), 음양리(陰陽里), 망월리(望月里), 수면리(水面里), 내리(內里), 금복리(金福里), 고지리(古支里), 용수리(龍水里)
|
새솔동
|
새솔동(새솔洞)
|
진안동
|
진안동(陳雁洞), 기산동(機山洞), 반정동(伴亭洞), 능동(陵洞) (일부)
|
병점1동
|
병점동(餠店洞)
|
병점2동
|
반월동
|
반월동(半月洞)
|
기배동
|
기안동(旗安洞), 배양동(培養洞)
|
화산동
|
송산동(松山洞), 안녕동(安寧洞), 황계동(黃鷄洞)
|
동탄1동
|
석우동(石隅洞), 반송동(盤松洞) (일부)
|
동탄2동
|
반송동(盤松洞) (일부)
|
동탄3동
|
능동(陵洞) (일부)
|
동탄4동
|
청계동(淸溪洞)
|
동탄5동
|
영천동(英川洞), 중동(中洞)
|
동탄6동
|
금곡동(金谷洞), 방교동(防橋洞), 오산동(梧山洞)
|
동탄7동
|
산척동(山尺洞), 송동(松洞)
|
동탄8동
|
장지동(長芝洞)
|
동탄9동
|
목동(睦洞), 신동(新洞)
|
역사
 1949년 이전의 역사는 수원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1949년 8월 14일 수원읍이 수원부로 분리·승격하였고, 수원군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19면)[3]
- 1949년 8월 15일 : 음덕면을 남양면으로 개칭하였다.[4]
- 1960년 1월 1일 : 오산면이 오산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8면)[5]
- 1963년 1월 1일 : 일왕면 · 태장면 · 안룡면 각 일부가 수원시로 편입되고, 일왕면은 의왕면으로 개칭하여 시흥군에 편입되었고, 태장면과 안룡면은 태안면으로 합면하였다.(1읍 16면)[6]
- 1970년 6월 10일 : 군청사를 수원시에서 오산읍으로 이전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 반월면 월암리·초평리를 시흥군 의왕읍에 편입하고, 비봉면 상기리를 봉담면에 편입하였다.[7]
- 1985년 10월 1일 :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5면)[8]
- 1986년 1월 1일 : 반월면 일부를 신설된 안산시에 편입하였다.[9]
- 1987년 1월 1일 : 서신면 칠곡리가 송산면에 편입되었다. 팔탄면 지월리 일부가 향남면에 편입되어 장짐리가 신설되고, 동탄면 금곡리가 오산읍에 편입되어 은계리가 신설되었다.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양감면 고렴리가 평택군에 각각 편입되었다.[10]
- 1989년 1월 1일 :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하여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1읍 15면)[11]
- 1994년 12월 26일 :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 반월면 입북리·당수리가 수원시에,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1리가 안산시에,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가 군포시에 각각 편입되었다. 이로써 반월면은 폐지되었다.(1읍 14면)[12]
- 1995년 4월 20일 : 태안읍 신리·망포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13]
- 1998년 4월 1일 : 봉담면이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3면)[14]
- 2000년 11월 1일 : 군청사를 오산시 오산동에서 남양면 남양리로 이전하였다.[15]
- 2001년 3월 21일 :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하였다.[16] 이와 함께 태안읍과 동탄면, 정남면을 관리하는 동부출장소를 설치하고, 남양면이 남양동으로 전환하였다.(2읍 12면 1동)[17]
- 2003년 6월 14일 :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1면 1동)[18]
- 2006년 1월 2일 : 태안읍을 폐지하고, 진안동(법정동:진안동·능동·기산동·반정동), 병점1동(법정동:병정동 일부), 병점2동(법정동:병점동 일부), 반월동(법정동:반월동), 기배동(법정동:기안동·배양동), 화산동(법정동:황계동·송산동·안녕동) 등 6개 동으로 분리·전환하였다.(2읍 11면 7동)[19]
- 2007년 1월 29일 : 향남면이 향남읍으로 승격하고, 동탄면 반송리·석우리와 능동에 동탄동이 설치되었다.(3읍 10면 8동)[20]
- 2008년 3월 3일 : 동탄동이 동탄1동·동탄2동으로 분리되었다.(3읍 10면 9동)[21]
- 2009년 6월 8일 : 동탄3동이 동탄1동에서 분동하였다.(3읍 10면 10동)[22]
- 2014년 10월 20일 :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4읍 10면 9동)[23][24]
- 2015년 1월 2일 : 동탄면 영천리·청계리·오산리에 중리·목리·산척리·방교리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동탄4동(법정동:영천동·청계동·오산동)이 설치되었다.(4읍 10면 10동)
- 2018년 1월 22일 :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에 새솔동을 설치하고, 동탄면·동탄4동을 동탄4동·동탄5동·동탄6동으로 개편하였다.(4읍 9면 13동)[25]
각주
- ↑ 화성시 인구현황 보관됨 2017-06-01 - 웨이백 머신, 2017년 5월
- ↑ 일반현황 - 화성시 면적 보관됨 2018-02-14 - 웨이백 머신 화성시 홈페이지, 2018년 2월 14일 확인.
- ↑ 대통령령 제161호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1949년 8월 13일)
- ↑ 경기도령 제18조. 남양동 연혁 보관됨 2015-09-24 - 웨이백 머신 남양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 ↑ 법률 제539호 읍설치에관한법률(1960년 1월 1일)
-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설치등에관한규정([983년 1월 10일 제1조 제10항·제11항·제23항·제24항
- ↑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85년 9월 26일)
- ↑ 법률 제3798호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1985년 12월 28일)
- ↑ 대통령령 제12007호(1986년 12월 23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군포시의왕시시흥시하남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1988년 12월 31일)
- ↑ 대통령령 제14434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94년 12월 22일) 제5조 제3항
- ↑ 대통령령 제14629호 시·군·자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1995년 4월 20일)
- ↑ 화성군 조례 제1698호(1998년 3월 25일)
- ↑ 화성군 조례 제1848호(2000년 11월 1일)
- ↑ 법률 제6280호 경기도화성시등2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2000년 12월 20일)
- ↑ 화성시 조례 제31호 및 제35호(2001년 3월 21일)
- ↑ 화성시 조례 제235호(2003년 6월 14일)
- ↑ 화성시 조례 제353호(2005년 12월 2일)
- ↑ 화성시 조례 제430호(2006년 12월 29일)
- ↑ 화성시 조례 제519호
- ↑ 화성시 조례 제603호
- ↑ 화성시 조례 제944호
- ↑ “남양동 '읍'으로 전환…전국 첫 사례”.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화성시 조례 제1313호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