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 175 행정리, 110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횡성군의 면적은 997.89km2이며, 인구는 2012년 3월 31일을 기준으로 44,344명이다.[1]
행정 구역
읍면동
|
한자
|
인구
|
세대
|
면적
|
법정리
|
횡성읍 |
橫城邑 |
19,648 |
7,672 |
72.41
|
읍상리(邑上里), 읍하리(邑下里), 북천리(北川里), 내지리(奈之里), 마옥리(磨玉里), 송전리(松田里), 궁천리(弓川里), 옥동리(玉洞里), 영영포리(永永浦里), 개전리(介田里), 마산리(馬山里), 조곡리(鳥谷里), 생운리(生雲里), 남산리(南山里), 교항리(橋項里), 입석리(立石里), 청용리(靑龍里), 묵계리(墨溪里), 곡교리(曲橋里), 모평리(茅坪里), 반곡리(盤谷里), 갈풍리(葛豊里), 학곡리(鶴谷里), 가담리(佳潭里), 추동리(楸洞里), 정암리(正庵里)
|
우천면 |
隅川面 |
4,381 |
2,024 |
9.5
|
두곡리(杜谷里), 용둔리(龍屯里), 산전리(山田里), 상하가리(上下佳里), 정금리(鼎金里), 하궁리(下弓里), 상대리(上大里), 하대리(下大里), 오원리(烏原里), 백달리(白撻里), 우항리(牛項里), 양적리(陽赤里), 법주리(法周里), 문암리(文岩里)
|
안흥면 |
安興面 |
3,013 |
3,013 |
9.7
|
안흥리(安興里), 가천리(佳川里), 송한리(松寒里), 상안리(上安里), 지구리(池邱里), 소사리(所思里), 성산리(城山里)
|
둔내면 |
屯內面 |
5,394 |
5,394 |
12.8
|
현천리(玄川里), 둔방내리(屯坊內里), 영랑리(永浪里), 조항리(鳥項里), 우용리(右用里), 두원리(斗元里), 자포곡리(自浦谷里), 석문리(石門里), 삽교리(霅橋里), 마암리(馬岩里), 화동리(禾洞里), 궁종리(弓宗里), 태기리(泰岐里)
|
갑천면 |
甲川面 |
2,272 |
2,272 |
12.4
|
중금리(中金里), 부동리(釜洞里), 화전리(花田里), 구방리(舊坊里), 포동리(浦洞里), 매일리(梅日里), 하대리(下臺里), 상대리(上臺里), 율동리(栗洞里), 삼거리(三巨里), 전촌리(筌村里), 추동리(秋洞里), 대관대리(大官垈里), 병지방리(兵之坊里)
|
청일면 |
晴日面 |
2,333 |
2,333 |
13.4
|
봉명리(鳳鳴里), 속실리(粟實里), 춘당리(春堂里), 유동리(柳洞里), 초현리(草峴里), 유평리(楡坪里), 갑천리(甲川里), 고시리(古時里), 신대리(新垈里)
|
공근면 |
公根面 |
3,585 |
3,585 |
13
|
상동리(上洞里), 부창리(富蒼里), 어둔리(於屯里), 공근리(公根里), 가곡리(佳谷里), 삼배리(三培里), 청곡리(淸谷里), 행정리(杏亭里), 상창봉리(上蒼峰里), 창봉리(蒼峰里), 도곡리(陶谷里), 초원리(草院里), 학담리(鶴潭里), 매곡리(梅谷里), 오산리(梧山里), 수백리(水白里), 덕촌리(德村里), 신촌리(新村里)
|
서원면 |
書院面 |
2,219 |
2,219 |
12.4
|
창촌리(倉村里), 압곡리(鴨谷里), 옥계리(玉溪里), 석화리(石花里), 유현리(楡峴里), 금대리(琴垈里)
|
강림면 |
講林面 |
1,514 |
1,514 |
9.7
|
강림리(講林里), 부곡리(釜谷里), 월현리(月峴里)
|
횡성군 |
橫城郡 |
18,960 |
44,853 |
997.68
|
총 110리
|
역사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횡성군 군내면(郡內面) |
군내면 |
|
횡성군 청룡면(靑龍面) 가담리 일부, 갈풍리/가담리 일부, 곡교리, 모평리, 묵계리, 반곡리, 입석리, 청룡리,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
가담리, 갈풍리, 곡교리, 모평리, 묵계리, 반곡리, 입석리, 청룡리
|
우천면 |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
횡성군 우천면(隅川面) |
두곡리, 백달리, 법주리, 상수남리, 오원리, 정암리, 중수남리, 하수남리
|
횡성군 갑천면(甲川面) |
갑천면 |
|
횡성군 정곡면(井谷面) |
정곡면 |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916년의 행정구역[5]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914년 |
현재
|
면 |
리 |
읍·면 |
리
|
군내면 (郡內面) |
갈풍리, 반곡리, 모평리, 곡교리, 청용리, 묵계리, 가담리, 입석리, 교항리, 읍상리, 읍하리, 내지리, 마옥리·소군리, 궁천리, 송전리, 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전리, 마산리 |
횡성군 횡성읍 |
갈풍리, 반곡리, 모평리, 곡교리, 청용리, 묵계리, 가담리, 입석리, 교항리, 읍상리, 읍하리, 내지리, 마옥리, 궁천리, 송전리, 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전리, 마산리
|
우천면 (隅川面) |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정암리 |
남산리, 생운리, 조곡리, 추동리, 정암리
|
두곡리, 하수남리, 중수남리, 상수남리, 법주리, 백달리, 오원리 |
횡성군 우천면 |
두곡리, 문암리, 양적리, 우항리, 법주리, 백달리, 오원리
|
정곡면 (井谷面) |
상대미원리·중대미원리, 하대미원리, 상가좌곡리·하가좌곡리, 상산전리·하산전리, 정금리, 용둔리, 하궁종리 |
상대리, 하대리, 상하가리, 산전리, 정금리, 용둔리, 하궁리
|
가리천리, 상안흥리, 소사리, 송한리, 하안흥리, 지구리 |
횡성군 안흥면 |
가천리, 상안리, 소사리, 송한리, 안흥리, 지구리
|
상궁종리 |
횡성군 둔내면 |
궁종리
|
갑천면 (甲川面) |
태기리 |
태기리
|
구방리, 매일리, 부동리, 상금대리, 중금대리, 포동리, 하금대리, 화전리 |
횡성군 갑천면 |
구방리, 매일리, 부동리, 상대리, 중금리, 포동리, 하대리, 화전리
|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
횡성군 청일면 |
유평리, 갑천리, 고사리
|
청일면 (晴日面) |
봉명리, 속실리, 신대리, 유동리, 유평리, 초현리, 춘당리 |
봉명리, 속실리, 신대리, 유동리, 유평리, 초현리, 춘당리
|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횡성군 갑천면 |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둔내면 (屯內面) |
두원리, 둔방내리, 마암리, 삽교리, 석문리, 영랑리 일부, 우용리, 자포곡리, 조항리, 현천리, 화동리 |
횡성군 둔내면 |
두원리, 둔방내리, 마암리, 삽교리, 석문리, 영랑리, 우용리, 자포곡리, 조항리, 현천리, 화동리
|
영랑리 일부 |
횡성군 안흥면 |
성산리
|
공근면 (公根面) |
백아곡리, 내공근리, 덕촌리, 도곡리, 상갈마곡리, 하갈마곡리, 하토동리, 삼배리, 상토동리, 상수백리, 하수백리, 어둔리, 오산리, 하창봉리, 청곡리, 상초원리, 학곡리 일부, 학담리, 행정리 |
횡성군 공근면 |
가곡리, 공근리, 덕촌리, 도곡리, 매곡리 일부, 매곡리 일부, 부창리, 삼배리, 상동리, 수백리 일부, 수백리 일부, 어둔리, 오산리, 창봉리, 청곡리, 초원리, 신촌리, 학담리, 행정리
|
학곡리 일부 |
횡성군 횡성읍 |
학곡리
|
고모곡면 (古毛谷面) |
이리, 삼리, 오리, 육리, 분일리 일부, 분이리 |
횡성군 서원면 |
옥계리, 창촌리, 금대리, 유현리, 압곡리, 석화리
|
일리, 사리, 분일리 일부 |
원주시 호저면 |
산현리, 매호리, 용곡리
|
법률 제1175호
법률 제1175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영월군 수주면 강림리, 부곡리, 월현리 |
안흥면 일부
|
대통령령 제6542호
대통령령 제6542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홍천군 남면 상창봉리 |
공근면 일부
|
공근면 학곡리 일부 |
횡성면 일부
|
우천면 조곡리, 생운리, 남산리
|
안흥면 하궁리, 정금리, 용둔리, 상하가리, 하대리, 상대리, 산전리 |
우천면 일부
|
안흥면 궁종리 |
둔내면 일부
|
갑천면 태기리, 신대리 일부
|
청일면 율동리, 삼거리, 전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지방리 |
갑천면 일부
|
갑천면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신대리 일부 |
청일면 일부
|
둔내면 영랑리 일부 |
안흥면 성산리
|
공근면 학곡리 일부 |
공근면 신촌리
|
대통령령 제11027호
대통령령 제11027호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서원면 매호리, 산현리, 압곡리 일부 |
원성군 호저면 일부
|
우천면 정암리, 추동리 |
횡성읍 일부
|
각주
- ↑ 횡성군의 인구 보관됨 2013-10-05 - 웨이백 머신, 2012년 4월 12일 확인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다이쇼 3년 강원도령 제2호 (1914년 3월 11일)
- ↑ (신구대조)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년)
- ↑ 다이쇼 6년 강원도령 제10호 (1917년 10월 1일)
- ↑ 쇼와 12년 강원도령 제8호 (1937년 3월 31일)
-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제정.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년 1월 10일) 제2조 제7항, 제8항, 제11항, 제12항
- ↑ 군조례 제1254호 (1989년 3월 29일)
- ↑ 군조례 제1705호 (2000년 1월 12일)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