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리아이폴

훌리아이폴레
Гуляйполе
향토 박물관
향토 박물관
훌리아이폴레의 국장
어원: "산책하는 들판"
별명: 
마흐노그라드[1][2]
모듈:Location_map 559번째 줄에서 Lua 오류: 지정된 위치 지도 정의를 찾을 수 없습니다. "모듈:Location map/data/Ukraine Zaporizhzhia Oblast"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좌표: 북위 47° 39′ 동경 36° 16′  / 북위 47.650° 동경 36.267°  / 47.650; 36.267
국가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폴로히군
흐로마다훌리아이폴레 도시 흐로마다
설립1785년(240년 전)(1785)
도시 지위1938년(87년 전)(1938)
정부
 • 기관훌리아이폴레 시의회
 • 시장세르히 올렉산드로비치 야르마크
면적
 • 총 면적23.1 km2 (8.9 sq mi)
해발
109 m (358 ft)
인구
 (2024)[3]
 • 총 인구2,000
 • 밀도87명/km2 (220명/sq mi)
우편번호
70200
지역 번호+380 6145
기후Dfa
웹사이트gpmrada.gov.ua[깨진 링크]
Map

훌리아이폴(우크라이나어: Гуляйполе uk; 직역:'산책하는 들판')은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 폴로히군에 있는 작은 도시이다.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의 아나키스트 혁명가 네스토르 마흐노의 출생지로 알려져 있다. 2022년 1월, 이 도시의 추정 인구는 12,786.[4]명이었다.

훌리아이폴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군에게 공격받아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우크라이나군과 러시아군을 분리하는 접촉선 중 하나에 위치하게 되었다.

역사

러시아 제국크림 칸국이 합병되기 전, 이 지역은 주로 자포로자 코자크와 유목 소노가이 호르드에 의해 정착되었다. 이 정착지는 1770년대[5]자포로자 시치의 옛 땅에 드네프르 방어선(러시아어판)가 건설된 후, 러시아 제국이 정복한 자포로자 땅을 인구하고 개발하려는 정책의 일환으로 생겨났다. 예카테리나 2세가 시치를 해체하자, 지역 코자크는 망명하거나 농노가 되었고, 현재 훌리아이폴레 주민들은 샤벨스키 가문의 멍에 아래 놓였다.[6]

1785년, 예카테리노슬라프현 위원회는 크림 칸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노보모스콥스크 젬스트보 법원에 훌리아이폴레 국영 군사 정착지를 설립하도록 명령했다. 기록 데이터에 따르면, 첫 정착민들은 스타로두브스키 지구에서 새로 형성된 정착지로 왔고, 나중에는 키이우주, 체르니히우주, 폴타바주슬로보다우크라이나 지역에서도 왔다. "훌리아이폴레"(직역:'산책하는 들판')라는 이름은 정착지가 형성되기 오래 전부터 박람회 장소로 자주 사용되었던 지역의 특성을 반영했다. 이 정착지는 전통적으로 군사 라인을 따라 형성된 행정-영토 단위인 세기로 나뉘었다.[1] 포딜리야, 피샨카, 구리얀, 베르비우, 보한스키, 헤르손, 나중에는 폴란드 출신의 수백 명이 이런 식으로 정착했다. 1794년에 이 정착지에는 150개의 농가가 있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농업축산에 적극적으로 종사했다.

1797년 목조 정교회 "정직하고 생명을 주는 그리스도의 고양"이 건설되었고, 훌리아이폴레는 알렉산드로프스키군의 읍내 중심지가 되었다.

산업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훌리아이폴레 마을은 상업 및 산업 도시로 변모했다. 1859년, 훌리아이폴레에서 첫 무역 박람회가 열렸다. 총 100만 루블의 매출을 가진 50개 이상의 무역 회사가 있었으며, 그 옆에는 수많은 상점이 있었다. 무역 증가로 인해 인구가 크게 유입되었다.

개혁 이후 기간에 훌리아이폴레에는 산업 기업이 잇따라 생겨났다. 1882년, 크리거의 농업 기계 공장이 가동을 시작했다. 10년 후, 산업가 케르너에 의해 또 다른 공장과 증기 제분소가 개설되었다. 두 공장 모두 수확기, 말 탈곡기, 초퍼 등을 생산했다. 지주 슈뢰더도 대형 증기 제분소를 소유하고 있었다. 다음 해에는 증류소, 여러 착유소, 창고가 가동되었다. 마을에는 18개의 상점이 있었고, 약 30명의 상인이 거래했다. 1898년, 차플리네베르댠스크 철도가 근처에 깔려 마을의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훌리아이폴레에는 두 개의 농업 기계 공장, 네 개의 증류소, 한 개의 브루어리가 있었다. 훌리아이폴레에는 세 개의 증기 제분소가 있었고, 훌리아이폴레 교구의 일부였던 주변 마을과 경제에는 수십 개의 제분소가 더 있었다. 그 외에도 주변에는 수많은 농민 "풍차"가 있었다. 또한, 훌리아이폴레에는 두 개의 벽돌 및 타일 공장이 있었고, 마을과 촌락에는 12개가 있었다.

산업 기업과 함께, 마을에는 소규모의 반수공업 생산 시설이 많이 있었다. 예를 들면 크루 작업장, 여러 도예가, 그리고 착유소, 대장간, 목공소 및 기타 작업장들이 있었다.

1884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훌리아이폴레에서는 3년마다 젬스트보 농업 및 산업 제품 전시회와 경매가 열렸다.

분쟁

현재 우크라이나의 마흐노우슈치나 위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훌리아이폴레에서는 국가 권력 및 정치 체제 변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경제적 변화가 일어났다. 1917년에서 1921년 사이에 러시아 내전(및 동시 발생한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으로 인해 이 지역이 혼란에 빠지면서, 도시는 최소한 16번 주인이 바뀌었다. 이 기간 동안 훌리아이폴레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붉은 군대,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헤트마나트, 안톤 데니킨백군네스토르 마흐노반군 등에 의해 번갈아 점령되었다. 이 분쟁 중에 훌리아이폴레는 우크라이나 혁명반역군의 본부이자 마흐노우슈치나의 수도로 널리 알려졌다.[7]

1930년대의 산업화 기간 동안, 훌리아이폴레에서는 급속한 산업 발전이 이루어졌고,[5] 그 결과 1938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다.[8][9] 한편, 1932–1933년 홀로도모르 기간 동안 훌리아이폴레 주민 중 최소 108명이 사망했다.[10]

1941년 10월 5일, 독일의 공세 결과 소련군이 도시를 떠나고 베르마흐트가 점령했다.[11][12] 1943년 9월 16일, 돈바스 전략 공세 중에 남부 전선의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현대

1952년에는 벽돌 공장, 버터 공장, 의류 및 신발 공장, 사범 학교, 중등 학교, 4개의 7년제 학교, 6개의 초등 학교, 영화관 및 클럽이 이곳에서 운영되었다.[5] 1970년에는 농업 기계 공장,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자동차 수리 공장, 가정용품 공장, 치즈 제조 공장 및 신발 공장이 있었다.[8]

우크라이나 독립선언법 시점에는 농업 기계 공장,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신발 공장 및 식품 산업 기업이 도시 경제의 기반이었다.[5] 1995년 5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농업 기계 공장[13], 페인트 및 래커 공장, 지역 농업 및 화학 공장의 민영화 결정을 승인했다.[14] 1995년 7월에는 국영 농장의 민영화 결정이 승인되었다.[15] 2004년 12월 17일, 자포리자주 경제 법원은 민영화된 농업 기계 공장에 대한 파산 사건을 제기했다.[16] 2020년 7월 17일, 행정-영토 개혁 및 훌리아이폴레군의 해체 결과, 도시는 폴로히군의 일부가 되었다.[17]

2024년 8월 24일 러시아의 포격 이후 훌리아이폴레 향토 박물관 건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남부 공세 동안, 러시아 연방군우크라이나군 사이에 훌리아이폴레 통제를 위한 전투가 발발했다.[18][19] 러시아군의 지속적인 포격 아래,[20] 훌리아이폴레 주민 다수가 지방 정부에 의해 대피되었으며,[21] 많은 주거용 건물과 민간 기반 시설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었다.[22][23][24]

지리

훌리아이폴레는 가이추르 강 계곡에 위치한다.[5][8] (저수지의 이름은 튀르크어족: gai "자유" + chur "스텝"에서 유래했다.[25]) 상류 3.5km 지점에는 마르포필 마을이 있고, 하류 1.5km 지점에는 젤레네 마을이 있다. 철도역과 8km 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인 자포리자에서는 98km 떨어져 있다(H08 및 T 0814 고속도로 경유). 북쪽으로는 폴로히군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시넬니코베군과 접하며, 동쪽으로는 도네츠크주와 접한다.

인구 통계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른 민족 및 언어 구성:

훌리아이폴레의 민족 구성[26]
퍼센트
우크라이나인
93.71%
러시아인
5.45%
벨라루스인
0.23%
아르메니아인
0.15%
타타르족
0.05%
훌리아이폴레의 언어[27]
언어 퍼센트
우크라이나어
94.5%
러시아어
5.2%
기타
0.2%
훌리아이폴레의 인구
연도 1810 1859 1900 1913 1917 1926 1970 1989 2013 2021 2024
인구 1,852 2,521 10,000[6] 16,150 25,000[6][7] 12,027[7] 16,000[8] 19,198[28][9] 14,358[29] 13,070 ~2,000

저명한 인물

갤러리

각주

  1. Skirda 2004, 2쪽.
  2. 루덴코, 유진; 사라흐만, 엘다르 (2020년 10월 9일). “Воля або смерть. Чим живе Гуляйполе – батьківщина анархіста Нестора Махна” ["우리는 마흐노그라드 출신이다." 훌리아이폴레 사람들은 젤렌스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아나키스트 네스토르 마흐노를 어떻게 대하는가]. 《우크라인스카 프라우다》 (우크라이나어). 훌리아이폴레: 이스트 뷰 퍼블리케이션스. OCLC 1066371688.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3. “Як виглядає Гуляйполе у лютому 2024. ФОТОРЕПОРТАЖ”. 2024년 2월 21일. 
  4.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2022 [Number of Present Population of Ukraine, as of January 1, 2022] (PDF) (우크라이나어, 영어). Kyiv: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2022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5. Гуляй Поле //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редколл., гл. ред. Б. А. Введенский. 2-е изд. том 13. 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52. стр.194
  6. Skirda 2004, 17쪽.
  7. Skirda 2004, 358쪽.
  8. Гуляйполе // Большая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 под ред. А. М. Прохорова. 3-е изд. том 7. М.,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72.
  9. Гуляйполе // Большо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в 2-х тт.). / редколл., гл. ред. А. М. Прохоров. том 1. М.,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91. стр.349
  10. “Гуляйполе”. 《Геоінформаційна система місць «Голодомор 1932—1933 років в Україні»》. 우크라이나 국립 기억 연구소. 2021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11. Справочник «Освобождение городов: Справочник по освобождению городов в период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1945». М. Л. Дударенко, Ю. Г. Перечнев, В. Т. Елисеев и др. М.: Воениздат, 1985. 598 с.
  12. Исаев А. В. От Дубно до Ростова. — М.: АСТ; Транзиткнига, 2004.
  13. «235803 Гуляйпольський дослідно-експериментальний завод сільськогосподарських машин»
    Постанова Кабінету міністрів України № 343а від 15 травня 1995 р. «Перелік об'єктів, що підлягають обов’язковій приватизації у 1995 році»
  14. Постанова Кабінету міністрів України № 343б від 15 травня 1995 р. «Перелік об'єктів, що підлягають обов’язковій приватизації у 1995 році»
  15. «03572808 Радгосп „Зарічний“, м. Гуляйполе»
    Постанова Кабінету міністрів України № 538 від 20 липня 1995 р. «Про доповнення переліку об'єктів, що підлягають обов’язковій приватизації у 1995 році»
  16. Господарським судом в Запорізькій області 17.12.2004 року порушено провадження у справі № 19/222 (04) про банкрутство ВАТ "Гуляйпільський завод «Сільмаш» // газета «홀로스 우크라이니», № 25 (3525) від 10 лютого 2005
  17.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Resolutions》 (우크라이나어) (807–IX) (최고 라다). 2020년 7월 17일.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18. Gibbons-Neff, Thomas; Yermak, Natalia (2022년 3월 30일). 'Like Living in a Horror Movie': A Ukraine Town Dying a Slow Death”. 《뉴욕 타임스》. 2022년 3월 31일에 확인함. 
  19. Gerasimova, Tanya (2022년 3월 15일). “Russian Military Experiencing Problems With Supply Of Ammunition To Firing Positions”. 《우크라이나 뉴스 에이전시. 2022년 3월 15일에 확인함. 
  20. “Enemy attacks Huliaipole from artillery and aircraft”. 《우크린포름》. 2022년 5월 6일.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21. “Mayor of Huliaipole urges people to evacuate to safer places in Ukraine”. 《더 뉴 보이스 오브 우크라이나》. 2022년 5월 11일.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22. “Residential houses damaged and destroyed in Russia's shelling of Huliaipole”. 《우크린포름》. 2022년 5월 15일.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23. Vaniyan, Roman (2022년 5월 16일). “Occupiers Destroy Road Between Polohy And Huliaipole”. 《우크라이나 뉴스 에이전시.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24. “In Zaporizhzhya, the Russian invaders blew up the road between Huliaipole and Polohy”. 《텔레비전 서비스 오브 뉴스》. 2022년 5월 16일. 2022년 5월 20일에 확인함. 
  25. “Гуляйполе — столиця степів”. 《자포리자 지역 관광 정보 센터》 (우크라이나어). 자포리자주. 2009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26.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міст”. 
  27.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28.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29.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2013 року. Державна служба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Київ, 2013. стор.63” (PDF). 2013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8월 5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