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리아이폴(우크라이나어: Гуляйполеuk; 직역:'산책하는 들판')은 우크라이나자포리자주폴로히군에 있는 작은 도시이다.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의 아나키스트 혁명가 네스토르 마흐노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2022년 1월, 이 도시의 추정 인구는 12,786.[4]명이었다.
훌리아이폴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러시아군에게 공격받아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을 분리하는 접촉선 중 하나에 위치하게 되었다.
1785년, 예카테리노슬라프현 위원회는 크림 칸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보모스콥스크 젬스트보 법원에 훌리아이폴레 국영 군사 정착지를 설립하도록 명령했다. 기록 데이터에 따르면, 첫 정착민들은 스타로두브스키 지구에서 새로 형성된 정착지로 왔고, 나중에는 키이우주, 체르니히우주, 폴타바주 및 슬로보다우크라이나 지역에서도 왔다. "훌리아이폴레"(직역:'산책하는 들판')라는 이름은 정착지가 형성되기 오래 전부터 박람회 장소로 자주 사용되었던 지역의 특성을 반영했다. 이 정착지는 전통적으로 군사 라인을 따라 형성된 행정-영토 단위인 세기로 나뉘었다.[1]포딜리야, 피샨카, 구리얀, 베르비우, 보한스키, 헤르손, 나중에는 폴란드 출신의 수백 명이 이런 식으로 정착했다. 1794년에 이 정착지에는 150개의 농가가 있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농업과 축산에 적극적으로 종사했다.
1797년 목조 정교회 "정직하고 생명을 주는 그리스도의 고양"이 건설되었고, 훌리아이폴레는 알렉산드로프스키군의 읍내 중심지가 되었다.
산업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훌리아이폴레 마을은 상업 및 산업 도시로 변모했다. 1859년, 훌리아이폴레에서 첫 무역 박람회가 열렸다. 총 100만 루블의 매출을 가진 50개 이상의 무역 회사가 있었으며, 그 옆에는 수많은 상점이 있었다. 무역 증가로 인해 인구가 크게 유입되었다.
개혁 이후 기간에 훌리아이폴레에는 산업 기업이 잇따라 생겨났다. 1882년, 크리거의 농업 기계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 10년 후, 산업가 케르너에 의해 또 다른 공장과 증기 제분소가 개설되었다. 두 공장 모두 수확기, 말 탈곡기, 초퍼 등을 생산했다. 지주 슈뢰더도 대형 증기 제분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다음 해에는 증류소, 여러 착유소, 창고가 가동되었다. 마을에는 18개의 상점이 있었고, 약 30명의 상인이 거래했다. 1898년, 차플리네–베르댠스크 철도가 근처에 깔려 마을의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훌리아이폴레에는 두 개의 농업 기계 공장, 네 개의 증류소, 한 개의 브루어리가 있었다. 훌리아이폴레에는 세 개의 증기 제분소가 있었고, 훌리아이폴레 교구의 일부였던 주변 마을과 경제에는 수십 개의 제분소가 더 있었다. 그 외에도 주변에는 수많은 농민 "풍차"가 있었다. 또한, 훌리아이폴레에는 두 개의 벽돌 및 타일 공장이 있었고, 마을과 촌락에는 12개가 있었다.
산업 기업과 함께, 마을에는 소규모의 반수공업 생산 시설이 많이 있었다. 예를 들면 크루 작업장, 여러 도예가, 그리고 착유소, 대장간, 목공소 및 기타 작업장들이 있었다.
1884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훌리아이폴레에서는 3년마다 젬스트보 농업 및 산업 제품 전시회와 경매가 열렸다.
1952년에는 벽돌 공장, 버터 공장, 의류 및 신발 공장, 사범 학교, 중등 학교, 4개의 7년제 학교, 6개의 초등 학교, 영화관 및 클럽이 이곳에서 운영되었다.[5] 1970년에는 농업 기계 공장,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자동차 수리 공장, 가정용품 공장, 치즈 제조 공장 및 신발 공장이 있었다.[8]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 시점에는 농업 기계 공장,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신발 공장 및 식품 산업 기업이 도시 경제의 기반이었다.[5] 1995년 5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농업 기계 공장[13],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지역 농업 및 화학 공장의 민영화 결정을 승인했다.[14] 1995년 7월에는 국영 농장의 민영화 결정이 승인되었다.[15] 2004년 12월 17일, 자포리자주 경제 법원은 민영화된 농업 기계 공장에 대한 파산 사건을 제기했다.[16] 2020년 7월 17일, 행정-영토 개혁 및 훌리아이폴레군의 해체 결과, 도시는 폴로히군의 일부가 되었다.[17]
훌리아이폴레는 가이추르 강 계곡에 위치한다.[5][8] (저수지의 이름은 튀르크어족: gai "자유" + chur "스텝"에서 유래했다.[25]) 상류 3.5km 지점에는 마르포필 마을이 있고, 하류 1.5km 지점에는 젤레네 마을이 있다. 철도역과 8km 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인 자포리자에서는 98km 떨어져 있다(H08 및 T 0814 고속도로 경유). 북쪽으로는 폴로히군이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시넬니코베군과 접하며, 동쪽으로는 도네츠크주와 접한다.
↑ 가나다라마Гуляй Поле //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редколл., гл. ред. Б. А. Введенский. 2-е изд. том 13. 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52. стр.194
↑ 가나다라Гуляйполе //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под ред. А. М. Прохорова. 3-е изд. том 7. М.,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72.
↑ 가나Гуляйполе // Большо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в 2-х тт.). / редколл., гл. ред. А. М. Прохоров. том 1. М.,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91. стр.349
↑“Гуляйполе”. 《Геоінформаційна система місць «Голодомор 1932—1933 років в Україні»》. 우크라이나 국립 기억 연구소. 2021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Справочник «Освобождение городов: Справочник по освобождению городов в период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1945». М. Л. Дударенко, Ю. Г. Перечнев, В. Т. Елисеев и др. М.: Воениздат, 1985. 598 с.
↑Исаев А. В. От Дубно до Ростова. — М.: АСТ; Транзиткнига, 2004.
↑Господарським судом в Запорізькій області 17.12.2004 року порушено провадження у справі № 19/222 (04) про банкрутство ВАТ "Гуляйпільський завод «Сільмаш» // газета «홀로스 우크라이니», № 25 (3525) від 10 лютого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